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eater2lnew_CIRCUIT.jpg : 반자동 이슬제거기 제작 설명서



2004년 1월24일 만능기판으로 만들어서 회로도등과 이곳에 올렸고, 04년 16회 스타파티때에 보여드린것인데 05년 4월에 기판을 몇개 떠놨습니다. 05년 10월 17회 스타파티를 맞이하여 손쉽게
제작할수 있도록 사진과 제작 설명을 하였습니다.
회로도는 04년 1월과 거의 같습니다( 역전압 공급 방지용으로 큰 다이오드가 추가 되었고, 대용량 fet를 를 사용했습니다.
---
반자동 이슬제거기 제작 설명서.

1. 재료
        가) 반자동 이슬제거기 기판( 75MM X 29MM )                        ;        1개
        나) NPN 트랜지스터 (2N4001등)                                               ;        2개
        다) 히터 스위칭용 FET IRF640A 또는 SFP45N03L등                        ;        1개
          라) 가변저항기 50K 오옴                                                 ;        1개
        마) 저항기 (10 KOHM, 1/8W 또는 1/4W)                                               ;        1개
        바) 저항기 (1 KOHM, 1/8W 또는 1/4W)                                               ;        3개
        사) 발광다이오드                                                              ;        1개
        아) 정류다이오드 (IN4001또는 1N4007)                                    ;        1개
        자) 정류다이오드 5 암페어이상                                                 ;        1개
        차) DC JACK(6.2MM)                                               ;        1개
        카) 출력단자                                                ;          1개(또는 병렬로 2개)
        타) 전해콘덴서 ( 10uF/16V)                                                ;        2개
2. 작동원리
        가) 공급되는 전원을 히터로 전달할 때에 일정한 주기로 ON/OFF를 하면 출력의 전체양을 조절할수 잇습니다.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라는 가장 기초적인 발진회로이며 2개의 TR, 2개의 콘덴서, 4개의 저항이 쌍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한쪽이 작동할때는 다른 쪽이 작동이 안되며 이 기능을 콘덴서의 충전과 방전을 이용하여
              수행합니다.  콘덴서에 충전되는 주기는 그와 연결되는 저항으로 조절이 됨으로 한쪽은 고정된 저항값, 다른
              한쪽은 변동되는 저항값을 가짐으로 ON 의 주기가 OFF 의 주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길수도 있고, 짧을수도
              잇어서 출력되는 량을 조잘할수 잇습니다.
          나) 서로 반복되는 2개의 작은 트랜지스터의 신호를 큰 전류가 흐를수 있는 FET에 연결하여 큰 부하를 콘트롤
              할수 있습니다. 다이오드 2개는 전원전압이 반대로 공급될 경우를 대비해서 기기 보호용으로 부착한 것입니다.
              
3. 만드는 순서
              1. FET 는 전면이 위로 향하게 삽입 합니다. 트랜지스터는 앞면이 볼륨쪽을 향해야 합니다.
              2. 다이오드는 흰색띠의 위치가 기판의 그림과 같아야 합니다.
                3. 콘덴서와 발광 다이오드(+가 긴 다리)도 극성을  맟추어야 합니다            
4 작동순서
        가) 전원연결
           DC IN 에 12V에서 15V의 직류전압을 가운데 극성이 +임을 확인하고 삽입합니다. 사용히터의 용량보다는 큰
             아답터등을 사용하십시오. 발광다이오드가 깜빡입니다. 발광다이오드가 깜빡이지 않으면 극성이 확인하십시오.
             가변 저항기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놓으십시요.
        나) 히터연결
           출력단자에 히터를 연결하십시요
           다) 가변저항기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발광 다이오드가 껌뻑 껌뻑 하는 것을 확인하십시요.
             연결되 히터가 뜨거원 지는 것을 확인하십시요.
        
5. 회로도,히터제작은 별도 설명서에 있습니다

6.. 이 아이디어는 h2d@unitel.co.kr가 2004년 설에 만들어서 2004년 1월24일 서천동게시판에 올린 내용을 2005년 10월29일
17회 스타파티때  KIT로 선보이는 것입니다.(file명;semi_dew_eraser.hwp)

홍두희 2005년 10월29일 0시32분.

-

2011년 11월19일 추가.

회로도면을 정정 했습니다.

