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555 추천 수 0 댓글 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구경과 분해능이 비례한다는데.. 광학적으로 어떤 의미인가요?

빛의 회절현상과 관련있다는데..  갑자기 궁금해서..





  • 홍두희 2016.04.21 19:42
    에어리 디스크 ( 에어리 경이 계산 or 발견 )를 이해 해야합니다
    수평광이 광학계를 경유해서 특이점인 촛점에서는 지름이 0 인 상태를 나타내야하는데
    빛이 파동의 성질때문에 회절하는 성질이 있어서 0 이 안되고 일정한 지름이 생기게 됩니다
    에어리경께서 먼저 알았기 때문에 이름을 붇인 것이겠지요
    왜 별상의 크기가 안작아지나 고민한 결과이겠지요

    에어리 직경은 광학계의 구경비와 역수관계입니다 물론 상수(1.22파장)포함이고요
    에어리디스크가 크면 가까이 붇어있는 별이 서로 뭉개져서 두개로 분해가 안되는 것이되니까요

    서천동홈의 검색창에서 에어리 디스크로 검색해 보시면 제가 고민한 흔적이 보입니다^^
  • 박창목 2016.04.21 21:05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해결됐네요. ^^
  • 홍두희 2016.04.22 12:33

    그래도 저는 아직 해결 안(못) 된것이 있어요.
    촛점을 모으는 광학계가 1개인 것은 이해를 하였는데(사진찍는 것처럼 주경 하나와 촛점면의 필름(ccd) ),
    보통 눈으로 볼때는 광학계가 3개가 되고 촛점이 2개니 까요.(주경+아이피스+수정체)
    첫번째 촛점(주경의 촛점)에서는 주경이 결정하는 에어리 디스크지만,
    망막에 맺히는 촛점의 경우는 어떻까하는 생각입니다. 수정체의 F 값으로 바꾸어야 하나 등등..


    주경을 점점 작게 차폐시켜보면 에어리 디스크가 쉽게 보이는데(즉 눈의 수정체는 같은 조건이지요),

    주경을 그대로 두고 눈앞에 핀홀을 만들고 그 크기를 바꾸면서 실험을 해보야겠어요.

    사진의 경우에서도 바로우나 익스텐더를 장착했을때는 또 어떻게 되나 등등

  • 윤석호 2016.04.22 18:27
    아이피스와 수정체에 닿는 상은 더이상 점광원이 아니므로, 즉 면적이 이미 생긴 상이므로 회절이나 분해능이 적용되지 않는 것 같은데...
  • 강문기 2016.04.22 18:35
    윤선생님 오랜만에 반갑습니다...건강 회복하셨지요?
  • 윤석호 2016.04.22 18:43
    많이 좋아졌습니다. 5월 중에는 환속하려합니다^^
  • 조용현 2016.04.23 11:16
    아~~ 안시석호님.. 뵙고싶었습니다...
    정말 반가운 댓글입니다.. 곧 뵐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안정철 2016.04.24 19:59
    축하드립니다..
    환영 벙개 기대됩니다,.,^^
  • 조용현 2016.04.23 11:18
    강교수님께서도 별일 없으시죠?
    지난 2년간 부턱드렸던 것 올해도 학생들과 같이 해보려구요~~
  • 강문기 2016.04.23 12:07
    네. . 언제나 환영입니다.
  • 안정철 2016.04.24 20:00
    강교수님도 오랜만에 뵙네요..
    5월에 뵈어요^^
  • 박기현 2016.06.25 16:41
    이게 무엇인지 궁굼.
  • 김광욱 2016.04.25 11:39
    안시석호님 보고 싶어요~

서천동 지식인

모르는것 궁금한것 다물어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서천동 지식인 게시판 이용안내 홍두희a 2010.05.17 7482
공지 초보자를 위한 교육용 추천 홈페이지 싸이트. 4 홍두희 2008.10.16 7906
39 질문있읍니다. 성애 제거에 대해서.. 최병일 2003.01.14 2024
38 질문좀 드릴께요~ 최성민 2011.12.29 2116
37 짧은 질문 3 이인현 2014.05.21 1271
36 짧은 질문 6 이인현 2015.01.22 548
35 쪽팔려도 모르는 건 알고 넘어가야겠기에.. 6 이인현 2013.12.26 2261
34 천문 초보 또 문의 드립니다... 5 김신구 2014.08.03 967
33 천체망원경 골라주세요 10 신초희 2011.08.22 2400
32 천체망원경의 색수차를 보정하는 천체사진촬영 기법(텔레뷰 르네상스101 경통 사용 기준으로..) 1 file 조용현 2016.02.17 1254
31 천체사진의 기초 6 file 하원훈 2015.01.28 770
30 체력을 단련하고 장비를 점검하여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_전기문제 질문입니다. 15 오광환 2013.09.24 2778
29 초보 질문 입니다... 김형석 2003.07.17 1497
28 초보적 질문.. 릴레이~ 1 file 박기현 2016.07.05 318
27 침낭 구입을 위한 아낌없는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2 김신구 2014.10.02 1044
26 카오디오 엠프 관련 질문입니다.. 5 박기현 2013.11.21 4402
25 컴맹이... 1 원덕중 2014.10.23 878
24 컴퓨터 키보드로 220V 전원 제어~ 3 file 박기현 2016.02.09 523
23 케이블 질문입니다. 3 오광환 2015.01.07 647
22 타임랩스 달리 샘플 제작 완성 5 file 박기현 2014.01.23 2205
21 타임랩스 제작을 위한 부품관련 질문입니다.~ 20 file 박기현 2013.02.03 412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