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Wide Field
2017.10.31 21:32

정관(10월21일) 사진들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 정관때 라이브 관측하면서 중간중간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영상은 편집할 엄두가 안나네요.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사진은 라이브 동영상 관측 중 대상 확인이 좀 어렵거나 좀 더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 짧은 노출로 찍었습니다.


게시 순서는 관측 시간순이 아니라 별자리별로 올립니다. 아시겠지만 모든 사진은 원샷원킬이오니 허접하기 이를때 없습니다.

그래도 찍다 보니 이것도 은근히 재미가 있습니다. ^^; (죄송합니다. ㅡㅡ;)

모든 사진은 개조 A7S 와 캐논 200mm F1.8 최대개방, LPS-P2 입니다. No-dark No-bias No-flat



1.  안드로메다 NGC891 : iso3200 30sec

안드로메다NGC891_iso3200_30sec.JPG

대표적인 측면 나선은하 ngc891 입니다. 안드로메다 Almach 아래에 있습니다. 입술은하 kiss-me 은하 ^^; 라이브로 보면 모래사장에 떨어진 바늘 같습니다. 

단촛점에도 모습을 보여주니 고맙네요. 너무 작아서 1:1 crop 해서 올립니다.

안드로메다NGC891.jpg

이쁜 입술 보이시나요? ^^

안드로메다 자리에 안드로메다 은하는 건너 뛰고 아래 삼각형 자리로 갑니다.



2. 삼각형 M33 : iso6400 30sec

삼각형M33_iso6400_30sec.JPG

삼각형 자리에 있는 M33 은하입니다. M31 과 같이 우리은하 이웃 은하입니다. 크기가 커서 어두운 편이지만 라이브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나선 팔은 확인이 안됩니다.

1:1 crop 으로 올립니다.

삼각형M33.jpg



3. 쌍둥이 M35 ngc2158 ic443 ngc2174 : iso3200 30sec

쌍둥이M35_ngc2158_IC443_NGC2174_iso3200_30sec.jpg

쌍둥이 발 부근에 있는 성운 성단 종합선물세트입니다. 소금과 후추 M35 ngc2158, 독을 뿝는 해파리 ic443, 원숭이 ngc2174. 빽빽한 별들 사이에 아름다운 대상이 모여있습니다.

라이브로도 즐길 수 있습니다. 해파리 독은 보이질 않습니다. 원숭이성운이 꽤 밝습니다. 원숭이 성운은 오리온자리에 속해 있습니다. 원숭이 옆에 뭔가 빨간게 보입니다. 

옆으로 이동합니다.



4. 오리온 원숭이 ngc2174 ic2162 sh2-261 : iso6400 30sec

오리온_원숭이NGC2174_IC2162_SH2-261_iso3200_30sec.jpg

원숭이 성운 옆으로 재미있게 생긴 성운이 있습니다. wifi 신호세기 표시 같습니다. ic2162. 그 옆으로 성운이 또 있습니다. Lower's nebular sh2-261 입니다. 고도가 낮아서 나뭇가지가

찬조 출연을 해 주네요.



5. 쌍둥이 에스키모 ngc2392 : iso25600 6sec

쌍둥이_에스키모NGC2392_iso25600_6sec.jpg

쌍둥이 자리에 있는 에스키모 행성상성운에다가 들이 댑니다. 당연히 보이질 않습니다. 에스키모 모자를 쓴 귀여운 에스키모 얼굴은 그냥 상상속에만 있습니다. 라이브로 최대확대 하면

촛점이 살짝 맞지 않은 별처럼 보입니다. (+9.19) 바로 옆에 있는 별과 밝기가 비슷합니다. +8.26. 한 가운데 이중성 처럼 보이는 오른쪽이 에스키모 성운 입니다.  아래쪽에 있는 산개성단은

ngc2420 입니다.



6. 쌍둥이 메두사 Abell 21 : iso3200 30sec

쌍둥이_메두사Abell21_iso3200_30sec.jpg

안되는 줄 알면서 또 행성상 성운 메두사 성운에 들이 댑니다. 오호~~ 요거는 보입니다. 라이브로 희미한 얼룩이 확인됩니다. 뭐 그래도 그게 다네요. 

