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저는 다작을 하는 성격도 아니긴 하지만

f 7.7의 느린 광학계로는 다작을 하고 싶어도 불가능입니다.

한동안 오리온대성운을 찍었습니다.

이제 다른 것을 하려고 두리번 거려보니 찍을만한 대상들은 거의가 넘어간 상태더군요.내년에 봐~~~~요~

4시간정도 찍을 수 있는 여우목도리를 목표로 해봅니다.

 허허허 나원참. 오래간만에 나왔더니 문제가 한둘이 아닙니다.

결정적으로 !!!!

플래트너를 두개 꽂아놓고 문제가 뭐지???? 하며 낑낑댔습니다. 두시간만에 발견 !!!!

가뜩이나 부족한 촬영시간을 이렇게 날리고 어렵게 이미지를 얻었습니다.

엄청나게 부족한 노출.... 빠른 광학계 가진 사람들이 부럽군요.

그래도 뭐... 즐겁습니다.~~~ ♬

별색을 잘 살리도록 처리했습니다.

 

3월정관 홍천광암리

TOA-130S 1000mm f7.7

STL-11000M

 

Ha : 20min x 4

RGB : 10min 3 2bin

 

 

  • 안정철 2011.03.12 11:20

    부러운 사진입니다..

    여우콧구멍도 보여요

  • 윤석호 2011.03.12 18:02

    화각이 아주 넓어 보이네요. 별상도 이쁘고.

    두시간의 뜻은  별상이 큰 동그라미 > 중간 동그라미 > 다시 큰 동그라미를 보여주는 특별한 밤이였다는 말씀^^.

  • 오봉환 2011.03.13 06:26

    그렇게 보이더군요

    처음보는 현상이라 여러분께 여쭤봤지만 다들 갖다버려라는 말씀만 하시고.... -.-;;

    하긴 플래트너 두개 끼워서 촬영해 본 사람이 어디 흔하겠습니까?

     

  • 오영열 2011.03.14 10:20

    흠... 저는 먹다 남은 고등어로 보였는데, 역시 탁월한 표현이십니다. 여우라...ㅎㅎㅎ

  • 정재욱 2011.03.14 10:46

    굴절에 MPCC 낑궈 찍어본 적은 있지요. 별상이 퉁퉁 불어서 문제이지 똥구랗게는 나오더군요^^

  • 박창목 2011.03.14 15:18

    붉은색과 푸른색이 강렬하게 구분되네요. 원래 이렇게 찍히나요? 아님 처리할때 고려해줘야 하나요?

  • 오봉환 2011.03.14 19:31

    붉은색과 푸른색은 원래색입니다.

    다만 원래는 매우 어둡고 희미하므로 취향대로 증폭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저같은 경우는 Saturation은 잘 안쓰고 Layer Multiply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 이상헌 2011.03.14 16:22

    장촛점 굴절과 대형 CCD 화각의 조합이 안성맞춤이군요. 화려한 여름 하늘이 기다려집니다.

  • 오봉환 2011.03.14 19:34

    이번 여름에는 초광시야를 하고 싶은데....

    이상헌님이 그쪽 전문가이시니 함께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 이상헌 2011.03.15 09:41

    변변찮은 광시야 사진 한장 없는데,,,

    오봉환님과 같이 하다보면 저도 멋진 사진 찍을 수 있을 날이 오겠지요. ^^  

  • 조용현 2011.03.25 10:43

    색상이 신비로움을 더해줍니다.. 우주의 신비를 직접보는 듯..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기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3683
공지 기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72793
138 성운 m57 고리성운 정말작네요. 3 file 박창목 2012.04.18 2573
137 성운 M57 Ring Nebula 2 file 안정철 2013.06.08 2244
136 성운 M57 3 file JeromePINOT 2021.09.09 144
135 성운 M52와 NGC7129 (버블성운) 5 file 오영열 2011.09.28 2318
134 성운 M52, NGC7635(버블성운), NGC7538 1 file 오광환 2013.01.20 4737
133 성운 M45주변부 7 file 안정철 2011.09.20 1656
132 성운 M45 플레이아데스 9 file 하원훈 2010.12.14 1293
131 성운 M45 - 플레이아데스 성단 4 file 두맹상 2019.11.06 209
130 성운 M42, iC2177, iC434 2 file 오광환 2022.12.28 152
129 성운 M42+IC434 구름과 구름 사이 10 file 오광환 2012.12.19 2393
128 성운 M42 인증 샷 8 file 김덕우 2007.12.05 2006
127 성운 M42 오리온 대성운(06.10.27) 4 file 윤종성 2006.10.28 2012
126 성운 M42 오리온 대성운 file 윤종성 2006.10.03 2162
125 성운 M42 오리온 2 file 안정철 2011.03.08 1160
124 성운 M42 오리온 6 file 안정철 2010.09.18 1050
123 성운 M42 광축 테스트 2 file 안정철 2013.01.06 2629
122 성운 M42 Orion Nebula 10 file 두맹상 2019.01.01 127
121 성운 M42 6 file 강문기 2006.01.18 2140
120 성운 M42 8 file 유종선 2006.11.20 2123
119 성운 m42 5 file 김덕우 2007.08.25 2680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 19 Next
/ 19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