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딥스카이
2021.01.21 21:29

M4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42_colorcombined_thumnail.jpg

 

많이 늦었습니다.

촬영한지 일주일이 지났는데, 이제야 결과물 올려봅니다.

2년 반 만에 나간거라 장비가 잘 작동할지, 부품/케이블 없어진거 있지않을까 걱정에

일찍가서 천천히 준비했는데, 다행히도 큰 문제 없었던것같습니다.

돌아와서 처리하려다보니, 영하20도 300초 600초 dark와 bias도 없어서 다시 찍고,

6년전 촬영해놓은 flat은 그냥 사용해보았습니다.(너무 오랜 시간이 흘러 flat도 다시 촬영하는게 좋은데...)

 

2021년 1월 14일 홍천 방내리

FSQ106ED + STX16803 (-20도)

Dark : -20도 600초 x 11장 (1x1) / 300초 x 11장 (2x2) / 20초 x 11장 (1x1) / 60초 x 11장 (1x1)

Bias : -20도 11장 (1x1)

L : 600초 x 9장 (1x1)

RGB : 300초 x 5장 (2x2) each /

        20초 x 9장 (1x1) each /

        60초 x 5장 (1x1) each 

 

첫 사진은 full frame 사진 down-size한것입니다. 두번째 사진은 M42부분 crop후 down-size한것입니다.

 

Resized800.jpg

 

Crop_resized800.jpg

 

한가지 계획에서 빗나간것이...

10초짜리 1x1 RGB도 촬영했어야 하는데, 역시 탁상공론/계획은 항상 현장 실험결과를 못따라갑니다. (중심부 정보 못살렸어요)

 

>> 사진의 선명도와 채도를 미세하게 올려보았습니다. 모니터에 따라 느낌이 조금씩 다를수도 있습니다.

  • 박창목 2021.01.21 21:50
    그래도 거의 계획대로 잘 찍으셨네요. 이미지는 역시 일품입니다.
  • 강문기 2021.01.22 11:10
    감사합니다. 주변분들 덕분에 즐겁게 촬영했어요.
  • 이인현 2021.01.21 22:51
    첫번째 사진 현장감이 대단하네요.
    배경 톤이 뉴트럴해서 높지 않은 채도에도 색감이 확 살아납니다.
  • 강문기 2021.01.22 11:13
    다음번에 이교수님처럼 여러프레임 촬영해볼려구요. 주변 암흑성운대도 볼만한것같아요.
  • 이인현 2021.01.22 11:42
    매수가 많지 않아도 강교수님 사진이 대단한 것이 정보량이 엄청나서 보정 관용도가 차고 넘치네요.
    물론 다크, 플랫 등 꼼꼼하게 전처리를 하셔서 그렇겠지만 히스토그램이나 컬러 새츄레이션의 극단적인 조정에도 끄떡이 없네요.
    노이즈도 마찬가지고요. jpg 파일이 이렇게 튼튼한 건 처음 봅니다.
  • 강문기 2021.01.22 12:02

    감사합니다. 원본 data는 4096x4096 pixel이고 16bit Quantization 데이터입니다. (즉 밝기 정보가 65536 step으로 저장되어 정보량이 많습니다. 다 아시는것이지만
    일반적인 8bit quantization은 256 step, 10bit quatization은 1024 step이지요)... 모든 처리는 16bit에서 수행하였습니다.
    raw data는 너무 커서 민폐끼치지 않기위해 downsize하고 jpeg압축 아주 높게 해서 올린겁니다.
    주관적이기는 한데, 저는 컬러 saturation이 높지않은 영상을 선호하기는 합니다.

    (참조: 최종본 raw data 크기는 196Mbyte, 8bit 변환 bmp 크기는 49Mbyte 입니다)

  • 오광환 2021.01.22 19:11
    saturation을 높이지 않고 원하는 색감을 얻어내기가 참 어려운 일이더군요. 역시 정보량이 풍부하고 과장하지 않아야 제대로 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저도 이렇게 해보려고 노력하지만 늘 색감이 부족하고 희미한 사진이 싫어서 이미지처리 과정에서 과하게 가게 되더군요.
    제 장비로는 매수를 늘려서 해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말 좋은 사진 보았습니다.
  • 강문기 2021.01.23 08:21
    요즘 모두들 촬영 실력이 놀라울정도로 출중하셔서 정밀한 CCD장비 사용하시면 정보량이 더 많은 사진 얻으실겁니다.
    프레임수가 이 부분을 극복하는 한가지 요소가 될것이 분명합니다. 영상후처리는 주관적부분이 많아 촬영자의 선호에 달린것 같구요.
  • 이상헌 2021.01.27 12:32
    오래간만입니다!!! ㅎㅎ
  • 강문기 2021.01.31 20:39

    고향(근처)에서 즐겁게 지내시죠?

