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2014.02.11 18:45

예술인과 연예인

조회 수 1976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며칠 전에 TV 뉴스를 보다가 국악소녀라는 별명으로 불린다는 앳된 여고생이 뉴스 앵커와 인터뷰를 하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TV 광고에서도 몇번 본 아이라서 '그래, 노래를 잘하는 아이였지'라고 생각하며 잠깐 보고 있는 중에, 어떤 맥락에서 나온 얘기인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이 소녀가 자기는 예술인이지 연예인은 아니라는 얘기를 하더군요. 앵커가 조금 당황스러웠던지 되물었는데 같은 대답이였습니다. 

 

 아마도 이 아이를 가르치는 선생이나 또는 누군가가 그런 생각을 심어 준 것 같습니다. 예술, 예술인, 순수예술, 클래식, 고상함 등과 예능, 연예인, 딴따라, 대중예술, 상업예술, 저급함 등의 구분을 얘기한 것이겠지요. 서양 사람들도 이런 얘기를 합니다. artist와 entertainer의 차이점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어느 서양 사람의 구분 기준이 눈에 띄길래 여기 옮겨 봅니다.

 

"They(artists) are making the world new and different with their work. An artist is like a prophet in that way."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으로 세상을 새롭고 다르게 만든다. 이런 면에서 예술가는 선지자와 비슷하다.

 

어느 한국 사람은 이렇게 얘기합니다. "예술가는 ‘무책임한 상상력’으로 새로운 세상의 형상을 그려내는 존재다. 예술가가 그려낸 새로운 세상의 형상은 --- 모든 사회성원에게 공급된다." 

여기서 '무책임한 상상력'에 대해서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예술가는 제 상상력으로 뭐든 그려낼 수 있다. 장기적인가 단기적인가, 이상적인가 현실적인가, 리얼리즘인가 문자언어로 환원할 수 없는 형식인가 따위는 상관이 없다." 

 

저에게는 위 두사람의 예술가에 대한 정의가 마음에 와 닿습니다. 여기에다가 사족을 좀 달면; 예술가(인)는 간혹 또는 자주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존재이기도 하며, 엘리트냐 딴따라냐는 예술가가 되기 위한 조건, 즉 시쳇말로 스펙이 아니다. 그리고 세상을 새롭게 한다는 게 꼭 거창할 필요는 없다.


예술가 또는 예술에 대한 정의를 이렇게 내리면 다음과 같이 얘기할 수 있겠습니다.


1. 클래식 음악은 예술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갖추었는가?...... 아무리 봐도 아닌 것 같다.

    지금은 바로크 시대도, 고전파 시대도, 낭만파 시대도 아니다. 그런데 클래식 음악은 그냥 이런 것듦만

    끊임없이 반복할 뿐, 이 시대에 어떠한 새로움도 영감도 주지 못하고 있으니 이것을 예술이라고 하기는

    하기는 참 어렵겠다.

 

2. 그러면 국악은?...... 이것도 아무리 봐도 아닌 것 같다. 위의 클래식 음악과 무슨 차이가 있을까?

 

3. 나는 이 친구의 음악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서태지는 위 기준으로 본다면 분명히 예술인이다.

     그리고 이난영은 그 창법만으로도 예술인의 반열에 올려 놓을 수 있을 것 같다.

  • 조용현 2014.02.13 08:10

    어렵네요.. 제 생각은 예술인과 예능인의 차이는 이들의 행위를 즐기는 대상이라고 봐요
    예술인은 폭이 좁고(특정층만일수도)... 예능인은 폭이 넓고(아이부터할배까지)...
    정답보단 느낌으로~~

  • 홍두희 2014.02.11 19:30
    ㅎㅎ. 지난달 27일에 예술하시는 분께 그분야 이슈를 물어보았지요. 대답을 듣고 놀랬구요. 궁금하면 바로물어보는 성격이라... 오늘은 이차방정식곡선의 길이는 어떻게 잴까(계산할까) 궁금하더구군요....
  • 오영열 2014.02.11 19:55
    음.. 전 다르게 생각합니다.
    "창조"라는 단위로 아티스트를 성격짓는 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티스트에 해당될 것 같습니다.
    베토벤을 연주하더라도, 자기만의 감성과 해석으로 "새로운" 연주를 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 차이가 미미 할 수는 있겠지요.

    제가 생각하는 아티스트는.....
    좀 과격(?!)한 표현일 수 있지만... " 미친 넘 " 이라고 생각 합니다..^^;;
    어떤 일이든지 그 자체에 뿅가서 몰입하는 사람이라 생각합니다.

    "미친"이란 표현은 솔직히 아무나에게 붙일 수 없다고 봅니다. 그저 하는 거랑, 그것에 매진하는 거랑은 출발부터 결과까지 다르다고
    생각이 듭니다.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00
4586 내년이 되면... 1 file 하원훈 2016.12.21 252
4585 윤초 홍두희 2017.01.13 252
4584 요즘 금성 4 홍두희 2017.02.07 252
4583 문명, 도구 그리고 인터넷의 진화 1 홍두희 2017.02.08 252
4582 정말 오랜만에 유성우 관측하러 갑니다. 공대연 2016.08.12 254
4581 끔뻑 끔뻑 보일지도 모를 촛불이나 별빛 1 홍두희 2017.05.17 255
4580 잡담 2 file 홍두희 2017.05.29 255
4579 2016년 천체사진공모전 안내... 올해는 좀 늦게 올라왔네요~~ 조용현 2016.05.08 258
4578 새내기입니다 ㅎㅎ^^ 유제화 2016.06.12 258
4577 대표 유성우의 날짜에 대한 의문 2 홍두희 2017.04.17 258
4576 날씨가... 3 최종운 2015.10.09 262
4575 정말 오랜만에 인사 올립니다. file 김용대 2018.06.16 263
4574 정관 or 번개!!! 오늘이 가면 2월이 끝나는 군요. 오광환 2016.02.29 265
4573 내눈은 어느 정도 왜곡되었을까? 홍두희 2017.07.20 266
4572 카톡의 편리함과 불편함 file 홍두희 2016.06.13 268
4571 백두산에 댕겨왔습니다. 10 file 오광환 2015.08.19 269
4570 오늘 혹시 방내리 가실 분 계실까요??? 8 이상헌 2015.08.13 272
4569 배낭여행간 아들과의 메일. file 홍두희 2017.03.29 272
4568 올 여름 원정관측 가시는 분? 5 김광욱 2017.05.24 273
4567 한가위 인사 드립니다. 3 오영열 2015.09.28 27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