메두사 머리가 전깃줄에 갇혔네요. ㅋㅋ



7.  오리온 : iso6400 30sec

오리온_iso6400_30sec.jpg

설명이 별 필요가 없는 오리온자리의 중심부입니다. M42, M43, 런닝맨, 말머리, 불꽃, M78, 버나드루프 등등 온 하늘에서 가장 화려한 부분입니다. 라이브로 잘 보입니다.



8. 오리온 마귀할멈 ic2118 : iso6400 30sec

오리온_마귀할멈IC2118_iso6400_30sec.jpg

오리온 오른쪽 밑 리겔 옆에 있는 마귀할멈 성운입니다. 어둡습니다. 어둡습니다. 라이브로 확인이 안됩니다. 사진으로도 현장에서 간신히 확인되었습니다.



9. 외뿔소 장미 ngc2239 크리스마스트리 ngc2264 : iso3200 30sec

외뿔소_장미2239_크리스마스트리2264_ios3200_30sec.jpg

와~~ 장미당~~ 와~~ 크리스마스당~~ 두손 벌려 환영합니다. ^^



10. 외뿔소 장미 ngc2239 크리스마스트리 ngc2264 : iso6400 30sec

외뿔소_장미2239_크리스마스트리2264_ios6400_30sec.jpg

하늘에 있는 장미. 지상에 있는 그 어떤 장미보다더 아름답습니다. 하늘에 있는 크리스마스트리. 지상에 있는 그 어떤 트리 보다더 멋집니다(?). 크리스마스트리는.... 아닙니다.....

장미는 라이브로 봐도 정말 이쁘게 잘 보입니다. 꽃잎이 하늘하늘 보이고 안개꽃이 장식을 합니다. 콘 성운은 넓게 퍼진 붉은 성운기는 확인 가능합니다. 푸른 성운기는 확인이 안됩니다.





감사합니당~~ ^^ 다음에 또 올께요~~~

  • 이인현 2017.10.31 21:56
    A7s + 밝은 렌즈 조합은 천하무적입니다. 이건 필히 아프리카 방송으로 해야겠는데요^^
    ngc891은 머리털자리 니들갤럭시를 닮았군요. 오리온 부근은 뭐 광량이 차고 넘치네요~
    담에 해파리 원숭이 광시야로 함 찍어봐야겠습니다.
  • 이상헌 2017.11.01 13:28

    별풍선 쏘시면 더 보여드립니다~~ ^^

    밝고 촛점거리가 긴 경통이 필요합니다. ㅎㅎ

  • 이인현 2017.11.02 00:32
    렌즈턱 쏴야죠^^ 언제?
  • 이상헌 2017.11.02 00:48
    구입하셨어요? 벌써? 일단 사용해보시고 천천히 구입하시지... ㅎㅎ
  • 김광욱 2017.11.04 15:44
    와아아 이쁩니당
  • 이상헌 2017.11.06 00:14
    고마워용~~ ^^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겨울 끝자락에서 본 밤하늘 풍경, 오리온자리와 외뿔소자리 부근

    2월 마지막 날 하늘이 그럭저럭하여 벗고개로 출동했습니다. 안시석호님께서 좋아하는 관측지라서 전화를 드렸더니 어렵다고 해서 홀로 캠핑 관측을 하려고 맘먹었습니다. 도착해서 텐트를 설치하고 나니 광욱씨의 전화가 있었습니다. 바로 합류하여 촬영을 시...
    Date2020.03.02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92
    Read More
  2. 튤립성운(Sh2-101) 부근 광시야

    르네상스 굴절경통 테스트 2탄입니다.   Fringe killer 필터 사용시 - Ha 영역 정보량감소, B채널 할로 제거 효과 있음. R, G채널 별상 축소 효과가 작게 나타남. 전체척으로  필터를 사용할 경우 모든 채널의 정보량이 다소 감소됨.   또한 실수로 촬영중 LRG...
    Date2019.07.07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79
    Read More
  3. 작년(2018) 여름 서호주관측여행 사진

