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3570 추천 수 64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
추가합니다.

어제 이어 촛점이 잡히는지를 실험해봤습니다.

LPS P2로는 50mm에서 촛점이 잡히지 않던 것이
Orion사의 skyglow필터를 끼우고 다시 시도 해보니 촛점이 잡힙니다.
LPS P2 FF 필터와 오리온사의  스카이 글로우 필터와 별 차이가 없으리라 생각 되었는데
의외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차이가 이런 결과를 만드는지 모르겠습니다.

--------
그림설명
--------
EF 50 F1.8 렌즈와 로우패스 필터를 제거한 300D입니다.
보정 없이 중앙부 크롭한후 50% 리사이즈 했습니다.

좌측은 필터 없는 상태, 중앙은 LPS P2 FF, 우측은 오리온사의 SKY GLOW(한국 OME제품이죠)입니다.
각각은 흐린날(오늘...^^;;;) 실내등 없이 창박에서 들어오는 자연광과 배색 A4용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custum WB 맞추어서 거의 같은 조건입니다.
부정확한 화밸이지만 역시 동등하게 부정확하는 이야기죠.

포커스는 역시 순서대로 "스카이글로우"에서 잘 맞고 있습니다.

커스텀 화밸은 역시 LPS P2 FF에서 월등하게 좋습니다.
어제 야외에서 태양광하에서 맞추어 놓은 화밸은 더 좋더군요.
그러나 LPS P2 FF의 촛점은 사용할수 없을 정도 입니다.  
85mm 이상에서는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 홍두희 2005.10.07 14:50
    촛점이 안맞는 이유는 300d도 안보고 필터도 안봤지만 그래도 그림을 그려봅니다.
    필터를 제거해도 랜즈와 CCD면의 거리는 원래와 같다는 가정에서,

    우선은 랜즈의 중앙만 남기고 실험을 해보세요. 도화지에 1CM 원형구멍을 뚫어서 랜즈앞에 놓고 실험을 해보세요. F 1.5 를 F8 로 만드는거지요. 내 추측컨데 이러면 촛점만은 맞을 겁니다. 맞아도 쓸수는 없지만.

    SKY 와 FF의 차이는 굴절율의 차이와 두께의 차이가 있을겁니다. 두께야 그냥보면 되지만 굴절률은 레이져포인트로 방에서 불끄고 비교실험을 하면 잴수가 있을겁니다.

  • 유종선 2005.10.07 18:21
    F수는 도화지 없어도 그냥 렌즈의 조리개로 줄일수 있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그건 심도가 깊어지는 것일뿐 너무 어두워져서 쓸 수가 없어요.

    필터의 두께에 차이는 있습니다. 사실 좀 많습니다.
    그런데 이게 굴절율의 차이를 보이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어쨋거나 굴절율의 차이가 있으니까 촛점이 맷히고 안맺히고 하는것이겠지요? ^^
  • 성해석 2005.10.09 18:49
    slr 하나 있는것이 재산 목록의 상위에 랭킹되어 있는 저로서는 엄두가 나질 않는군요...
    너무 거저 먹는 생각인지 몰라도 ... 사진도 되고 노이즈도 적고 감도도 좋은 .. 뭐 이런 전천후 카메라 하나
    나왔으면 좋겠네요..^^ 유선생님의 끝없는 탐구정신을 위해 ..... 화이링 !!!!!!!
  • 유종선 2005.11.06 21:38
    해답은 정중혁님의 해설에 있습니다.
    필터의 두께가 결정적이었군요. 하나씩 배워나가는게 재미 있습니다. ^___^

천문정보

천체관측 관련 정보모음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0 천문이론 12장 붉은 화성: 12-1. 지구의 이웃 화성 장유 2021.05.24 114
299 천문이론 10장 태양에 그을린 수성: 10-1. 수성의 겉모습은 왜 다르게 보일까? 장유 2021.05.11 115
298 천문이론 9장 황량힌 달: 9-1. 달표면은 공기가 없고 몹시 건조하며 평지와 분화구로 덮여있다 장유 2021.05.03 127
297 천문이론 유니버스(Universe) 서문 1 장유 2021.02.22 134
296 천문이론 3장 일식과 달의 운동: 3-1. 달(the Moon)의 월령(月齡) 2 장유 2021.03.08 142
295 천문이론 8장 살아있는 지구: 8-1. 바위는 지구 표면의 역사를 알려줄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 장유 2021.04.23 146
294 천문이론 4장 중력과 행성의 운동: 4-1. 고대의 천문학자들은 행성의 운동을 어떻게 설명했는가? 장유 2021.03.16 147
293 천문이론 2장 하늘의 이해: 2-1. 위치천문학과 고대문명 2 장유 2021.03.01 152
292 천문이론 13장 행성의 왕, 목성: 13-1. 목성에서도 달이나 지구처럼 서있을 수 있을까? 장유 2021.06.01 154
291 천문이론 11장 구름에 가려진 금성: 11-1. 두터운 구름에 감춰진 금성 3 장유 2021.05.17 159
290 천문이론 1장 천문학과 우주. 1-1. 천문학자들은 물리 법칙과 이론적 모델을 실험해서 우주를 이해하려 합니다. 1 장유 2021.02.23 171
289 천문이론 16장 바깥 세계: 16-9. 명왕성과 위성 카론은 태양계 바깥을 돌고있는 수많은 얼음덩이들의 전형 장유 2021.07.05 181
288 천문이론 16장 바깥 세계: 16-1. 천왕성과 해왕성은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장유 2021.06.23 182
287 천문이론 6장 광학과 망원경: 6-1. 굴절망원경과 반사망원경: 망원경은 크야 할까? 장유 2021.04.07 185
286 천문이론 5장 빛과 물질의 성질: 5-1. 빛의 속도와 측정 2 장유 2021.03.25 190
285 장비정보 그날 이후 궁금증 이인현 2017.01.11 213
284 천문이론 15장 토성: 15-1. 매혹적인 토성의 띠 장유 2021.06.09 217
283 천문이론 7장 태양계 (Solar system): 7-1. 다른 행성들은 지구와 비슷한 환경일까?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장유 2021.04.12 229
282 장비정보 CN 플레이트홀더 4 file 이인현 2017.02.07 230
281 천체사진 pc 라이브뷰를 찾은 이유 1 file 이인현 2016.10.20 23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