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Wide Field
2017.10.31 21:32

정관(10월21일) 사진들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 정관때 라이브 관측하면서 중간중간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영상은 편집할 엄두가 안나네요.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사진은 라이브 동영상 관측 중 대상 확인이 좀 어렵거나 좀 더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 짧은 노출로 찍었습니다.


게시 순서는 관측 시간순이 아니라 별자리별로 올립니다. 아시겠지만 모든 사진은 원샷원킬이오니 허접하기 이를때 없습니다.

그래도 찍다 보니 이것도 은근히 재미가 있습니다. ^^; (죄송합니다. ㅡㅡ;)

모든 사진은 개조 A7S 와 캐논 200mm F1.8 최대개방, LPS-P2 입니다. No-dark No-bias No-flat



1.  안드로메다 NGC891 : iso3200 30sec

안드로메다NGC891_iso3200_30sec.JPG

대표적인 측면 나선은하 ngc891 입니다. 안드로메다 Almach 아래에 있습니다. 입술은하 kiss-me 은하 ^^; 라이브로 보면 모래사장에 떨어진 바늘 같습니다. 

단촛점에도 모습을 보여주니 고맙네요. 너무 작아서 1:1 crop 해서 올립니다.

안드로메다NGC891.jpg

이쁜 입술 보이시나요? ^^

안드로메다 자리에 안드로메다 은하는 건너 뛰고 아래 삼각형 자리로 갑니다.



2. 삼각형 M33 : iso6400 30sec

삼각형M33_iso6400_30sec.JPG

삼각형 자리에 있는 M33 은하입니다. M31 과 같이 우리은하 이웃 은하입니다. 크기가 커서 어두운 편이지만 라이브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나선 팔은 확인이 안됩니다.

1:1 crop 으로 올립니다.

삼각형M33.jpg



3. 쌍둥이 M35 ngc2158 ic443 ngc2174 : iso3200 30sec

쌍둥이M35_ngc2158_IC443_NGC2174_iso3200_30sec.jpg

쌍둥이 발 부근에 있는 성운 성단 종합선물세트입니다. 소금과 후추 M35 ngc2158, 독을 뿝는 해파리 ic443, 원숭이 ngc2174. 빽빽한 별들 사이에 아름다운 대상이 모여있습니다.

라이브로도 즐길 수 있습니다. 해파리 독은 보이질 않습니다. 원숭이성운이 꽤 밝습니다. 원숭이 성운은 오리온자리에 속해 있습니다. 원숭이 옆에 뭔가 빨간게 보입니다. 

옆으로 이동합니다.



4. 오리온 원숭이 ngc2174 ic2162 sh2-261 : iso6400 30sec

오리온_원숭이NGC2174_IC2162_SH2-261_iso3200_30sec.jpg

원숭이 성운 옆으로 재미있게 생긴 성운이 있습니다. wifi 신호세기 표시 같습니다. ic2162. 그 옆으로 성운이 또 있습니다. Lower's nebular sh2-261 입니다. 고도가 낮아서 나뭇가지가

찬조 출연을 해 주네요.



5. 쌍둥이 에스키모 ngc2392 : iso25600 6sec

쌍둥이_에스키모NGC2392_iso25600_6sec.jpg

쌍둥이 자리에 있는 에스키모 행성상성운에다가 들이 댑니다. 당연히 보이질 않습니다. 에스키모 모자를 쓴 귀여운 에스키모 얼굴은 그냥 상상속에만 있습니다. 라이브로 최대확대 하면

촛점이 살짝 맞지 않은 별처럼 보입니다. (+9.19) 바로 옆에 있는 별과 밝기가 비슷합니다. +8.26. 한 가운데 이중성 처럼 보이는 오른쪽이 에스키모 성운 입니다.  아래쪽에 있는 산개성단은

ngc2420 입니다.



6. 쌍둥이 메두사 Abell 21 : iso3200 30sec

쌍둥이_메두사Abell21_iso3200_30sec.jpg

안되는 줄 알면서 또 행성상 성운 메두사 성운에 들이 댑니다. 오호~~ 요거는 보입니다. 라이브로 희미한 얼룩이 확인됩니다. 뭐 그래도 그게 다네요. 

메두사 머리가 전깃줄에 갇혔네요. ㅋㅋ



7.  오리온 : iso6400 30sec

오리온_iso6400_30sec.jpg

설명이 별 필요가 없는 오리온자리의 중심부입니다. M42, M43, 런닝맨, 말머리, 불꽃, M78, 버나드루프 등등 온 하늘에서 가장 화려한 부분입니다. 라이브로 잘 보입니다.



8. 오리온 마귀할멈 ic2118 : iso6400 30sec

오리온_마귀할멈IC2118_iso6400_30sec.jpg

오리온 오른쪽 밑 리겔 옆에 있는 마귀할멈 성운입니다. 어둡습니다. 어둡습니다. 라이브로 확인이 안됩니다. 사진으로도 현장에서 간신히 확인되었습니다.



