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Wide Field
2017.10.31 19:49

정관(10월21일) 사진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지난 정관때 라이브 관측하면서 중간중간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영상은 편집할 엄두가 안나네요.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사진은 라이브 동영상 관측 중 대상 확인이 좀 어렵거나 좀 더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 짧은 노출로 찍었습니다.


게시 순서는 관측 시간순이 아니라 별자리별로 올립니다. 아시겠지만 모든 사진은 원샷원킬이오니 허접하기 이를때 없습니다.

그래도 찍다 보니 이것도 은근히 재미가 있습니다. ^^; (죄송합니다. ㅡㅡ;)

모든 사진은 개조 A7S 와 캐논 200mm F1.8 최대개방, LPS-P2 입니다.


1. 세페우스 IC1396 : iso25600 6sec

세페우스_IC1396_iso25600_6sec.jpg

코끼리 코 성운이라 불리는 IC1396 입니다. 크기가 커서 광각 사진 촬영에 인기가 높습니다. 사진에는 간달프 지팡이는 확인이 되질 않지만 암흑대는 잘 보입니다. 지팡이를 보기위해

촛점 거리 긴 경통으로 다시 도전해 보겠습니다. 라이브로도 전체 성운은 잘 보입니다. 크기가 커서 휙휙 지나가면서 붉은 성운이 확 눈에 들어옵니다. 

붉은 별은 Garnet star(석류석별, 뮤별) 라고 하는 적색거성입니다. 별 크기 비교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20171031a.JPG




2. 카시오페이아 Pacman 성운 ngc281 : iso25600 6sec 

카시오페이아_Packman_NGC281_iso25600_6sec.jpg

크기도 크고 밝아서 인기있는 성운입니다. 내로우밴드로 찍어도 다채로운 색채를 뽐냅니다. 라이브로 물론 잘 보입니다. 암흑대도 살짝 보이는 것 같습니다.

왼쪽에 있는 밝은 별은 카시오페이아 감마별입니다. 밝은 별 옆에 뭔가 보이시죠~~ 네 감마별을 모시고 있는 IC63 IC59 입니다. 가운데로 옮겨 보겠습니다.



3. 감마 카시오페이아 성운 ic63 ic59 : iso3200 30sec

카시오페이아_IC59_IC63_iso3200_30sec.jpg

감마별을 호위하는 정말 아름다운 성운입니다. 뾰족하게 보이는 부분이 ic63 이고 ic59 는 약간 윗쪽인데 잘 안보이네요. 라이브로도 ic63 은 잘보이는데 ic59 는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아랫쪽 구석에 뭔가 한마리가 후다닥 날아가는게 딱 잡혔네요. ngc 457 Owl Cluster 올빼미 입니다. ^^; 사진 프레임에서 달아나가다 걸려버렸네요. 작으니 파리 같습니다. ㅋㅋ 



4. 카시오페이아 M52 버블성운 ngc7635 sh2-157 : iso25600 6sec

카시오페이아M52_버블_SH2-157_iso25600_6sec.jpg

카시오페이아 대표성운 버블성운 ngc7635 입니다. 아래는 M52 산개성단이고 버블성운 오른쪽 위에는 사슴벌레도 불리는 sh2-157 이 보입니다. 집게발이 살짝 보입니다.

그리고 주위에는 많은 성운 성단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은하수 한가운데이니 볼거리도 많습니다. M52 버블성운은 라이브로 잘보입니다. 사슴벌레는 보였는지 잘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이 근처를 훓다가 보니 윗쪽에 뻘건게 보입니다. 경통을 윗쪽으로 살짝 옮깁니다.



5. 카시오페이아 마법사성운 ngc7380 버블성운 ngc7635 sh2-157 : iso25600 6sec

카시오페이아M52_버블ngc7635_SH2-157_NGC7380_iso25600_6sec.jpg

오른쪽 위에 밝은 성운 하나가 보입니다. 찾아보니 ngc7380 마법사성운입니다. 왜 마법사인지 상상력이 부족해서 잘 파악이 되질 않습니다. 라이브로 마법사 붉은 성운 속에 밝은 별이

박혀 있는 것이 보입니다.



6. 카시오페이아 하트 ic1805 태아 ic1848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ngc869 884 : iso12800 8sec

카시오페이아_하트ic1805_태아ic1848_이중성단ngc869_884_iso12800_8sec .jpg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워낙 유명하고 아름다운 성단입니다. 좌측은 하트 성운과 태아성단입니다. 광시야 촬영에 인기 대상입니다. 전에 135mm 렌즈로 찍었던 기억이 있네요.

http://www.sac-club.co.kr/xe/index.php?mid=work&search_keyword=%EC%9D%B4%EC%83%81%ED%97%8C&search_target=user_name&listStyle=gallery&page=4&document_srl=49762

라이브로 확인이 잘 됩니다만 세부 모습은 보기 힘듭니다. 카시오페이아 아랫쪽 마차부자리로 이동합니다.