    작년(2018) 여름 서호주관측여행 사진을 열어보다가 느낌이 좋은 사진이 있어서 올려 봅니다. 전에 촬영한 토성을 카리지니의 은하수와 합성해봤습니다.
    Date2019.08.29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77
    Read More
  4. 벗고개 은하수

    앞에서 렌즈 성능을 보시라고 제시한 벗고개 사진 원본을 이미지 처리하여 다시 올립니다. 용량이 커서 리싸이즈하고 품질은 줄였습니다. [2018.05.20. 벗고개] Canon 6D, Samyang XP 14mm, f/5.6, ISO 8000, 30sec, Vexin guide pack
    Date2018.05.23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74
    Read More
  5. 정관(10월21일) 사진들

    지난 정관때 라이브 관측하면서 중간중간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영상은 편집할 엄두가 안나네요.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사진은 라이브 동영상 관측 중 대상 확인이 좀 어렵거나 좀 더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 짧은 ...
    Date2017.10.31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171
    Read More
  6. 홍천 하늘의 환성적인 은하수, 백조에서 전갈까지

    지난 일요일 방내리 관측소에 이교수님, 오광환님, 이상헌님, 안정철님, 김광욱님이 모였습니다. 그담 설명은 말이 필요없겠지요. 날이 너무좋아서 이,오,김, 저는 2박을 때렸습니다. 방내리에서 굉장한 은하수를 목격하고 카메라를 들이댔습니다.  거름냄새 ...
    Date2020.03.25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63
    Read More
  7. 은하수 M24 부근

    2017년 여름, 중부지방에는 정말 비 지긋지긋하게 많이 왔습니다. 장비가 좀 많이 바뀌었는데 그거 떄문에 그런지는 모르지만 하여간 장비 영입후 테스트도 어려울 정도로 날씨가 계속 안좋았네요. 그나마 하늘이 조금 열렸던 서천동 8월 정관에서 장비 테스트...
    Date2017.08.29 CategoryWide Field By김광욱 Views159
    Read More
  8. C/ 2020 F3 혜성사냥 망했슈~~~

    서해안 대부도와 영흥도 밤바리 여행을 한 것으로 만족하고 담에 건져야 겠습니다. 허탈한 일행들이 맞이하는 아침 풍경~~
    Date2020.07.12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59
    Read More
  9. Near Antares

    2013년에 이 부분을 찍어보고 정말 오랜만에 재시도를 해서 찍어봤습니다. (이전사진 : http://www.nightsky.kr/xe/Gallery_deepsky/4310?category=2655) 게으른건지...아니면 정말 찍기 어려운 지역인지.....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좋은 조건 만나기도 힘들죠. ...
    Date2022.05.09 CategoryWide Field By김광욱 Views154
    Read More
  10. 무개조 캐논 5D Mark IV로 찍은 오리온 자리

    지난 12월 18일 날씨와 월령이 모두 좋아서 촬영장비를 꾸려 오래간만에 방내리로 향했습니다. 오샘, 박교수님, 안사장이 와계셨습니다. 장비를 설치하는데 거대한 거름 트럭이 와서 거름을 쏟아 붙는 바람에 정철씨는 9사리로 날아가 버렸습니다. 골치 아픈 ...
    Date2020.12.21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49
    Read More
  11. 백조자리 사드르와 초승달성운 주변부~~

    70mm 경통 2차 테스트를 벗고개로 다녀왔습니다. 홀로 관측을 꿈꾸며 달렸는데 벗고개에서 별하늘지기 별지기 3분과 같이 했습니다. 이것 저것 챙겨주려해서 고맙기도하고 미안하기도 했었답니다. 아무튼 이 펫츠발 경통은 대박입니다. [2020. 04.30. 벗고개]...
    Date2020.04.30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45
    Read More
  12. 2018 별잔치 풍경

