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5346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텔라드부터, 돗트 화인더까지 생각한 후에(돗드 화인더는 포물면의 부분을 이용하는것을 확신함)

 

진짜로 돗트화인더가 포물면가공을 했는지 확인을 하려고 이곳 저곳 웹사이트를 찾아봐도

 

찾을수가 없었습니다. 텔라드는 알려졌는데(텔라드는 포물면 아님),,, ( 특허로 검색하면 되겠네요-지금 생각).

 

제가 가진 미드의 red dot finder를 박살내도 검증하는 것이 쉽지가 않을것 같아서

 

이리 저리 돌려보며 어떤 test를 해야 알수있는지 약 30분 고민했습니다.

 

포물면의 한쪽을 사용(제가 그동안 추론한 결과) 하면 사진처럼 위와 아래부분의

 

깊이가 달라질것이고, 위쪽이 더 깊게 들어갈거라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깊이(길이)를 측정하는 자(버어니어켈리퍼스)를 조심히 넣어보니 차이가 많이 납니다.

 

포물면 가공의 한쪽면을 사용하는 것의 1차 검증시험을 pass 한겁니다^^

DSCF8440.JPG DSCF8438.JPG

 

DSCF8439.JPG DSCF8437.JPG

 

 

 

 

 

 

  

  • 오영열 2012.09.27 11:16

    조금 더 정밀하게 깊이를 측정하여 모눈종이에 좌표를 찍으면, 도형의 방정식도 구할 수도 있겠군요

    버니어 보다는 Amic 측정기 등을 이용하면 더 정확하게 나오겠네요~

  • 한호진 2012.09.28 10:57
    오서방님도 점차 누굴 닮아 가는듯....ㅎㅎ 즐거운 추석 되세요.
  • 오영열 2012.09.28 12:29
    ㅎㅎ 건강하시죠?

    닮아 간다기 보단 물드는거 같습니다 ㅎㅎ
  • 여기서 그칠수가 없지요. 어제 정모에서 혼자 이생각이 나더군요.
    얼마전에 굴절경에 포물면이 없는 이유를 엑셀로 확인한 방법대로 이것에 적용하면 되겠습니다.

    지난번에는 포물선(2차평면)으로 엑셀계산을 했는데 이번에는 3차입체면을 써야하니 많이 복잡하겠지만,,,

    x.y,z 으로 표현되는 포물면 방정식(점광원위치와 유리면으로 부터 방정식을 간단하게 유도하고)에

    5포인트의 측정값(x1,y1,z1 ~ x5,y5,z5) 이  그 방정식에 근사치로 접근하면 2차 테스트가 통과되는 거지요.

    미드 돗트 화인더의 구경이 작아서 정확한 측정에는 애를 먹겠지요. 다른 메이커의 큰 돗드 화인더를

    보면 그때 자로 들이대서 측정하고 이번(잠시후)에 만들어논 엑셀에 넣으면 되고요.

    dot finder 20120928n.JPG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02
4026 귀국 3 강문기 2005.08.14 844
4025 ^^ 즐거운 성탄 되세요. 3 이상호 2005.12.25 844
4024 대보름이네요~ 5 file 정중혁 2006.02.12 844
4023 [re] 시흥댕겨왔습니다. ~3번째 줄은 누구? 5 file 홍두희 2008.06.21 844
4022 내일은? 3 윤종성 2008.09.05 844
4021 구~신 모집. 4 한호진 2008.12.05 844
4020 이번 연휴중 마지막 기회. 3 한호진 2009.05.03 844
4019 제대 5일 남았습니다..~~ 김완기 2003.05.22 845
4018 컴에 바이러스가... 정민경 2003.11.12 845
4017 [re] 새해 첫 번개 공지 김경준 2004.01.02 845
4016 [re] 이사준비 유종선 2004.06.29 845
4015 비상사태... ㅡㅡ;;; 정중혁 2004.11.12 845
4014 저 이직합니다. -,.- 김경준 2005.07.08 845
4013 오늘은 어떤 별을 볼수 있을까요? 3 이동우 2006.12.10 845
4012 장마철 뚝딱뚝딱 14 file 이수진 2007.06.28 845
4011 또...시작.. 4 한호진 2008.11.04 845
4010 내일은 ??? 7 한호진 2010.02.04 845
4009 돌아보는 지난 6개월 file 조정래 2003.10.22 846
4008 [re] 답변 갑사합니다 (냉무) 성해석 2003.12.29 846
4007 [re] 날씨 꿀꿀한데... 어디 자랑이나 함 해봅시다 (삭제 대상 ^^;) 유종선 2004.06.29 846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