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안으로 가까운곳의 글씨가 잘 안보일때 한쪽눈을 감는 윙크기법.

 

제눈과 뇌는  좌우 두개의 광학계에서 받아들인 신호를 아마도 평균해서 인식하는것 같습니다.

 

제 왼쪽눈은 오른쪽에 비하여 난시가 심하고, 좌우 모두 다른 근시도수가 있습니다.  좌우각자 적당한 고정방식으로 보완해왔습니다(도수안경)

몇년전부터는 수정체의 근육을 세게 조여주는 기능이 떨어지는 노안이 와서 가까운곳을 볼려면 촛점이 맺지않아서 흐려보입니다.

 

가까운 곳을 보려면 안경을 벗어야 하는 불편이 있지요. 아마 제가 근시용도수안경을 쓰지 않았다면 돗보기를 사용해야 했겠지요.

안경을 쓴 상태에서 눈앞의 글씨를 보려면 글씨가 흐려지는 노안증세가 생깁니다. 오늘 한쪽눈(근시도수가  심하고 난시가 있는쪽)을

감는 실험을 했습니다(사고시험후). ^^ 당연한 결과지만 조금 나아집니다  ㅋㅋㅋ.

eye_autofocus_20130501.JPG

 

 

-

5월2일 추가

위 그림을 조금 보완했습니다

( 동공안 굴절률 반영, 먼곳과 가까운 곳의 촛점 위치-작은 물체를 똑바로(정면으로) 바라보고(얼굴을 돌려서)시야중심에 넣었을때)).

  eye_autofocus_20130502.JPG

 

어제 뉴스에 보니 LG에서 곡면OLED 디스플레이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곡면부라운관에서 평면으로 또 다시곡면으로 가는데 곡률이 반대네요^^

뉴스 이전인 어제에  안시관측에 때때로 사용하는 주변시를 생각했습니다.  시야정면에 있는 대상이 눈에 보이는 각크기와  주변시에서 보이는

대상의 눈에 보이는 각크기가  서로 다를것이다(눈의 광학구조때문에). 한쪽눈만 사용해서 정시,주변시를 간단히 해보았지만 정략적인 TEST는

확인하기 어렵네요. 적당히 떨어진곳에 여러개의 발광체를 등각간격으로 놓고 눈을 고문해 봐야겟습니다. 고문하는 과정이 눈근육 운동효과가 나겠지요ㅎㅎㅎ 

  • 백철호 2013.05.01 17:38
    저도 왼쪽눈이 안좋으니 한번 시도해 봐야겠군요.
  • 오영열 2013.05.01 21:54
    지능형 안경이 어여 개발 됬으면 좋겠습니다...
    (눈의 투과율을 수시로 조사해서, 좌우 렌즈 개별적으로 굴절율이 바뀌는...)
  • 홍두희 2013.05.02 03:26

    그러면 노안은 30대에 대부분 나타날겁니다. 오토포커스기능의 근육이 할일이 없으니 태화될것이고,,,,,,

    근시 잡으려다가 노안 불러들이는 꼴이 되겠네요^^    그 안경 없으면 완전 장님되고,,,,

  • 오영열 2013.05.02 20:30

    ㅎㅎ.. 어쩌면 그렇게 남용 될 수도 있겠네요... 양악(?) 수술처럼...

    하여간, 인간은 끝없이 나쁜 쪽으로 발전하는 것 같습니다....


    음.. 제 생각엔 젊은이들이 지능형 안경을 사용해서 좌우 포커싱을 다르게 이용할 것 같진 않네요. ( 필요성을 못 느낄 듯 ㅎㅎㅎ )

    일단 제 의도는 순수하게 회장님 같은 반 노인들(ㅋㅋ)을 위한 아이템이었는데...

    군사적인 목적이나(순간적으로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상황에서 시야 확보) 등 ), 전문직들 ( 보석 감정 같은... )에겐 유용한 물건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아!!! 또 있네요...!!!

     

    역발상으로... 눈동자 운동 기능을 넣어서 사용자가 눈운동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의료용은 어떨까요? ㅋㅋ

  • 한호진 2013.05.03 11:58
    날잡아서....쓸만한걸로 구해보자구요.ㅋㅋㅋ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02
366 레터 투 줄리엣 그리고 무상급식 2 홍두희 2011.10.30 2941
365 홍회장님~ QHY5와 EQ5 synscan의 가이드 게이블 관련 질문입니다 2 file 조용현 2010.09.02 2941
364 사진 게시판에 1월 정관 5DMark2 동영상 올렸습니다 (내용무) 공준호 2009.02.19 2951
363 잡담. 5 file 홍두희 2014.01.15 2956
362 숙제 검사 결과 1 file 홍두희 2013.10.28 2957
361 이런 습기제거 ?? ㅋㅋ 2 file 홍두희 2014.03.27 2959
360 양평가는 길 교통상황 및 영상 제공 사이트 윤석호 2009.01.27 2962
359 끙 끙 끙 20년간, 백라이트 백라이트 백라이트. 7 file 홍두희 2014.04.15 2962
358 아 이런 엉터리 신문기사 싫어요 1 file 홍두희 2014.02.10 2962
357 추모합니다 1 오영열 2013.06.25 2963
356 정회원게시판에 호주탐사관련 글 올렸습니다.. 조용현 2014.03.28 2966
355 잡담 - 한쌍(pair) 홍두희 2014.01.25 2979
» 제가 50여년 사용한 아주 복잡한 광학계에서의 조금 편리한 사용 tip 발견 ㅋㅋㅋ. 5 file 홍두희 2013.05.01 2980
353 반짝이는 달과 별이 참기 어렵게 만듭니다. 9 file 하원훈 2014.05.25 2982
352 회장님이 보내주신 file 원덕중 2014.02.04 2988
351 아이고 허리야... ~~~ 10 오영열 2012.03.04 2994
350 10월2일-3일 중미산 관측기 변성식 2002.10.04 3023
349 2013년 서천동 회계보고 (진행중) ->2014년 1월3일 결산완료. 홍두희 2013.12.21 3030
348 또 설문조사 17 홍두희 2011.11.01 3050
347 후드재료 파는곳입니다. 1 조승기 2006.08.05 3051
Board Pagination Prev 1 ...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