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근래의 성도를 보면 구획이 나누어져 있고, 구획안에 밝은 항성 순서대로 그리스 알파벳을 배정한것이 보입니다

알파별이 감마별보다 밝은 거지요.

어제 조강욱님의 '별보기의 즐거움'을 읽다가 문득 이런 의문이 들었습니다.

오메가센타우리는 구상성단인데 왜 오메가지?

  • 이상헌 2017.04.18 19:23

    겉보기등급이 +3.9 로 나오네요. ^^  M13 도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한데 이넘은 아직 육안으로는 관측하지 못했네요. 호주 가신분들은 육안으로 관측을 했을 것 같습니다.

    기원후 150년 그리스-로마 시대의 천문학자 프톨레미가 《알마게스트》에서 이 천체를 말(센타우루스)의 견갑골에 해당한다고 썼다. 독일의 법률가이자 지도제작자인 요한 바이어는 1603년 《우라노메트리아》에서 프톨레미의 자료에 따라 이 천체를 "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라고 명명했다. >

    https://ko.wikipedia.org/wiki/%EC%84%BC%ED%83%80%EC%9A%B0%EB%A3%A8%EC%8A%A4%EC%9E%90%EB%A6%AC_%EC%98%A4%EB%A9%94%EA%B0%80

  • 홍두희 2017.04.18 20:50
    1603년 에 그것을 별로 알았느냐 별이 아닌것으로 알았을까 가 내가 갑자기 생각 한 이유지요.
    요한바이어는 별로 알았을까?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눈에 댄 년도 가 1603 보다 빠를 까요 늦을까요 ㅎㅎ
  • 이상헌 2017.04.18 21:13

    2009년 세계천문의해 - 1609 ^^

    http://www.sac-club.co.kr/xe/index.php?mid=photo&listStyle=gallery&page=26&document_srl=41754
    http://www.sac-club.co.kr/xe/index.php?mid=photo&listStyle=gallery&page=26&document_srl=41762
    http://www.sac-club.co.kr/xe/index.php?mid=photo&listStyle=gallery&page=25&document_srl=41765

  • 100개도 안되는 별자리에 들어있는
    100개도 안되는 대표 항성목록에 별이 아닌것(별이 떨어져 있는 성단 말고) 있나 찾아보니
    오메가 센타우리가 유일한 알파이며 오메가네요

    20170418.JPG

    20170418nm.jpg



    갈무리한후에 보니까 첨부그림의 글씨설명 항성들은 단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IAU 별자리에 속해있다' 가 보이네요 ㅎㅎㅎ(그 하나가 오메가센타우리는 아님)

    -

    4월19일 11시 추가

    현재 기준으로 항성표와 별자리표를 보고 있는데, 1604년 기준의 별자리표에 나와있는 항성표를 봐야되는데,,,

    현재 기준 별자리표에 있는 항성표엔 알파부터 오메가 사이에 빠진 것이 있어요. 

    그 빠진것이 원래 없었던 것인지, 추후에 여차 저차 해서 빠진 것인지(혹시 다른 구상성단일지도..) 모르겠네요.

    일단 홍천 콘테이너에 있는 우라노를 봐야 겠고요. 그것도 근래에 만든거지만... 




  • 이인현 2017.04.19 10:10
    sun
  • 홍두희 2017.04.19 11:10

    태양도 항성목록에 번호가 있을까?????  혹시 1번 ???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00
26 잘못 생각한것 - 광케이블속의 빛의 속도는 공기에서보다 훨씬 느리다. 홍두희 2019.06.21 1048
25 카메라랑 렌즈 추천 부탁드립니다 1 하동근 2019.09.07 358
24 스타파티 준비중 file 홍두희 2019.10.01 379
23 해 보고 싶었지만 엄두가 안나서 못했던 실험이 이번 스타파티에서 우연히 중간 결과를 보여 주었습니다. 그리고.... file 홍두희 2019.10.09 548
22 2019년 서천동 회비 결산중 2 홍두희 2019.12.26 449
21 접안부의 높이가 고정인 망원경이 나스미스방식 하나뿐인줄 알았는데 굴절경통에 거울넣고 접으면 되네요. file 홍두희 2020.01.29 312
20 허블망원경이 먼 천체를 오랜시간 노출사진을 찍을때 추적기능을 할까 이니면 고정촬영일까? 홍두희 2020.01.31 396
19 0.1초와 10시간 저의 에포소드. 3월28일 영월 정모겸 정관에서의 file 홍두희 2020.03.30 327
18 옆동네 별친구가 하늘로 가셨군요. 이만성님이 스타파티때 제게 전달한 자료등등 2 file 홍두희 2020.04.06 567
17 이만성님의 '책2-Telescope Optics' file 홍두희 2020.04.06 366
16 가이드스코프와 가이드 카메라 픽셀 계산 중. 1 홍두희 2020.05.18 476
15 윤석호님을 생각하게 됩니다. 6 file 홍두희 2020.06.08 507
14 모니터 두개 17", 18" 1 하원훈 2020.06.11 324
13 7월11일 새벽 4시쯤 1~2등급 neowise 혜성 쌍안경 관측. file 홍두희 2020.07.15 283
12 각주구검의 교훈으로 부터.. 열쇠고리를 추락방지 난간에 걸어놓았습니다 홍두희 2020.07.16 370
11 2020년 서천동 회비 결산중 3 홍두희 2020.12.15 419
10 돔이 경통을 따라서 도는 간단한 추가방법에 대해서 생각중 2 홍두희 2021.09.11 300
9 굴절망원경 - 도립상 - 전후좌우 반대 - 챙피했습니다. 홍두희 2021.10.30 348
8 또 원뿔. 이번에 쌍곡선 더하기 각운동량, 포텐샬에너지, 태양계외 유일무이 천체인 오무아무아(오우무아무아)에 대해서. 2 홍두희 2021.12.15 390
7 2021년 서천동 수지 결산중. 12월21일 현재 1 홍두희 2021.12.22 310
Board Pagination Prev 1 ...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