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4491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아천의 임재식님이 전죽 완주군 고산면에 무궁화천문대를 개관한다기에 격려( ?? / ㅋㅋ) 해주려고

다녀왔습니다.  고산면의  자연 휴양림및 오토갬핑장 정문옆 2층 군소유 관리동의 옥상에 자비로 슬라이드돔과

20인치 돕소니어등 천문장비를  설치하였습니다.

전주에 계시는 황원호님과 제가 같이 갔습니다.

노력한 만큼 결과가 나오는 사설천문대인 만큼 날로 번창하길 바랍니다.^^

사진의 콘트롤러는 Obsession 20인치 goto 구동용입니다.

DSCF8855.JPG DSCF8852.JPG DSCF8853.JPG

 

 

 

  • 안정철 2013.04.28 10:55
    축하드립니다.
    좋은 결과 기원드립니다
  • 홍두희 2013.04.28 13:11

    이날(금) 황선배와의 이야기중에, 어린 학생들에게 별과 달과 해를 보여주면(황회장님은 자주 학교 봉사 나가십니다)
    '왜 흑점이 "검"어요?' 라는 질문을 받는 답니다. 흑점이 주변보다 온도가 낮아서 상대적으로 어둡다라는 답을 해주시만
    그러시면서도 썩 흡족하지 않으신 답니다. 저도 온도=밝기, 차이구별= 대비 등등 머리속의 정보들을 정리해도
    스스로 흡족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심플한 해답(설명)이 있을거라 생각하고 숙제를 가지고 올라왔습니다.

    어제(토) 정모때는 피기백 장비 -> 극축 셋팅 어려움(구멍만 뚤린 극망) -> 파이프속 별 -> 동공의 크기 -> 눈의 감각 능력 ->
    시세포의 종류 -> 흑백 구별 세포의 능력 -> 10의 10승 정도의 다이나믹레인지 -> 시세포 센서의 비연속적 센서능력를
    브레밍 스토밍 방식처럼 하선셍님, 안정철님, 오광환님, 홍두희님, 강선생님이 이야기 했습니다. 시세포부터는 강선생님이
    주도권(ㅋㅋ)을 잡으셨구요^^ 마지막부분의 비연속부분이 제겐 새로움 이었습니다.( 아 시원해)

    지금(일) 정리를 스스로 해보니까(학생 질문 대답용), 물체의 온도가 뜨거울수록 더 밝다는 과학적 사실이 있으며(어렵지만 색온도),
    흑점이 어두운 이유는 주변(해의 대부분)보다 어두워서 그런겁니다.
    깜깜한 밤에 조명있는 실내에서 조명없는 바깥으로 나가면 주변이 안보이지요.
    만일 저 먼곳에 밝은 조명(자동차 헤드라이트)이 있다면 밝은 조명만 보일겁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주변이 보이고요.
    주변에 있는 물체는 내가 실내에 있던, 바깥으로 나왔던 관계없이 같은 밝기 였는데 내눈이 서로 다르게 보인겁니다(시간차, 눈의 적응)
    해의 대부분이 밝은 부분이니까 눈은 밝은 부분에 적응해 있게되고, 밝은 부분에 점점이 박힌 조금 덜 밝은 부분은 어둡게
    보이는것이지요.

     

    공기가  없는 달에서 일식일때(지구 입장에서는 월식), 

    만약 지구에 태양흑점의 각크기 만한 구멍이 파이프처럼 관통되는 구멍이 있고, 그 구멍의 위치가 태양흑점의 위치와 일치할때(즉 지구흙만 태양을 가리고,

    태양흑점은 지구에 뚤린 구멍을 통해 보이고)라고 가정한다면,

    태양의 밝은 빛은 지구에 가려서 안보일것이고(검고, 코로나 홍염은 지구가 가리는 정도에따라서 보이고),  태양 바깥은 평상시 밤하늘로 보일것이고, 구멍속 흑점은 밝게 보이겠지요^^

     

     

     

  • 박기현 2013.04.29 15:25
    오토캠핑장이 있다 하니 가봐야 겠네요~~ ㅋㅋㅋㅋ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699
4306 포커서와 각종 결합문제.-090630 4 한호진 2009.06.29 1633
4305 포물선 고민이 끝났으니 우리 망원경을 위밍업 해봤습니다. file 홍두희 2005.07.20 1062
4304 폐박스 완성되었습니다.우하하하하~ 11 한호진 2007.03.20 1219
4303 폐교 검토 내용 3 file 오봉환 2010.01.04 5827
4302 폐가주변 7 한호진 2006.06.19 1055
4301 폐가.... 5 한호진 2007.04.06 897
4300 편한 오후~~, 쉬어갑시다. 7 file 홍두희 2009.11.20 1070
4299 편한 성생활 끝 힘든 생활 시죽.. 전범수 2002.10.04 2656
4298 페르세우스 유성우 10 유종선 2005.08.11 1046
4297 페르세우스 유성군에 대한 기본 상식 정한섭 2004.08.12 1213
4296 팥빙수번개-080725 1 한호진 2008.07.26 1342
4295 팝니다. 정민경 2003.06.11 1065
4294 팔불출이~~~ 13 조용현 2012.11.13 5479
4293 팔로잉/팔로어스 3 한장규 2010.03.25 1075
4292 팔 물건을 올리고 나니 많이 아쉽네요. 2 공대연 2007.02.11 1068
4291 판스타즈 혜성 찾기 실패.... 3 최종운 2013.03.10 4256
4290 파인만의 농담. 1 홍두희 2017.10.10 305
4289 파인더를 하나 구입하려고 하는데요, 암시야 파인더가 좋나요? 4 김주일 2007.12.03 1033
4288 파리의 잠못이루는 밤... 7 file 공준호 2008.12.18 1067
4287 파리 나폴레옹 세인트헬레나 헨리 etc 6 홍두희 2011.06.10 2247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