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NGC3718_2012DA14-001L.JPG

 

SkySafari3_2012DA14.jpg

 

사실, 별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광각으로도 잡기 힘든 빠른 속도로 스쳐지나가는 소행성을 1000mm F7급 망원경으로 DSO와 한 화각에 담을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기로 한 건 하선생님이 이 소행성을 찍으려고 고민하시는 모습을 보고 문득  SkySafari3.0의 실시간 소행성 추적 옵션 업데이트가 최근에 있었던 것을 기억하고 이를 열어본 때였습니다.  이 소행성을 센터에 잡아놓으면 실시간으로 위치가 업데이트 되면 추적하는 신통한 능력이 있더군요!

이를 확인하고는 TEC140의 화각을 NGC3718 영역에 잡고 매복하다가 이 영역을 빠르게 통과하는 순간에 2012 DA14 소행성을 100초 노출로 잡는데 성공했습니다.

원목표는 중앙 근처에서 괘적을 만드는것이었는데, 워낙 빨리 지나가는 통에 후반부에 잡히고 말았군요!^.~

어제 홍천에서 실시간으로 위치가 업데이트되는 SkySafari 덕분에 쌍안경으로 하늘을 가로지르는 모습을 내내 따라가며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하지만, 장갑끼고 핫 팩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손은 거의 동상수준으로 빨갛게 부어오른것이 영광의 상처로 남았습니다. ^^)

 

어제 하선생님과 단 둘이었지만 정말 화려한 별하늘이 펼쳐진 밤하늘에, 소행성 2012 DA14조우까지 추운 밤하늘하래 완전히 동이 트도록 시간가는 줄 몰랐던 환상의 관측회였습니다.

 

P.S. 이 펜션 정말 대박입니다.  다음 정관은 여기로 강추!!~~

- 촬영 일시 : 2013.2.16 새벽
- 촬영 장소 : 강원도 홍천

- 망원경(경통) : TEC140 (F.L.=980mm)
- 가대(삼각대) : ADT MC-300

- 카메라(CCD) : QSI-683GW

- 촬영 노출 : L=1x100s

  • 하원훈 2013.02.16 16:33

    부지런하십니다. 꼬박 새었더니 피곤하군요. 집에와서 이발하고 목욕하고 쉬는 중입니다.
    덕분에 소행성 궤적을 담을 수 있어서 감사드립니다. 환상적인 하늘아래 소행성과 메시에와 놀았던 즐거운 밤이었습니다.
    저도 정리되면 '레오트리플과 2012 DA14' 궤적을 올려보겠습니다.

  • 공준호 2013.02.16 23:13

    덕분에 저도 난생 처음 소행성 안시 관측을 포함해 날이 새도록 쏟아지는 별하늘 아래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레오 트리플렛과 2012 DA14 정말 대박 예감입니다!~~

  • 이상헌 2013.02.18 07:32
    그날 하늘보고 대박 날 줄 알았습니다.
    소행성 관측이라는 귀한 시간도 좋았겠습니다.
  • 안정철 2013.02.18 11:09
    좋은 하늘이었는데..
    저도 못나간게 안타깝습니다..
  • 오영열 2013.02.18 12:43
    새로운 정보네요. 저도 언젠가 스맛폰을 구하게 되면 설치하고싶습니다. ^^
  • 박창목 2013.02.18 18:29
    정말 귀중한 관측을 하셨네요.. 그런 명장면을 보지 못해 아쉽습니다.
  • 조용현 2013.02.19 10:38
    전화 통화를 하면서 부러워서 죽을 것 같았습니다..
    복 받으신 겁니다..
    나중에 관측지에 같이 가보겠습니다..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아파트 앞마당에서 목성 Io의 영 현상 마실^.~

      5/1일 저녁 아파트 마당에서 잡아 본 Io의 영 현상 입니다. 단지 주민 몇 분들이 오셔서 잠시 안시 관측도 함께 하고는 신기해 하시더군요^.~ - 촬영 일시 : 2017.5.1 - 촬영 장소 : 평촌 아파트 마당 - 망원경(경통) : TEC-160 - 가대(삼각대) : RST-400 - ...
    Date2017.05.03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179
    Read More
  2. 목성, 이오(Io) 그리고 대적반의 출현

    행성의 이미징은 역시 대구경 반사가 답입니다. 소구경 APO굴절은 사실 이미징보다는 안시에서 그 힘을 발휘하지요.  그래도 이렇게 한 번 들이대봅니다만, 소구경에서 오는 해상도의 한계는 극복이 쉽지 않습니다.  ^.~ 초보씨님, 어진선님과 월하의 공동묘...
    Date2016.03.20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41
    Read More
  3. The Super Moon

    여러분 Super Moon의 에너지를 받아 남은 결실의 계절에 더욱 활기차고 많이 이루는 역사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Super Moon 현상은 달이 근월점일 때인 9/9일 11pm 무렵에 발생하였으며 이때 지구와 달사이의 거리는 약 358,387 Km. 달이 가장 멀 때는...
    Date2014.09.11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571
    Read More
  4. 소행성 2012 DA14, NGC3718영역 통과!

    사실, 별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광각으로도 잡기 힘든 빠른 속도로 스쳐지나가는 소행성을 1000mm F7급 망원경으로 DSO와 한 화각에 담을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기로 한 건 하선생님이 이 소행성을 찍으려고 고민하시는 모습을 ...
    Date2013.02.16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305
    Read More
  5. 금성의 태양면 통과

    OTA: Takahashi FCT-76 Fluorite Triplet APO Mount: Takahashi EM-11 Camera: DBK21AU618 @60 frames/sec,Total 3500 Frames Best Frames (70%) Stacked on Registax V6, Wavelet fitted.
    Date2012.06.06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2587
    Read More
  6. 아주 특별한 Moon-rising / Orion-rising

    어제 양평 설매재에서 찍은 달무리 광경입니다. 윤석호 선생님과 관측을 마치고 평일인 관계로 한시경 장비를 접고 있는 사이 구름이 서서히 몰려오더니 곧 이런 장관을 연출해내더군요. 카메라 파인더에 잡힌 모습을 보는 순간 우와~~ 하고 감탄사가 절로나오...
    Date2010.09.29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12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