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Jup_014209.jpg


행성의 이미징은 역시 대구경 반사가 답입니다. 소구경 APO굴절은 사실 이미징보다는 안시에서 그 힘을 발휘하지요.  그래도 이렇게 한 번 들이대봅니다만, 소구경에서 오는 해상도의 한계는 극복이 쉽지 않습니다.  ^.~

초보씨님, 어진선님과 월하의 공동묘지에서 함께 했습니다.

 

- 촬영 일시 : 2016.03.20 01:44 AM

- 촬영 장소 : 분당 시안공원묘원 (월하의 공동묘지^^)

- 망원경(경통) : TEC160
- 가대(삼각대) : RST-400 적도의

- 카메라(CCD) : Imaging Source DBK21AU618.AS

- 촬영 노출 : 3600 frame /2mins


  • 이인현 2016.03.20 18:36
    와~ 이오가 목성보다 밝게 나왔네요!
    요 몇 년간이 목성관측의 최적기라던데..
  • 화목토는 수업이 있는 날이 아닙니다.... ㅋ
    화목토의 관측 최적기의 중요도로 나열해 보면,
    1) 화목토 공전주기를 Y(단위는 지구 공전 주기) 라면 관측 최적 주기는 (Y+1)/Y로 나타날겁니다. ... 아직 정확한 계산을 못했습니다... 대충 계산..
    2)화목토 공전 이심율(태양과 화목토의 거리가 공전주기동안 달라짐).
    3)화목토의 공전 궤도 경사각에 따른 화목토 위치에 따라서 지구 관측지 위도에서의 변수가 생기지요.
    즉 3번만 지역적인 문제라는 거지요^^

    -

    10분후 추가 

    위키피아 

    이오 반사율 ; 0.63+-0.02

    목성 반사율 ; 0.343

    -

    23시30분 추가

    연필로 계산 해보니까 Y/(Y-1) 이네요. 

    -

    21일 10시42분 추가

    '충 주기'로 검색을 해보니 이런 설명이 있네요... 

    나무위키 ; synodic period. 목성 최근 충 ; 3일전인 2016년3월18일,  토성 최근 충 ; 6월3일,  화성;7월27일


    20160321_103510_synodic period.JPG




  • 이인현 2016.03.20 21:44
    몇 년 전에 찍었을 때 위성이 나오게 하려니 목성이 다 타버려서 부분노출로 닷징을 한 기억이 있어서요
  • 오영열 2016.03.20 20:14
    서천동서 행성 사진 보긴 참 오랜만이네요 ^^

    아직 대적점이 있네요 ^^ 안시로는 안보여요 ㅠㅠ
  • 공준호 2016.03.20 20:56
    안시로도 보이던데요^^
  • 이강환 2016.03.20 21:53
    목성 관측 적기라서 그런지 지난 10일 날씨도 좋았지만
    최고의 목성을 돕으로 보았는데 공박사님 사진도 좋은 상을 보여주네요.
  • 조용현 2016.03.21 08:55
    이오가 외롭게 보이네요.. 다른 애들도 참석시켜주지그랬어요~~
  • 김신구 2016.03.22 15:25
    맞아요.. 넘 외로워 보여요...^^
  • 공준호 2016.04.16 11:20
    ㅎㅎ 지금 뭐 광각 CCD라도 돌리는줄 아셈? 행성용 웹캠이라구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아파트 앞마당에서 목성 Io의 영 현상 마실^.~

      5/1일 저녁 아파트 마당에서 잡아 본 Io의 영 현상 입니다. 단지 주민 몇 분들이 오셔서 잠시 안시 관측도 함께 하고는 신기해 하시더군요^.~ - 촬영 일시 : 2017.5.1 - 촬영 장소 : 평촌 아파트 마당 - 망원경(경통) : TEC-160 - 가대(삼각대) : RST-400 - ...
    Date2017.05.03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179
    Read More
  2. 목성, 이오(Io) 그리고 대적반의 출현

    행성의 이미징은 역시 대구경 반사가 답입니다. 소구경 APO굴절은 사실 이미징보다는 안시에서 그 힘을 발휘하지요.  그래도 이렇게 한 번 들이대봅니다만, 소구경에서 오는 해상도의 한계는 극복이 쉽지 않습니다.  ^.~ 초보씨님, 어진선님과 월하의 공동묘...
    Date2016.03.20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41
    Read More
  3. The Super Moon

    여러분 Super Moon의 에너지를 받아 남은 결실의 계절에 더욱 활기차고 많이 이루는 역사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Super Moon 현상은 달이 근월점일 때인 9/9일 11pm 무렵에 발생하였으며 이때 지구와 달사이의 거리는 약 358,387 Km. 달이 가장 멀 때는...
    Date2014.09.11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571
    Read More
  4. 소행성 2012 DA14, NGC3718영역 통과!

    사실, 별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광각으로도 잡기 힘든 빠른 속도로 스쳐지나가는 소행성을 1000mm F7급 망원경으로 DSO와 한 화각에 담을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기로 한 건 하선생님이 이 소행성을 찍으려고 고민하시는 모습을 ...
    Date2013.02.16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305
    Read More
  5. 금성의 태양면 통과

    OTA: Takahashi FCT-76 Fluorite Triplet APO Mount: Takahashi EM-11 Camera: DBK21AU618 @60 frames/sec,Total 3500 Frames Best Frames (70%) Stacked on Registax V6, Wavelet fitted.
    Date2012.06.06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2587
    Read More
  6. 아주 특별한 Moon-rising / Orion-rising

    어제 양평 설매재에서 찍은 달무리 광경입니다. 윤석호 선생님과 관측을 마치고 평일인 관계로 한시경 장비를 접고 있는 사이 구름이 서서히 몰려오더니 곧 이런 장관을 연출해내더군요. 카메라 파인더에 잡힌 모습을 보는 순간 우와~~ 하고 감탄사가 절로나오...
    Date2010.09.29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122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