7. 마차부 불꽃성운 ic405 ic410 : iso25600 6sec

마차부IC405_410_iso25600_6sec.jpg

마차부 자리도 은하수 가운데 있기 때문에 화려한 대상이 많습니다. 오각형 가운데 똭 자리잡고 있는 불꽃별성운 ic405 와 올챙이성운(?) ic410 이 대표 대상입니다. 라이브로 ic405 의 콩나물 꼬리도 확인 

가능합니다. ic410 의 올챙이는 확인이 안됩니다. 촛점거리가 짧아서 작은 대상은 확인이 어렵습니다. 마차부 자리하면 M36 M37 M38 산개 성단 삼총사가 유명하지요. 이게 순서대로 36 37 38 이 아니라서

헷갈리지요~ ^^ 가운데가 36 아래 37 위 38 입니다. 세 성단이 보이도록 아래로 조금 이동합니다.



8. 마차부 M36 M37 M38 ic417 ngc1931 sh2-235 : iso6400 30sec

마차부_M36M37M38_sh2-235_ic417_ngc1931_iso6400_30sec.jpg

가운데 M36 pinwheel cluster 숫자가 제일 낮은데 크기가 제일 작습니다. 37 38 이 더 볼만해서 셋 중에 눈이 덜 가긴 합니다. M38 starfish cluster 큼지막하고 모양도 팔이 뻗어 나오는 것이 볼만합니다.

라이브로 밝은 산개성단은 볼만 합니다. M38 과 M36 사이에 붉은 성운이 있는데 거미와 파리(?) 성운이라고 합니다. 거미는 ic417 이고 파리는 ngc1931 입니다. 라이브로 ngc1931 은 잘 보입니다.

M36 약간 윗쪽에 보이는 빨간 성운입니다. 그 윗쪽 M38 오른쪽이 ic417 인데 왜 거미와 파리인지는 검색해 보세요. M36 왼쪽 아랫쪽에도 붉은 성운이 보이는데 sh-235 입니다. 라이브에도

보일 정도로 밝고 붉은 성운입니다. 이 대상을 촬영한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밝은 sh2-235 주위에도 붉은 성운이 있는데 sh2-232 sh2-231 입니다. 



9. 마차부 ic2149 : iso6400 30sec

마차부_IC2149_iso6400_30sec.jpg

뭘 찍었는지 아시겠습니꽈~~~ ^^; 저도 잘 모르겠네요. 밤하늘 보석 뒤적이다가 행성상 성운을 찾아봤습니다. 200mm 촛점거리에 무슨 행성상 성운입니꽈~~~. 라이브로 봐도 긴가민가 가물가물합니다.

+10.6 0.2x0.2 arcmin 은 무리입니다. 가운데 있습니다. 라이브로 가운데 부분을 확대해서 대상은 확인 가능합니다.

마차부_IC2149.JPG


 

이상 일부입니다~~~~

감사합니다. ^^

  • 이인현 2017.10.31 21:54
    와우~! 볼거리 풍성. 읽을거리 만땅이네요^^
    좀 더 크게 올리시면 지팡이도 보이겠는데요? 원샷 치고는 사진 퀄리티가 너무 좋습니다.
    (하트 태아는 이게 더 나은 듯.ㅋㅋ)
    담에 불꽃별에서 sh2-231~235까지 광시야로 함 찍어봐야겠습니다.
  • 이상헌 2017.11.01 10:26
    하트 태아 이중성단 3종세트 찍은지 벌써 10년이 다 되어가네요. 아무래도 기술이 많이 발전했겠지요? ^^ 그래도 그때 그 구도는 제가 나름대로 고민해서 만들었습니다. ㅎㅎ
  • 조용현 2017.11.01 08:35
    사진이 너무 좋네요... 빡센것보다 나름 매력과 ~~낭만이 있어요..
    그리고 별의 크기 비교는 캡춰해서 과학시간에 써야겠어요..
    위트에 지식까지 상헌님 글과 사진은 안읽을 수 없네요
  • 이상헌 2017.11.01 10:23
    감사합니다. 깻잎 만큼 얇은 지식이라도 즐거워해주시니 감사합니다. ^^;
  • 강문기 2017.11.01 09:31
    재미있네요... 꼭 안시하는것 같은 느낌이에요.
    별크기비교 흥미로운데, 6번 VY canis majoris보다 더 큰것들은 없나요?? 우주에서 알려진 별중 가장큰게 뭔지??
  • 안시하는것 처럼 느끼셨다면 감사합니다. ^^

