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딥스카이
2022.06.01 23:42

The Lagoon Nebul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M8 Lagoon 성운 부분을 꽉 차게 찍어봤습니다.   (간신히....) 

 

여름용 경통인 입실론180ed 를 다시 꺼내면서 장비가 많이 변경되었습니다.  (겨울/봄엔 10인치 반사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아래 문제도 있었고요)

기존에는 안틀리아 3.5 nm 필터셋을 사용했는데,   겨울에 어두운 대상도 아닌, 크리스마스 성운 중심 부분을 epsilon180ed에 H-alpha 필터로 찍었는데.....

정말 희미하게 성운기가 찍히길래....어 cmos고장인가 싶었습니다.   다시 장미성운을 맞추고 찍으니 흐릿. 설마하고 L로 찍어보니 성운기가 풍성.... 

이게 뭔가 싶다가 좀 생각하니...아 이게 Spectrum shift 현상이 발생한거구나 체감을 했습니다.

(안틀리아 전에 사용하던 Astrodon 5nm 필터셋에서는 발생하지 않아서 설마 했는데.....쩝)

 

그래서 시판하는 필터중 빠른 경통을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Baader 6.5nm f/2 Highspeed Filter-Set – CMOS-optimized 제품군을 선정, 주문했습니다.

보다 협대역인 제품도 있긴 했는데,   아무래도 대역폭이 좀 넓은게 Spectrum shift 에 둔감할 것 같기도 하고, 더 가격도 저렴하니...ㅎㅎ 

 

제품을 받은후 거의 2달 이상 계속 테스트를 못해보다가,   봄철이 지나가는 시점에서야 필터휠에 장착하고 테스트 할 수 있었습니다.

테스트 해보니 Parfocal 을 내세우지는 않는 필터라서 많은 걱정을 했는데,  Epsilon180ed 에서 L로 촛점을 맞출 경우,  Ha 만 촛점이 다르게 나타나고,  다른 필터는 적당히 맞아주었습니다.

시간나는 맑은 달밝은 밤에 테스트 나가서, NINA 필터별 촛점 offset 을 설정해 보아야 하겠지만....큰 문제는 없어 보이고요.  (안틀리아 3.5nm 는 입실론180에서 필터별로 다 안맞....)

가장 문제가 될 수 있는 Halo 문제는 ha, S2, O3 에서는 다행히 나타나지 않고,  L에서 약간 나타나는데 테스트 대상별이었던 Vega가 워낙 밝은 별이니 실 촬영에서는 그리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여간....장비세팅하고 찍는데....아놔 필터 바뀌었다고 상면거리가 안맞아서...한참 고생해서 대충 맞추고...  (1차 난리!!!)

이제 찍어 보려는데 비축 가이드가 춤을 춥니다.   한번도 발생한 적이 없었던 에러......하모닉 적도의인데 설마 하고 무게추 더 달아주고,   (2차 난리!!!)

모든 볼트 다시 조여주고, 극축도 다시 맞추고. 노트북도 재부팅 해주고......그래도 계속 그러네요.

 

한 30분 장비 이곳저곳 찔러보는데....갑자기 카메라가 흔들립니다?  엥?   입실론180ed 포커서 회전장치 부분이 흔들립니다.   고정나사 꽉 조인건데......

밤 12시에 포커서 분해 해서 원인을 찾는데.....뭔지 모르겠네요.    그래서 일단 다시 장착후,  넓은 테이프로 포커서 회전장치 부분 돌돌말아서 고정시켰습니다.

다행히 이후 문제가 없이 촬영은 했습니다만.....천문박명 새벽 3시 20분인데 1시부터 촬영을 할 수 있었네요.

 

다른 분 입실론 수리/정비 해주고 있으면서 제 오래된 장비를 신경 안써줘서...

(다음날 사무실에서 확인하니 포커서 내부에 숨어있는 회전장치링 고정나사 3개가 살짝 풀린걸 찾아서 고쳤습니다.)

 

촬영은 RGB를 찍고,  Narrow밴드를 찍었는데......Narror밴드 이미지 처리가 산을 넘어 저 멀리로 가는 중이라....일단 RGB만 마무리 하고 올려봅니다.

대부분의 촬영시간을 Narrow밴드 사진을 찍었어요.....RGB 노출시간은 총 48분 정도?   

 

포커서 탈착후 광축 좀 나갔고, 상면거리를 제대로 못맞춰서 별상 성형수술을 여러번 한 사진이니....확대 너무 하진 마시고요...그냥 풍성한 사진 즐겨주시길.

