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571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굴정 망원경 ; 최소 유리 2개

반사망우너경 ; 최소 유리와 반사거울 합쳐서 두개.

현미경 ; 최소 유리 2개 인데,


작은 글씨를 보는 돗보기는 유리 하나면 되는데,


그럼 어쩌구 저쩌구 해서 유리나 반사거울(지금 요 싯점에서 반사 오목 포물거울앞에선 제 얼굴이 크게 비친것이 생각)이

하나짜리의 광학계는 안될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차피 눈의 시신경앞 생체광학계가 있는데 이것을 활용하면???

지금부터 생각중 ~  ~ ~ .


ps. 카메라는 광학계가 하나뿐이고, 안시는 광학계가 3개(생체광학계 포함)인데 안시에서 광학게가 2개(한개는 결정된 볼록랜즈)로는 안될까?


-

24일 19시35분 추가

서랍에 있는 초점거리 25cm =4디옵터 안경렌즈 알 (4디옵터=1m/0.25m)을 안경벗은 

왼쪽눈(제 눈알앞 15cm 떨어진 글씨는 뭉개지고, 20cm 떨어진 글씨는 잘보이며, 30cm 이상 떨어지면 또 뭉개집니다)앞

약 50cm 정도에 놓으니 멀리있는 물체가 배율 1배정도로 위아래와 좌우가 반대로 보입니다.

촛점거리가 긴 것은 좀더 크게 보일것 같습니다.


생각했던데로 된다^^ ㅎㅎㅎ. (= 확대촬영과 같은 의미.ㅋㅋㅋ)

  • 하원훈 2015.07.23 12:54
    한개의 유리로 만드는 것이 직초점 촬영과 동일한 망원경이 아닐까 합니다. 단 높은 배율을 얻기 어렵지 않을까요.
  • 공준호 2015.09.30 09:28
    촛점을 모을 수 있는 한.... 이 문제가 되겠지요. 반사망원경은 사실 거울 하나면 됩니다. Fastar나 최근 황인준씨가 제작한 16인치 반사 같은 경우에도 주경 하나에 촛점 거리에 원형의 CCD를 장착하는 타입이구요. 저 유명한 팔로마산 천문대도 내경의 촛점 위치에 필름원판(이젠 CCD겠죠?)을 놓고 찍은 것이니 거울 하나구요.

    하지만, 렌즈 광학계의 경우 주변 광의 프리즘 효과에 의한 색수차가 심하여 촛점이 제대로 맺혀지지 않고 흐리멍덩한 이미지가 촬상면에 맺혀지겠죠. 반사경에선 없던 문제. 결국 굴절 광학계에서 여러개의 렌즈를 쓰는것은 두가지 이유 때문이지요.
    1. 색지움(지금 이 문제에 대한 답).
    2. 촬상면에서 평탄한 이미지를 얻기 위한 Flatner 용도.
  • 홍두희 2015.09.30 12:35

    걸렸어 ㅋㅋㅋ.
    이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책상위의 책을 봅니다.
    책 위에는 비슷한 크기의 거율(반사광학계)가 있습니다.
    머리위(천장)에는 또 어떤 광학계가 있습니다.
    책위에 있는 거울(반사광학계)로 보는 글씨는 크게(선명하게) 보여 읽기 좋습니다.
    ㅋㅋㅋ . 가능 할까?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13
246 2015 올해의 천문인 - 황인준(천체사진일기책 별빛방랑 발행), 고 김한철(천문저변확대) file 홍두희 2015.10.19 460
245 2014년 제15회 메시에마라톤 운영 계획 / 참가 안내 2 file 조강욱 2014.02.27 1952
244 2014년 서호주 관측가 볼까요? 10 조용현 2014.03.20 2279
243 2014년 서천동 회계 결산 보고 홍두희 2015.01.05 1757
242 2014 스타파티 - 서천동 회원님들 반갑고 감사 했습니다 황원호 2014.10.31 1482
241 2014 서천동 결산중, , , , 5 홍두희 2014.12.10 1943
240 2013년도 NADA 웍샵 관련 공지 1 이상헌 2013.06.26 8955
239 2013년 서천동 회계보고 (진행중) ->2014년 1월3일 결산완료. 홍두희 2013.12.21 3030
238 2013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오오오오...!!! 1 file 오영열 2013.02.10 4711
237 2013 올해의 천문인 - 추가선정 했습니다. 이혁기(별하늘지기) - 열정적인 천체관측과 지속적인 천체촬영 4 file 홍두희 2013.11.25 3405
236 2013 올해의 천문인 - 이현호(별하늘지기) - 열정적인 천체관측과 지속적인 관측후기 , 또 다른 천문인을 찾습니다. 10 file 홍두희 2013.10.29 3651
235 2012년 잘 마무리 하시고 보다 힘차고 행복한 2013년 새해를 맞이하시기를 기원합니다. 7 공준호 2012.12.30 4684
234 2012년 서천동 수지 결산중.--> 결산. 7 홍두희 2012.12.18 4224
233 2012년 건강하시고 만사형통하세요~~ 1 조용현 2012.01.01 2612
232 2011년은 무슨 해 일까? 4 홍두희 2011.01.04 1904
231 2011년 올해는 어떠 하셨는지요? - 천체사진과 자작품 요청 홍두희 2011.10.13 3162
230 2011년 서천동 회계보고 정리중(11월28일 현재) 3 홍두희 2011.11.29 3557
229 2011년 서천동 회계보고 홍두희 2012.01.04 2820
228 2011년 23회 별잔치(star party)는 10월22일 하지요. 8 홍두희 2011.09.21 2460
227 2011 올해의 천문인 - 황인준 (국산 적도의 모닝컴 개발) 1 홍두희 2011.10.23 3335
Board Pagination Prev 1 ...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