9. 외뿔소 장미 ngc2239 크리스마스트리 ngc2264 : iso3200 30sec

외뿔소_장미2239_크리스마스트리2264_ios3200_30sec.jpg

와~~ 장미당~~ 와~~ 크리스마스당~~ 두손 벌려 환영합니다. ^^



10. 외뿔소 장미 ngc2239 크리스마스트리 ngc2264 : iso6400 30sec

외뿔소_장미2239_크리스마스트리2264_ios6400_30sec.jpg

하늘에 있는 장미. 지상에 있는 그 어떤 장미보다더 아름답습니다. 하늘에 있는 크리스마스트리. 지상에 있는 그 어떤 트리 보다더 멋집니다(?). 크리스마스트리는.... 아닙니다.....

장미는 라이브로 봐도 정말 이쁘게 잘 보입니다. 꽃잎이 하늘하늘 보이고 안개꽃이 장식을 합니다. 콘 성운은 넓게 퍼진 붉은 성운기는 확인 가능합니다. 푸른 성운기는 확인이 안됩니다.





감사합니당~~ ^^ 다음에 또 올께요~~~

  • 이인현 2017.10.31 21:56
    A7s + 밝은 렌즈 조합은 천하무적입니다. 이건 필히 아프리카 방송으로 해야겠는데요^^
    ngc891은 머리털자리 니들갤럭시를 닮았군요. 오리온 부근은 뭐 광량이 차고 넘치네요~
    담에 해파리 원숭이 광시야로 함 찍어봐야겠습니다.
  • 이상헌 2017.11.01 13:28

    별풍선 쏘시면 더 보여드립니다~~ ^^

    밝고 촛점거리가 긴 경통이 필요합니다. ㅎㅎ

  • 이인현 2017.11.02 00:32
    렌즈턱 쏴야죠^^ 언제?
  • 이상헌 2017.11.02 00:48
    구입하셨어요? 벌써? 일단 사용해보시고 천천히 구입하시지... ㅎㅎ
  • 김광욱 2017.11.04 15:44
    와아아 이쁩니당
  • 이상헌 2017.11.06 00:14
    고마워용~~ ^^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정관(10월21일) 사진들 2

    지난 정관때 라이브 관측하면서 중간중간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영상은 편집할 엄두가 안나네요.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사진은 라이브 동영상 관측 중 대상 확인이 좀 어렵거나 좀 더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 짧은 ...
    Date2017.10.31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138
    Read More
  2. 정관(10월21일) 사진들

    지난 정관때 라이브 관측하면서 중간중간 찍은 사진들을 올려봅니다. 동영상으로 촬영된 영상은 편집할 엄두가 안나네요.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사진은 라이브 동영상 관측 중 대상 확인이 좀 어렵거나 좀 더 확실하게 보기 위해서 짧은 ...
    Date2017.10.31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171
    Read More
  3. 홍천하늘 2 (8월30일 정관후기)

    토요일 정관 공지가 뜨고 저녁에 가족행사가 잡히고... 가족행사 대충끝내고 방내리에 도착한 시간이  얼추 23시 30분. 어둠속에서 회원분들 인사하지만 지금 전부 예민한 시간이라는 건 안다.ㅡㅡ; 그저께 환상적인 하늘을 보여줬던 관측지는 오늘은 쪼끔 투...
    Date2014.09.05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2444
    Read More
  4. 백조자리 큰곰자리

    퇴근후 열심히 달려갔는데도 8시가 훌쩍 넘어서 도착했습니다. 오래간 만에 회원님을 뵈니 반갑기도 했지만 차가 미끄러져서 인사도 제대로 못하고 신세부터 졌습니다. 몇 년전 폐가의 악몽이.... 간만에 고무타는 냄새가.... 망원경을 다 처분한 터라 50mm 렌...
    Date2011.03.06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2053
    Read More
  5. 이중성단 부근

    하드디스크 정리 마지막입니다. 죄송합니다. ㅡ_ㅡ;;; 2009 9 18 청태산 자연휴양림 올림푸스 E-620 ISO800 ZD150mm F2.0 60sec@f2.0 + 60sec@2.8 + 240sec@2.8 총 3장 EM11t2j notouch 25% resize 50% resize 노출이 부족하면 뽀샵등 소프트웨어에서 노출을 ...
    Date2009.10.06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1695
    Read More
  6. 은하수 부근

    철지난 허접사진이지만 기록차원에서 올립니다.(2) ^^ 2009 5 31 정기관측 강원도 청태산 자연휴양림 올림푸스 E-1 ISO400 60sec x 8 올림푸스 ZD 50mm F2.0@F2.0 올림푸스는 포써즈 규격의 센서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세로로 세운 사진도 균형이 잘 잡힙니다...
    Date2009.10.06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1723
    Read More
  7. 백조자리 일부

    철지난 허접사진이지만 기록차원에서 올립니다. ^^ 2009 5 31 정관 강원도 청태산 자연휴양림 올림푸스 E-1 ISO400 60sec x 12 올림푸스 ZD 50mm F2.0@F2.0 과거 올림푸스 바디의 노이즈 수준을 알 수 있었습니다. 노출을 더 줄려도 벌브 리모콘이 없어 1분 ...
    Date2009.10.06 CategoryWide Field By이상헌 Views16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