 

 # Date : 2022/05/28

# Location :  SAC observatory, Hongcheon, South Korea

# Equipment

   - Mount :  자작하모닉마운트(32-20)

   - Telescope : Takahashi Epsilon180ed (FL 500mm, F2.8)

   - Camera : Touptek 26KMA with Baader 6.5nm f/2 Highspeed FilterSet

# Exposure  

   - RGB : 60sec x 16

# SW

   - Acquiring : NINA, PHDguiding

   - Processing : Pixinsight. Photoshop

m8_RGB_gwkim_28May2022_s.jpg

 

  • 오광환 2022.06.02 16:17
    엡실론 180에 문제가 생겨도 이 정도 사진은 건진다는 갓 광욱님. 별색이 부럽네요.
  • 이인현 2022.06.02 18:35
    명불허전입니다!
  • 박창목 2022.06.03 14:25
    은하수 지역이라 성운도 많고 색깔도 이쁘네요. TeenAstro 보드 잘쓸께요. 감사^^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Tulip

    서천동 관측소 RST-135 PENTAX 105SDHF ASI2600MM ASI290MM mini + ASI OAG Antlia 3nm filter HOS 300S * 8      
    Date2022.06.03 Category성운 By오광환 Views143
    Read More
  2. Abell1656

      Abell1656 Coma Cluster 머리털자리 은하단   2022. 6. 1~2 SAC Observatory Hongcheon, KOREA (4°C)   GSO RC10 (F8) / ZWO ASI294MM Pro (-20°C) Rainbow Astro RST-400 / HERCULES S8239 OAG / ZWO ASI174MM Mini   Antlia RGB Pro / 2x2 bin / gain ...
    Date2022.06.02 Category딥스카이 By이인현 Views197
    Read More
  3. M17

    서천동 관측소 RST-135 PENTAX 105SDHF ASI2600MM ASI290MM mini + ASI OAG Antlia 3nm filter HOS * 3  가재 먼저 잡고, 오리 잡으려고 했는데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300초 3장씩 찍다보니 04시가 넘어버렸어요. 다음에 시간 잘 선택해서 다시 시도해보려고 ...
    Date2022.06.02 Category성운 By오광환 Views105
    Read More
  4. The Lagoon Nebula

    M8 Lagoon 성운 부분을 꽉 차게 찍어봤습니다. (간신히....) 여름용 경통인 입실론180ed 를 다시 꺼내면서 장비가 많이 변경되었습니다. (겨울/봄엔 10인치 반사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아래 문제도 있었고요) 기존에는 안틀리아 3.5 nm 필터셋을 사용했는데, ...
    Date2022.06.01 Category딥스카이 By김광욱 Views176
    Read More
  5. NGC6357(가재성운)

    서천동 관측소 RST-135 PENTAX105SDHF ASI2600MM ASI AIR plus OAG + ASI290MM mini antlia pro SHO * 7   고도가 낮아서 촬영할 시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대상이었습니다.   SHO     HOO    
    Date2022.06.01 Category성운 By오광환 Views140
    Read More
  6. RC10 퍼스트라잇

      오래간만에 웜휠 적도의를 사용하려니 무겁기도 하거니와 밸런스 맞추기가 무척 까다롭네요. 천정쪽 대상은 그런대로 가이드가 나오는데 남쪽 대상은 에러의 연속입니다. 경통이 무거워지니 적위축은 조금만 틀려도 가이드가 버거워하네요.   이튿날 밸런스...
    Date2022.05.30 Category딥스카이 By이인현 Views271
    Read More
  7. M8, M16, M27, M56

    2022년 5월 28일 홍천에서 촬영 입실론-160, Astro60D, EM200 ISO1600, 60-180초 20장          
    Date2022.05.30 Category딥스카이 By하원훈 Views92
    Read More
  8. M13

      2022년 5월 4일 홍천에서 촬영 입실론-160, Astro60D, EM200 ISO800, 60초 60장      
    Date2022.05.19 Category딥스카이 By하원훈 Views101
    Read More
  9. Near Antares

    2013년에 이 부분을 찍어보고 정말 오랜만에 재시도를 해서 찍어봤습니다. (이전사진 : http://www.nightsky.kr/xe/Gallery_deepsky/4310?category=2655) 게으른건지...아니면 정말 찍기 어려운 지역인지.....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좋은 조건 만나기도 힘들죠. ...
    Date2022.05.09 CategoryWide Field By김광욱 Views152
    Read More
  10. M20

    RST-135 ASI2600MM OAG + asi290mini guide PENTAX 105SDHF Ha 300S X 3 동쪽 하늘이 밝아오는 동안 300초 3장 겨우 건진 Ha 처리해 봅니다.  
    Date2022.05.07 Category성운 By오광환 Views106
    Read More
  11. Antares 주변

    - 촬영 일시 : 2022.5.3 - 촬영 장소 : 강원도 홍천 방내리 - 적도의 : Garnet25(자작하모닉적도의), asiair pro - 망원경 : sigma150  - 카메라 : cds6d iso800 300sec x 34 - 이미지처리 : PixInsight,    6d 플렛처리 어려워서 포기하려다 써보기로 했습니...
    Date2022.05.06 CategoryWide Field By박창목 Views129
    Read More
  12.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

    ㅖㅣ   Pillars of Creation 창조의 기둥("Pillars of Creation")이란  지구로부터 약 7,000 광년 떨어진 독수리 성운의 성간가스와 성간먼지의 덩어리를 촬영한 사진이다.[1] 이 가스와 먼지들이 새로운 별을 만드는 과정 중에 있으며, 그와 동시에 최근에 형...
    Date2022.05.06 Category딥스카이 By안정철 Views2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 187 Next
/ 187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