    2018년 11월 10일 진천 스타파티 하늘 사진입니다. 별도 같이 담다보니 장비설치된 쪽이 너무 작게 나왔네요. 회장님, 횐님들 수고 많으셨어요. 이날 카메라(40D)가 고장나서 대신 풍경사진 올립니다. 6D 30초 사진입니다. 40D는 고장이 아니라 작동을 잘못한...
    Date2018.11.12 CategoryWide Field By하원훈 Views141
    Read More
  13. 정관(10월21일) 사진들 2

    지난 정관때 라이브 관측하면서 중간중간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영상은 편집할 엄두가 안나네요.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사진은 라이브 동영상 관측 중 대상 확인이 좀 어렵거나 좀 더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 짧은 ...
    Date2017.10.31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138
    Read More
  14. 9월 중순 방내리의 작은 스타파티~~

      방내리 관측소 앞에 망원경이 가득 찼습니다. 늦게 도착한 저는 귀퉁이에 자리를 잡았는데 북극성이 나무에 가려서 겨우 극축을 맞추었고   그후 박교수님이 늦게 도착하셨습니다.   9월인데도 밤에는 너무 추웠습니다. 두꺼운 옷을 준비해야하는데 ....그래...
    Date2020.09.24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7
    Read More
  15. 겨울나무, 오리온, 플레이아데스 그리고 맑고 푸른 밤...

    2박 3일간 겨울밤 풍경을 담으러 서울을 떠나 풍경 좋은 곳에 다녀왔습니다.. 방학이기에 가능한 것이라서.... 방학이 있음에 감사하며... 앞으로도 몇 군데를 더 계획하고 있는데 좋은 사진을 얻을 수있을지 모르겠네요.. 사진에 쓸쓸한 낭만과 시원함 그리고...
    Date2018.01.22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5
    Read More
  16. 여름 전천 은하수

    궁수자리 부분 과 백조자리 부분을 Merge 한 여름 전천 은하수 입니다. 찍을때 걱정했는데 다행히 연결이 되었습니다. ^^;; Pixinsight 에서 Merge 가 안되어 걱정했는데, Photoshop CC 에서 다행히 붙여주네요. 천구를 평면에 붙이다 보니 사진 테두리가 조금...
    Date2017.05.30 CategoryWide Field By김광욱 Views134
    Read More
  17. Antares 부근 추가합니다.(NGC7000)

    RST-135 Sigma 180mm +Astro6D guide Asi290mm+miniBorg ASIAIR pro + iPAD PIX +Photoshop NGC7000(H-alpha합성본) 300S x 12 23일 새벽에 찍은 H-Alpha 추가----------22일 찍은 OSC와 화각이 어긋나 합성은 귀차니즘으로  GG.
    Date2020.03.24 CategoryWide Field By오광환 Views134
    Read More
  18. 벗고개 은하수

    102mm 아크로 굴절 테스트 하던날 촬영한 벗고개의 은하수입니다. 중심부를 5장 합성했습니다. [2018.07.16. 벗고개] Lens : Samyang 24mm(f/2.5), f.4.5 Camera : Canon 6D Mount : Vixen guide pack Exposure Info. : ISO 8000, 50sec 5 frames
    Date2018.07.19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3
    Read More
  19. 굴뚝이 쏘아올린 은하수~~

    지난 토요일 정관을 불참하고 일요일밤에 촬영한 은하수입니다... 서호주의 기억이 상기될 정도로 은하수가 찐하더라구요.. 이날 하늘은 정말 좋더군요... 다음날 출근만 아니면 밤을 꼬박새웠을 텐네... 아쉬워요.. [ 2015.09.13. 강원도 홍천 자운리 ] Camer...
    Date2015.09.18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2
    Read More
  20. 별 볼일 없을 때하는 일(feat. 칼바리 Nature's window은하수)

    별볼일 없을 때는 철지난 사진들을 정리하다가 이미지가 엉망이라서 한구석에 밀렸던 애들을 골라서 심폐소생하는 일도 괜찮은 일거리입니다. 서호주 칼바리의 Nature's window에 걸린 은하수입니다.  이날 날씨가 엉망이라서 사진도 좋지 않지만 여기서 찍은 ...
    Date2020.01.17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3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