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것도 아크로메틱으로 촬영한 구상성단입니다.

성운은 어려워도 성단과 은하는 아크로도 나쁘지 않네요..


20180806_NGC5139_Omega Centauri_IMG_7639_resized.jpg


[2018.08.07. 서호주 카리지니 에코리트리트]

Telescope : Sky watcher 102(f/10)

Camera : Canon 6D

Mount : EM11 T2 no-touch guide

Exposure Info. :  ISO 25600, 40 sec x 2


  • 오광환 2018.08.27 08:07
    오호~~~.
  • 이상헌 2018.08.27 10:42
    구상성단 킹 왕 짱~~~ ^^
  • 조용현 2018.08.28 15:24
    단순한 구상성단이 아니라는 의견이 있네요~~

    구상성단 중에서도 유난히 크고 밝아 다른 구상성단들과도 차별화되는 특징을 지닌 덕분에 일찍이 천문학자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최초로 다중 종족(Multiple Population)이 발견된 구상 성단이기도 한데, 오메가 센타우리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별들의 나이와 화학적 조성이 여러 개의 세부 종족으로 명확하게 나뉘어진다는 뜻으로, 이 성단에서 별들의 탄생이 여러 번에 걸쳐 간헐적으로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오메가 센타우리 스스로가 초신성 폭발을 통해 철 등의 중원소를 합성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별이 탄생하는 작은 규모의 성운들에게 초신성 폭발은 그 성운의 수명히 다했다는 신호와도 같다. 초신성으로 발생하는 뜨거운 가스가 강력한 충격파와 함께 주변의 가스들을 날려 버리기 때문이다. 즉, 일반적인 성운에서 별이 탄생하는 기간은 최초로 별이 탄생하고 그 별이 초신성이 되어 폭발하기까지의 시간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초신성의 폭발력을 자체 중력으로 찍어누르고 다시 별 탄생을 일으킬 만큼 거대한 중력을 가진 은하급의 천체라면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은하들에서는 자체적으로 몇 번이고 별 탄생을 반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메가 센타우리가 바로 이런 유형의 천체로서, 현재는 우리 은하의 일개 성단일 뿐이지만 과거에는 상당한 규모의 왜소 은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남아있는 부분은 과거 은하가 우리 은하의 조석력으로 붕괴되고 중심핵 부분만이 남은 상태일 가능성이 유력하다. - 위키백과
  • 하원훈 2018.08.28 18:25

    색수차가 오히려 아름답게 느껴집니다. 방내리에서 센타우리 알파는 찍어 봤는데 요건 아슬아슬하게 고도 낮아 못 찍었네요.

  • 홍두희 2018.08.28 20:48

    알파가 더 낮아요.  알파는 적위 -61도, 오메가는 -47.5도. 알파는 한국에선 안보이죠.
    오메가는 괘석리에서 16인치로 보이는 위치(두개의 산이 만든 남쪽 계곡)지만 안시로는 못보았습니다 (16인치 반사, 5인치 쌍안)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3681
공지 기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72792
47 딥스카이 아크로로 찍은 M27 ~~ 6 file 조용현 2018.07.17 95
46 딥스카이 M51 부자은하, M57 고리성운 6 file 조용현 2018.05.23 140
45 딥스카이 M4 & Sigma scorpius 3 file 조용현 2017.05.03 74
44 딥스카이 M104 솜브레로 은하... 10 file 조용현 2017.02.26 220
43 딥스카이 해파리 대자로 주문했어요 (IC 443) 8 file 조용현 2017.02.03 160
42 딥스카이 NGC 4038, 4039 그 옆에 4027 Antennae 은하 지역 ~~ 5 file 조용현 2016.03.20 211
41 딥스카이 M46 Open Cluster with NGC2438 Planetary nebula 10 file 조용현 2016.03.10 134
40 딥스카이 산개성단(Open Star Clusters ) M35 and NGC 2158.. 10 file 조용현 2016.03.08 173
39 딥스카이 첫 테스트 샷 M31~~ 9 file 조용현 2015.09.10 223
38 딥스카이 서호주 얀나리 캠핑장에서 본 대마젤란 성운(LMC) 그리고 카리지니의 은하수 13 file 조용현 2015.08.20 435
37 딥스카이 6D First light~~(오리온, 말머리, 불꽃 삼총사) 5 file 조용현 2015.04.13 509
36 딥스카이 3월 정관에서 찍은 처녀자리 은하단 일부(Virgo Cluster) 6 file 조용현 2015.03.30 762
35 딥스카이 아령성운(M27)과 외계행성을 가진 항성(HIP98505) 5 file 조용현 2015.03.23 550
34 딥스카이 벗고개를 넘어가는 오리온~~ 11 file 조용현 2015.02.15 568
33 딥스카이 말머리와 오리온(Horse head and Orion nebula) 성운 16 file 조용현 2015.01.28 609
32 딥스카이 방내리의 장미(Rosetta nebula).. 13 file 조용현 2014.12.28 688
31 딥스카이 벗고개에서 본 버블성운 지역~~( SH2-157, NGC 7538, M52 and the Bubble Nebula) 4 file 조용현 2014.11.21 8925
30 딥스카이 8월 정관에서 얻은 Veil Nebular(베일 성운)... 16 file 조용현 2014.09.02 2223
29 딥스카이 서호주 카리지니에 뜬 소마젤란 성운(SMC) 2 file 조용현 2014.08.29 2005
28 딥스카이 Coalsack 일부분과 Crux 알파성(옆 강환님 광시야 사진 참조) file 조용현 2014.08.29 184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