  • 조용현 2021.01.31 10:06
    오랜 휴식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촬영과 이미지 생성 기술을 전혀 녹슬지 않으셨네요~~
  • 강문기 2021.01.31 20:42
    다시 시간될때마다 나가보려구요ㅎㅎ
    언제 홍천에서 한번 뵙죠...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M42

        많이 늦었습니다. 촬영한지 일주일이 지났는데, 이제야 결과물 올려봅니다. 2년 반 만에 나간거라 장비가 잘 작동할지, 부품/케이블 없어진거 있지않을까 걱정에 일찍가서 천천히 준비했는데, 다행히도 큰 문제 없었던것같습니다. 돌아와서 처리하려다보니...
    Date2021.01.21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197
    Read More
  2. 백조자리

    아주 오랜만에 촬영해본 사진입니다. 그동안 몇차례 오랜만에 나와서도 날씨가 안좋아서 허탕치고 갔는데, 이번에는 정말 하늘 좋았습니다. 백조자리가 자정쯤 이미 서쪽으로 기울어서, 오랜 노출은 못 주었지만 즐거운 정관이었습니다.   FSQ106ED + STX1680...
    Date2017.10.23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112
    Read More
  3. M3 MT version

    이번정관에는 학생들이 견학을 하였습니다. 홍회장님 친절한 강의 및 맛있는 요리들 감사드리며, 회원분들 친절한 설명 및 가르침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하늘도 비교적 좋았고, 덕분에 학생들이 좋은 경험을 하고 돌아갔습니다. 학생들에게 사진촬영에 대...
    Date2010.04.19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1629
    Read More
  4. M3

    어제 정관 참 즐거웠죠... 밤에는 하늘도 좋고, 생각보다 춥지도 않았던것 같습니다. 꼬마들에게 친절하게 별 많이 보여주신 윤석호선생님, 홍회장님 감사드려요. 거의 1시까지 이것저것 보던 꼬마손님들 재워놓고 간단히 참석기념으로 촬영해본대상... 단초...
    Date2009.02.02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1830
    Read More
  5. M31 Andromeda

    4~5차례 촬영해본것같은데... 회지용 사진을 찾다가 아직 처리도 안한 안드로메다가 있어 처리하고, 회지표지용으로 제출한후, 올려봅니다. 실제 파일크기는 4008x2678인데... 본게시판에 올리기위해 두가지로 resize축소/or Crop resize하여 올려봅니다. 2007...
    Date2008.12.04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1788
    Read More
  6. M45 Pleiades

    11월 17일 양평 폐가 FSQ106+STL11000+가짜고무줄스파이더 L: 800sec x 5장 RGB : 400sec x 3장 each 총 L을 10장 찍었는데 초기 5장은 이러저러한 이유로 bias가 심해 버리고 나중에 찍은 5장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첫영상:성운closeup, 두번째:성단&주변)
    Date2006.11.18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3552
    Read More
  7. M31

    2일 폐가에서 촬영한 M31입니다. 새로 오븐에 구운 CCD건조제 테스트용입니다. 결론은 잘 구워졌다이고 flat은 이전것을 썼으나 역시 새로 찍어야 한다였읍니다. FSQ106+STL11000 L: 600x3 RGB: 300x1 each crop & resize
    Date2006.09.05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1858
    Read More
  8. M45 Pleiades

    12월 28일 10시 중원계곡 FSQ106+Takahashi EM200+STL11000 (LRGB 5분x4+5분x4+5분x2+5분x2) 중앙부 crop후 70% resize
    Date2005.12.29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4014
    Read More
  9. M31 Andromeda Galaxy (컬러)

    방금 정관에서 찍은 사진을 올려봅니다. 습도가 많이 높았지만 10시이후론 구름도없고 시상도 괜찮았읍니다. 중원계곡 2005년 10월 8일(토) 11시 FSQ106 + SBIG2000XM L:600초x3장(bin1 1600x1200) RGB: 300초x3장 each (bin2 800x600)
    Date2005.10.09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2392
    Read More
  10. M31 Andromeda Galaxy (whole wing: single frame test shot)

    구름이 계속 왔다갔다 하여 5분-10분이상 지속적으로 열린 하늘을 보기 힘들었던 밤이었읍니다. FSQ106과 SBIG2000의 조합 test를 위해 몇장 찍었는데 그중 구름에 가리지 않은 단 1장 Luminance사진을 증거사진으로 올려봅니다. 중량도 여유있고 짧은 F수로 ...
    Date2005.10.03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2302
    Read More
  11. M31 relatively long exposure (유종선선생님 문제에 대한 정답!)

    2004년 10월10일 10:00PM Caspers Wilderness Park Andromeda galaxy 200sec exposure (섭씨-25도), L-filter auto-guided, F6.3 reduced SCT8in, 16bit full frame picture converted into 8bit jpeg & resized 66% for uploading 집 가까운데 관측지가 있으...
    Date2004.10.11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31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