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4403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회장님....


카오디오 엠프에 대해서도 잘 아실 것 같아 어쭙겠습니다.

카오디오 엠프는 배터리로 부터 전원(12V +, -)를 연결하고, 

카오디오 헤드유닛으로부터 리모트 전원선(+12V)으로 전기공급이 이루어 질때 작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약 헤드 유닛으로부터 오는 리모트 전원선 에서의 전기 공급을

배터리와 직결해서 공급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요?


만약 아무 문제가 없다면, 

배터리에서 +12V 전원을 리모트전원선으로 카오디오 엠프에 넣어주어서..

이 전원선에 스위치를 달아서 엠프를 켜고 끄는 용도로 해보려고 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 홍두희 2013.11.21 12:01
    이런 생각 해 보세요.
    커피포트에 꼽는 굵은 전기선을, 가는 전화선으로 바꾸면 안될까요?
    안되겠지요?, 누구나 이러면 좋은 줄 알면서도 아직도 굵은 전기줄을 전기후라이팬의 코드로 쓰니까요.
    요즘 커피포트의 전선의 길이가 짧은 것은 아세요? , 혹시 예전에 쓰시던 스텐레스 커피포트가 있다면 그 코드줄과
    요즘 테팔 무선커피포트의 코드선 길이를 비교해 보세요. 굵고 길게 만드는 대신 가늘고 짧게 만들어서 쓰고 있습니다.

    앰프는 큰 전류를 잡아먹습니다. 큰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도 커야되고, 그 중간의 전선도 굵어서 전선때문에 낭비되는 전기를
    줄이고 있습니다. 가는 전선을 쓴다면 전선의 전기저항이 커져서 전선사이의 전압이 생겨서(걸려서) 정작 앰프에는 전압이 작아지는 것입니다.
    앰프에 리모트용 전기단자가 있는 이유는 작은 신호로 큰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목적도 있고, 워밍업을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앰프가 사용중일때는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스위치도 큰 용량의 스위치가 필요합니다. 만약 리모트용 신호로 앰프를 사용할때는
    이 큰 스위치를 안 달아도 되는 것이 되지요. 즉 그냥 전선을 연결해 놓고, 작은 리모트 스위치만으로 앰프를 켰다 껐다 할수 있지요.
    리모트스위치와 메인 스위치를 함께 묶어서 사용해도 됩니다. 하지만 전원을 켜자마자 큰 소리가 나도록 하면(즉 소스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시에 메인과 리모트가 함께 작동되면) 메인 앰프가 워밍업도 하기전에 큰 출력을 내야 하기에 손상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제가 쓰는 카앰프(사무실에 박혀 있습니다)는 리모트전원과 메인전원을 함깨 큰 스위치에 연결해서 하나의 스위치만 있습니다.
  • 박기현 2013.11.21 12:41
    메인 전원 12V+,-는 배터리와 항상 직결로 되어 있습니다.
    추가로 리모트선을 같은 배터리 12V+로 연결해서 리모트선만 스위치를 달려고 하는 것이거든요..
    제가 이해하기로는 앰프가 배터리와 직결되어 있어도 리모트선에서 12V+를 넣어 주지 않으면 앰프는 동작하지 않고,
    전기도 안먹는다고 생각하는데, 제 생각이 틀린건가요?
  • 홍두희 2013.11.21 13:56
    추가로 리모트선을 같은 배터리 12V+로 연결해서 리모트선만 스위치를 달려고 하는 것이거든요..
    ==> 맞습니다.
    전기도 안먹는다고 생각하는데
    ==> 전혀 안먹지는 않습니다. 얼마나 먹을지는 제품마다 다르겠지요.
    만약 전혀 안먹는 다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 일이 없겠지요
    (자동차에서도 카라디오용 메인전원은 배터리와 직결되어 있고, 카라디오 버튼을 누르면 카라디오가 작동됩니다,
    카 라디오 버튼이 위의 리모트전원단자역활을 하는 것이지요.
    카 라디오 버튼이 안 눌러있으면(라디오가 꺼져있으면) 카라디오는 전기를 안 먹을까요?
    만약 안 먹는다면, 이런일는 왜 생길까요? ->
    1) 배터리를 안 건들이면 며칠동안 놔두어도 예전에 저정한 주파수를 기억하고,
    2) 배터리를 빼놓으면 잠시후엔 예전에 저장한 주파수를 잊어먹고,)
    카 라디오는 몇달을 그냥 놔둬도 전기를 조금 먹기때문에 괜찮은 것입니다.
    카 앰프는 얼마나 먹을지는 모르고요(측정 해봐야 알지요), 이런것을 대기전력이라고 합니다.
  • 크기변환_20131126_131055.jpg


    이것은 마치 마술과도 같네요.. 회장님...

