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딥스카이
2017.10.29 22:12

29회 별잔치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ngc1499+m45.jpg


ngc1499 + m45 캘리포니아성운과 플레이아데스성단


2017. 10. 28~29 경기도 안성
Minolta 28-135 (70) / modified Sony A7s
guide scope 30mm (f4) / QHY5L-II-M
Ioptron IEQ45 Pro / PHD2 guiding

Optolong UHC / light 13 / 300.0 sec / ISO 800 / dark 20 / flat 20 / bias 20
DeepSkyStacker 합성, Photoshop 보정



회장님 위시하여 모두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 조용현 2017.10.30 00:19
    이뻐요~~~ 글루바인 .... 얼바인...
  • 이인현 2017.10.30 11:16
    얼바인.ㅋㅋ
  • 강문기 2017.10.31 09:28
    얼바인?? 전에 살던 동네인데, 무슨 관계일까요?
  • 이인현 2017.10.31 11:07
    라임이죠^^
  • 홍두희 2017.10.30 02:39
    원 안쪽의 표면 근처만 바깥쪽으로 반전시키면 태양처럼 보입니다.... 혼란한 틈에도, 글루바인에 취해도 카메라는 잘 도는군요 ^^
  • 이인현 2017.10.30 11:16
    그나마 가장 좋았던 2시간은 렌즈습기로 날리고
    4시 넘어까지 24장을 더 찍었는데 서쪽 광해로 모두 버림.ㅜㅜ
    테더슛이 안 되는게 이래서 문제군요.
  • 박창목 2017.10.30 16:15
    어안렌즈인줄 알았어요 ㅎㅎ
  • 이인현 2017.10.30 22:18
    그렇게도 보이네요. 상헌님 코스프레.ㅋ
  • 이상헌 2017.10.31 11:54
    아이피스로 들여다보는 느낌이 나서 집중이 훨씬 더 잘돼요~~ ^^
  • 이인현 2017.10.31 13:11
    디폴트가 왜 사각형인지 궁금합니다~
  • 이상헌 2017.10.31 13:18

    1. 반도체 둥근 웨이퍼 한장으로 작은 반도체 조각을 잘라낼때 최대로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잘라내는 방법이 사각형이다
    2. 정사각형이 아니고 직사각형인 경우는 사람이 아래 위 보다 좌우의 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

    뭐 이런 이유지 아닐까 생각합니다. ^^ 

    전에는 천문 전용 카메라로 동그랗게 사진을 찍어 주던 카메라도 있었어요. 요즘도 천체 사진용 CCD 로 정사각형도 많이 나오죠 ^^

  • 홍두희 2017.11.02 09:00
    사각형이야기에 한마디 합니다^^
    약 보름전에 감마함수에 대해 앞집 아저씨의 설명을 들었습니다
    직선에서의 점의 표면적,
    평면에서의 원의 표면적,
    3차원 공간에서의 구의 표면적,
    머리로 그려볼수 없지만 수학으로는 기술할수 있는 사차원공간(시공간의 3+1아님) 에서의 어떤 꽉찬 사차원구의 표면적을
    계속해서 식을 써볼수 있는데
    n이 증가하면서 기술되는 표현식에 파이의 승수가 건나뛰며 나온답니다

    어떤 어떤 함수 라는 고유의 이름 있는 상수(그동안 제가 이름만 들어본 함수는 제타, 리만,감마 정돈데 유명한 근대
    수학자와 물리학자에는 대부분 함수가 있다(발견인지 발명인지 ㅎㅎ)네요
  • 이인현 2017.10.31 14:18
    음.. 그림이나 사진은 반도체가 나오기 훨씬 전인데요.

    이런 썰도 있더군요.
    「 ~ 두 개의 평행하는 수직선과 수평선이 만드는 네모꼴, 곧 '그리드(格子, grid)'는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가장 안정된 형태이다. 게쉬탈트(Gestalt)적으로도 등변의 그리드는 잉여정보(Redundancy)를 많이 내함하고 있어 지각 에너지의 방출을 최소화하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 알려져 있다. ~ 」
  • 오영열 2017.10.31 19:10
    헐. 이거 출품작이죠?
  • 이인현 2017.10.31 21:56
    내년에 내볼까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3681
공지 기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72792
35 딥스카이 2박 관측 #2 Arp286 8 file 이인현 2020.03.26 135
34 딥스카이 2박 관측 #1 M3 5 file 이인현 2020.03.26 99
» 딥스카이 29회 별잔치 15 file 이인현 2017.10.29 158
32 딥스카이 294MM 1x1로 찍은 달밤의 California Nebula 4 file 이인현 2021.10.30 134
31 딥스카이 28회 스타파티 -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15 file 이인현 2016.11.06 164
30 딥스카이 255mm미리 화각의 마카리안 체인 8 file 안정철 2011.05.12 1527
29 딥스카이 25% 추가 광량의 위력! M31 Andromeda Galaxy 5 file 공준호 2008.10.09 1576
28 딥스카이 2024년 3월 뮤론 180 사진들 5 file 박창목 2024.03.12 82
27 딥스카이 2021년 2월 출사 정리 6 file 박창목 2021.02.16 212
26 딥스카이 2020년 5월 나 홀로 번개 13 file 박창목 2020.06.01 253
25 딥스카이 2020년 11월 정관 M45, M78 4 file 박창목 2020.11.17 165
24 딥스카이 2019년 크리스마스이브 번개 결과물 5 file 박창목 2019.12.27 170
23 딥스카이 2019년 3월 정관 M106 은하 9 file 박창목 2019.03.04 215
22 딥스카이 2019년 11월 22일 결과물 11 file 박창목 2019.11.25 648
21 딥스카이 2018 서천동 첫 정관 - 말머리성운 10 file 이인현 2018.01.15 211
20 딥스카이 2017년 첫 번개관측 4 file 이인현 2017.01.04 155
19 딥스카이 2016년 1월정관 + 안드로메다(1차수정)+오리온 성운(수정본추가)+말머리(1차수정)_카타리나+마귀할멈 9 file 오광환 2016.01.10 267
18 딥스카이 2016년 12월 2일 정관결과물입니다. 3 file 박창목 2016.12.06 153
17 딥스카이 2015년 12월 정관 M33은하 8 file 박창목 2015.12.15 374
16 딥스카이 2011년 9월 정관 안드로메다 11 file 박창목 2011.09.25 1602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Next
/ 3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