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력파 검출에 아직도 의문이 있지만,,,

작년말 해외 유수 과학기관에서  뽑은 올해의 중요한 과학 성과에 중성자별의 충돌이 1위에 뽑혔습니다.

전자기파 관측과 중력파관측에 동시에 성공했다는 겁니다.


전자기파(빛이 포함)는 비교적 쉽게 위치를 특정지을수 있습니다. 같은 전자기파라도 전파는 위치의 오차가 엄청 큽니다.

핵폭팔이나 항성급 충돌시에 나오는 감마선도 빛보다 파장이 짧아 위치를 아주 정확하게(물론 안테나(집광)를 어떤것을 쓰냐지만)

잡을수 있지요. 


현재의 중력파 검출능력은 라이고등이 예시한 대로 허용 오차가 수십도의 범위입니다.  부산에서 사건이 벌어져도

서울에서는 광주인지 울산인지 순천인지 모른다는 겁니다.


우연인지 그것인지 거의 비슷(시간차는 제가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해서 넓은 영역에서의 중력파추정 신호와 감마선 폭발(

우주 상공에 감마선 검출위성이 열심히 돌아가고 있고, 검출은 즉시 되니까요, 아마추어가 초신성을 발견할 확률은 이제 거의

없는거지요) 


그래서.....

중성자별의 출돌을 관찰했다는 이슈보다는,

중력파 또는 중력을 전달하는 매개자인 중력자의 속도가 빛의 속도(광자라고 합니다)와 같다는 것이 관찰로 증명되었다고 해야 되지요. 



빛의 속도를 언급할때는 진공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진공이 아니면 속도가 줄어든다는 겁니다. 지구대기중이나 성간에서는 진공과 거의 비슷하겠지만

진공대비 10의 마이너스 10에서 20승의 차이는 날겁니다. 

하루에 1초가 차이나는 시계는 오차율이 1/86400 입니다.

1년에 1초가 틀리는 시계라도 오차율은 1/(86400 x 365) = 0.0000000316 ( 3 의 마이너스 8승) 입니다.

86400 x 365.25 = 3억년이 지속되면 1년이나 틀리는 겁니다.



수억년 떨어진 곳에서 두 물체가 충돌한것 같은데 전달방법이 아직까지 구분할수 밖에 없는 두방법(전자기파와 중력파) 으로 각각

측정을 해봤더니 같은 시간으로 측정이 되었다면 전자기파의 속도가 중력파의 속도가 같음이 실험으로 증명되었다고 기뻐해야지요.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13
4346 1450mAh < 1080mAh 6 file 하원훈 2013.07.01 3741
4345 21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발표에.... 11 최종운 2013.05.03 3728
4344 홈이 깔끔합니다.. 김완기 2002.10.01 3726
4343 산바람 한판? 1 한호진 2012.03.09 3711
4342 첫 눈이 오네요 ^^ 4 file 오영열 2013.11.18 3704
4341 정말 다행. 8 file 한호진 2013.05.09 3695
4340 마루에 걸린 시계. 3 file 홍두희 2012.02.25 3674
4339 농번기엔 쉽니다. 2 file 한호진 2013.05.23 3672
4338 혹시 토요일 밤에 번개 안하시나요? 6 신초희 2011.09.25 3658
4337 2013 올해의 천문인 - 이현호(별하늘지기) - 열정적인 천체관측과 지속적인 관측후기 , 또 다른 천문인을 찾습니다. 10 file 홍두희 2013.10.29 3651
4336 오늘 홍천 가실 분 모집합니다. 4 하원훈 2013.05.05 3644
4335 취미를 넘어 전문가로 가는 방법..?? 13 오영열 2013.05.20 3623
4334 새해에는 말처럼 열심히 달려서 별처럼 빛나는 삶을 누리시길 기원합니다. 5 오광환 2013.12.30 3621
4333 제20회 천체사진 공모전 결과 나왔네요.. 11 전영준 2012.03.26 3619
4332 미리 새해 인사 드립니다. 2 공대연 2013.12.29 3615
4331 천문력 잘 받았어요! 5 file 이인현 2014.01.06 3611
4330 그믐낮에 달보기?? 7 홍두희 2012.05.11 3608
4329 홍천 9살에서 6이모였습니다 4 file 안정철 2014.01.27 3600
4328 오늘 날 좋습니다. 윤석호 2008.02.23 3596
4327 새내기 인사드립니다^^ 1 한병학 2013.07.25 3581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