    노이즈는 거의 없습니다...


    단 무선마이크를 껐을때 잠시 노이즈가 있다가 사라지는 군요....
    이 증상은 별로 불편함이 없어서 그냥 둬도 될 것 같네요..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어젯밤 집구경도 잘 했습니다.. 

  • 2년 반전에는 아래부품이 없어서(이 회사에서도 없었는데) 위의 빨간것(임피이던스 트랜스, 10k오옴:600오옴)를 쌍으로 묶어서
    10k오옴:600=600:10k오옴 -->즉 10k오옴:10k오옴 의 1:1 트랜스를 만들었는데
    지금 다시 이곳을 열어보니 8k:6k의 1:1에 거의 근사한 부품이 보이네.
    오디오의 작은 신호(audio signal) 가 두 기기장치에서 연결될때에 잡음(발생 원인은 무척 많음)이
    생길수 있는데 요 작은 트랜스를 쓰면 됩니다.
    요 아래 부품(8k:6k)는 line in / mic 단자 사이에 넣으면 됩니다.

    audio matching trans 8k_6k 2016-03-14.jpg




    2~3개월전에 홍천에서 불루투스 모듈 삽입한 모노 에코 앰프(골드스타)의 노이즈를 잡으려고
    오늘 예전 전화기에서 적당한 작은 트랜스를 빼서(당연히 계측기로 사용 가부 판정...) line in 에 추가했더니 깨끗해 졌습니다.


서천동 지식인

모르는것 궁금한것 다물어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서천동 지식인 게시판 이용안내 홍두희a 2010.05.17 7483
공지 초보자를 위한 교육용 추천 홈페이지 싸이트. 4 홍두희 2008.10.16 7907
280 [오리온자리에서 왼쪽으로] 라는 책이 나왔다고 하는데... 정한섭 2003.10.28 3136
279 개인관측소로를 농막으로 신고해도 될까요? 6 최재성 2013.06.10 3106
278 저는 학원 과학 강사입니다. 이혜란 2003.02.28 3101
277 김회장님 질문염 ( 가이드 마운트 ) 전범수 2002.10.01 2925
276 [re] [오리온자리에서 왼쪽으로] 라는 책이 나왔다고 하는데... 1 김경준 2003.10.28 2900
275 우리아이가 천체에 관심이 많은데.... 조준형 2003.08.28 2812
274 홍콩에 이런 사이트가 있습니다만 구매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9 오광환 2012.01.18 2787
273 궁금한것 몇가지-090908 3 한호진 2009.09.08 2780
272 체력을 단련하고 장비를 점검하여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_전기문제 질문입니다. 15 오광환 2013.09.24 2778
271 [re] 저는 학원 과학 강사입니다. 박경원 2003.03.14 2708
270 안녕하세요. 딥스카이 촬영 입문 하려고 합니다. 6 오현진 2013.11.13 2703
269 남반구 천체사진관측을 위한 준비자료일부~~ 1 조용현 2013.07.15 2613
268 펜탁스 75sdhf + 파워메이트 4배(2인치) 구성 질문드립니다 1 장석민 2009.06.29 2607
267 호주에서 관측할려는데 정보 좀 주세요~~ 7 file 조용현 2013.07.04 2587
266 USB 허브 추천해 주세요. 4 오광환 2011.06.22 2578
265 DSLR을 이용한 사진은 MaXim에서 다크프레임 처리가 불가능 한가요? 12 오광환 2013.05.07 2555
264 천체망원경 골라주세요 10 신초희 2011.08.22 2402
263 느닷없는 질문 드립니다. 11 이인현 2013.12.20 2381
262 전기 전문가이신 회장님께 질문드립니다. 2 김형욱 2010.12.07 2367
261 알루미늄 경통 제작할 수 있는 곳? 7 file 최종운 2013.11.12 23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