    별 크기를 찾아보니 Update 된게 있네요. 우리은하내에서 현재까지 밝혀진게 이 정도라고 합니다. 외부은하로까지 확장하면 뭐... ㅎㅎ

    1280px-Comparison_of_planets_and_stars_(2017_update).png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largest_stars


  • 김신구 2017.11.02 14:53
    UY Scuti 기준으로 보면 우리는 ... 현미경으로도 안보이겠네요..... 헐!!!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겨울 끝자락에서 본 밤하늘 풍경, 오리온자리와 외뿔소자리 부근

    2월 마지막 날 하늘이 그럭저럭하여 벗고개로 출동했습니다. 안시석호님께서 좋아하는 관측지라서 전화를 드렸더니 어렵다고 해서 홀로 캠핑 관측을 하려고 맘먹었습니다. 도착해서 텐트를 설치하고 나니 광욱씨의 전화가 있었습니다. 바로 합류하여 촬영을 시...
    Date2020.03.02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92
    Read More
  2. 튤립성운(Sh2-101) 부근 광시야

    르네상스 굴절경통 테스트 2탄입니다.   Fringe killer 필터 사용시 - Ha 영역 정보량감소, B채널 할로 제거 효과 있음. R, G채널 별상 축소 효과가 작게 나타남. 전체척으로  필터를 사용할 경우 모든 채널의 정보량이 다소 감소됨.   또한 실수로 촬영중 LRG...
    Date2019.07.07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79
    Read More
  3. 작년(2018) 여름 서호주관측여행 사진

    작년(2018) 여름 서호주관측여행 사진을 열어보다가 느낌이 좋은 사진이 있어서 올려 봅니다. 전에 촬영한 토성을 카리지니의 은하수와 합성해봤습니다.
    Date2019.08.29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77
    Read More
  4. 벗고개 은하수

    앞에서 렌즈 성능을 보시라고 제시한 벗고개 사진 원본을 이미지 처리하여 다시 올립니다. 용량이 커서 리싸이즈하고 품질은 줄였습니다. [2018.05.20. 벗고개] Canon 6D, Samyang XP 14mm, f/5.6, ISO 8000, 30sec, Vexin guide pack
    Date2018.05.23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74
    Read More
  5. 정관(10월21일) 사진들

    지난 정관때 라이브 관측하면서 중간중간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영상은 편집할 엄두가 안나네요.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사진은 라이브 동영상 관측 중 대상 확인이 좀 어렵거나 좀 더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 짧은 ...
    Date2017.10.31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173
    Read More
  6. 홍천 하늘의 환성적인 은하수, 백조에서 전갈까지

    지난 일요일 방내리 관측소에 이교수님, 오광환님, 이상헌님, 안정철님, 김광욱님이 모였습니다. 그담 설명은 말이 필요없겠지요. 날이 너무좋아서 이,오,김, 저는 2박을 때렸습니다. 방내리에서 굉장한 은하수를 목격하고 카메라를 들이댔습니다.  거름냄새 ...
    Date2020.03.25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63
    Read More
  7. 은하수 M24 부근

    2017년 여름, 중부지방에는 정말 비 지긋지긋하게 많이 왔습니다. 장비가 좀 많이 바뀌었는데 그거 떄문에 그런지는 모르지만 하여간 장비 영입후 테스트도 어려울 정도로 날씨가 계속 안좋았네요. 그나마 하늘이 조금 열렸던 서천동 8월 정관에서 장비 테스트...
    Date2017.08.29 CategoryWide Field By김광욱 Views161
    Read More
  8. C/ 2020 F3 혜성사냥 망했슈~~~

    서해안 대부도와 영흥도 밤바리 여행을 한 것으로 만족하고 담에 건져야 겠습니다. 허탈한 일행들이 맞이하는 아침 풍경~~
    Date2020.07.12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59
    Read More
  9. Near Antares

    2013년에 이 부분을 찍어보고 정말 오랜만에 재시도를 해서 찍어봤습니다. (이전사진 : http://www.nightsky.kr/xe/Gallery_deepsky/4310?category=2655) 게으른건지...아니면 정말 찍기 어려운 지역인지.....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좋은 조건 만나기도 힘들죠. ...
    Date2022.05.09 CategoryWide Field By김광욱 Views154
    Read More
  10. 무개조 캐논 5D Mark IV로 찍은 오리온 자리

    지난 12월 18일 날씨와 월령이 모두 좋아서 촬영장비를 꾸려 오래간만에 방내리로 향했습니다. 오샘, 박교수님, 안사장이 와계셨습니다. 장비를 설치하는데 거대한 거름 트럭이 와서 거름을 쏟아 붙는 바람에 정철씨는 9사리로 날아가 버렸습니다. 골치 아픈 ...
    Date2020.12.21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49
    Read More
  11. 백조자리 사드르와 초승달성운 주변부~~

    70mm 경통 2차 테스트를 벗고개로 다녀왔습니다. 홀로 관측을 꿈꾸며 달렸는데 벗고개에서 별하늘지기 별지기 3분과 같이 했습니다. 이것 저것 챙겨주려해서 고맙기도하고 미안하기도 했었답니다. 아무튼 이 펫츠발 경통은 대박입니다. [2020. 04.30. 벗고개]...
    Date2020.04.30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45
    Read More
  12. 2018 별잔치 풍경

    2018년 11월 10일 진천 스타파티 하늘 사진입니다. 별도 같이 담다보니 장비설치된 쪽이 너무 작게 나왔네요. 회장님, 횐님들 수고 많으셨어요. 이날 카메라(40D)가 고장나서 대신 풍경사진 올립니다. 6D 30초 사진입니다. 40D는 고장이 아니라 작동을 잘못한...
    Date2018.11.12 CategoryWide Field By하원훈 Views141
    Read More
  13. 정관(10월21일) 사진들 2

    지난 정관때 라이브 관측하면서 중간중간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영상은 편집할 엄두가 안나네요.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사진은 라이브 동영상 관측 중 대상 확인이 좀 어렵거나 좀 더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 짧은 ...
    Date2017.10.31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140
    Read More
  14. 9월 중순 방내리의 작은 스타파티~~

      방내리 관측소 앞에 망원경이 가득 찼습니다. 늦게 도착한 저는 귀퉁이에 자리를 잡았는데 북극성이 나무에 가려서 겨우 극축을 맞추었고   그후 박교수님이 늦게 도착하셨습니다.   9월인데도 밤에는 너무 추웠습니다. 두꺼운 옷을 준비해야하는데 ....그래...
    Date2020.09.24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7
    Read More
  15. 여름 전천 은하수

    궁수자리 부분 과 백조자리 부분을 Merge 한 여름 전천 은하수 입니다. 찍을때 걱정했는데 다행히 연결이 되었습니다. ^^;; Pixinsight 에서 Merge 가 안되어 걱정했는데, Photoshop CC 에서 다행히 붙여주네요. 천구를 평면에 붙이다 보니 사진 테두리가 조금...
    Date2017.05.30 CategoryWide Field By김광욱 Views136
    Read More
  16. 겨울나무, 오리온, 플레이아데스 그리고 맑고 푸른 밤...

    2박 3일간 겨울밤 풍경을 담으러 서울을 떠나 풍경 좋은 곳에 다녀왔습니다.. 방학이기에 가능한 것이라서.... 방학이 있음에 감사하며... 앞으로도 몇 군데를 더 계획하고 있는데 좋은 사진을 얻을 수있을지 모르겠네요.. 사진에 쓸쓸한 낭만과 시원함 그리고...
    Date2018.01.22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5
    Read More
  17. Antares 부근 추가합니다.(NGC7000)

    RST-135 Sigma 180mm +Astro6D guide Asi290mm+miniBorg ASIAIR pro + iPAD PIX +Photoshop NGC7000(H-alpha합성본) 300S x 12 23일 새벽에 찍은 H-Alpha 추가----------22일 찍은 OSC와 화각이 어긋나 합성은 귀차니즘으로  GG.
    Date2020.03.24 CategoryWide Field By오광환 Views135
    Read More
  18. 벗고개 은하수

    102mm 아크로 굴절 테스트 하던날 촬영한 벗고개의 은하수입니다. 중심부를 5장 합성했습니다. [2018.07.16. 벗고개] Lens : Samyang 24mm(f/2.5), f.4.5 Camera : Canon 6D Mount : Vixen guide pack Exposure Info. : ISO 8000, 50sec 5 frames
    Date2018.07.19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3
    Read More
  19. 굴뚝이 쏘아올린 은하수~~

    지난 토요일 정관을 불참하고 일요일밤에 촬영한 은하수입니다... 서호주의 기억이 상기될 정도로 은하수가 찐하더라구요.. 이날 하늘은 정말 좋더군요... 다음날 출근만 아니면 밤을 꼬박새웠을 텐네... 아쉬워요.. [ 2015.09.13. 강원도 홍천 자운리 ] Camer...
    Date2015.09.18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2
    Read More
  20. 별 볼일 없을 때하는 일(feat. 칼바리 Nature's window은하수)

    별볼일 없을 때는 철지난 사진들을 정리하다가 이미지가 엉망이라서 한구석에 밀렸던 애들을 골라서 심폐소생하는 일도 괜찮은 일거리입니다. 서호주 칼바리의 Nature's window에 걸린 은하수입니다.  이날 날씨가 엉망이라서 사진도 좋지 않지만 여기서 찍은 ...
    Date2020.01.17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