  • 유종선 2005.10.29 09:15
    만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재미 있었던 시간이었죠.
    다음번 숙제 내드릴께요. 배터리 잔량 측정기요~~~ =3=3=333
  • 홍두희 2005.10.29 10:26
    십년전에 오규섭님에게 만들어 드렸었습니다.^^
    빨간불 5개와 스위치가 출력표시와 입력작동입니다 스위치를 누르면 빨간불이 1개가 켜질때가 있고 4,5개가 켜집니다.
    아주 쉽습니다. 월초에 만드신 것보다 더 쉽습니다. 전압이 서로 다른 제너다이오드를 사용합니다.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NGC3372 Eta Carina 대성운

    R.O.로 첫 촬영한 남반구 하늘의 대상이자 남쪽 하늘의 대표적 성운인 Eta Carina입니다. 그런데, 호주 천문대 현지에 바람이 많이 불고 Internal 가이드 세팅에도 문제가 있어 Luminance 10분씩 11장을 찍었음에도 모두 문제가 있어 촬영에 애를 먹었습니다....
    Date2013.02.23 Category성운 By공준호 Views4726
    Read More
  2. 별자리 산책(7) - Cygnus 백조자리, Lyra 거문고자리, Serpense 뱀자리, Libra 천칭자리, Vulpecula 여우자리, Sagittarius 궁수자리

    3월 30일 홍천에서 찍은 별자리입니다. iso1600 180초, Astro40D 28mm f3.5                  
    Date2014.04.09 Category별/별자리/일주 By하원훈 Views4718
    Read More
  3. NGC3372, The Great Eta Carina Nebula

    지난 2월달 시도에 이어 Luminance와 Ha를 추가로 찍고 두번째 시도입니다. 지난번 보다는 좀 더 배경이나 성운기가 자연스럽게 표현이 되어진 듯 합니다만. 광각 망원경에 Full Frame CCD로 성상이 예쁘게 나오게 하기는 참 힘이 드는군요. ^.~ - 촬영시간: ...
    Date2013.05.10 Category성운 By공준호 Views4709
    Read More
  4. The Super Moon

    여러분 Super Moon의 에너지를 받아 남은 결실의 계절에 더욱 활기차고 많이 이루는 역사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Super Moon 현상은 달이 근월점일 때인 9/9일 11pm 무렵에 발생하였으며 이때 지구와 달사이의 거리는 약 358,387 Km. 달이 가장 멀 때는...
    Date2014.09.11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571
    Read More
  5. 페르세우스 이중성단(NGC884,869)

    이곳 화성 용두리에 집을 지은후 망원경을 설치한것까지는 좋았는데 날이 좋을때면 늘 주변환경에 아쉬움이 남습니다. 물론 이제는 산으로 들로 날만 좋으면 이박이고 삼박이고 쏘다니는게 너무도 힘들단 사실을 감안하면 피할수 없는 선택이겠지만 말입니다.....
    Date2012.10.18 Category딥스카이 By한호진 Views4448
    Read More
  6. 별자리 산책 (1) - Gemini 쌍둥이자리, Canis Minor 작은개자리, Auriga 마차부자리, Perseus

    메시에 마라톤을 끝내니 한결 사진촬영에 여유가 생깁니다. 이번에는 북반구 별자리 종주에 도전해 보겠습니다. 렌즈를 28-70으로 28mm에 고정하여 촬영을 시작했습니다. 이 화각에 들어가는 것만 우선 촬영하고 큰것은 모자이크하거나 렌즈를 바꾸어야 할 것 ...
    Date2013.12.11 Category별/별자리/일주 By하원훈 Views4440
    Read More
  7. NGC7331인근 은하단과 Stephan's Quintet

    TEC-160 First lighting 시리즈 마지막은 NGC7331인근 은하단과 Stephan's Quintet입니다. 아래 실제 FoV사진에서 보시듯 이 대상들은 대구경 반사에 적합한 대상들로 1000mm F6 광학계로 찍기에는 너무 작은 대상입니다만, 어차피 경통의 여러 가능성을 테스...
    Date2013.10.09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4427
    Read More
  8. 페르세우스 이중성단(NGC884, 869)

    지난번 말머리 찍을 때 촬영한 이중성단입니다... 고등학교용 안시 대상인데 CCD사진은 처음 찍는 것 같습니다.. [2012.10.12.02:00 ~, 양평국제천문대] Telescope : 6inch newtonian(f/5.0), SW comma corrector Camera : QSI 8300wsg Mount : Takahashi EM20...
    Date2012.10.18 Category딥스카이 By조용현 Views4404
    Read More
  9. 이것도 semi-final ; 카메라 B셧더 TIMER

    어제 유종선님 오셨으면 드릴려고 허겁지겁 프로그램 짰습니다. 사용자 설정 시간 SETTING 은 아직 안돼서 SEMI-FINAL입니다. 스타파티때는 완성할수 있습니다. 지금 이거로도 1/500 초부터 60분까지 21단계의 설정값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스타파티때는 소...
    Date2004.08.27 By홍두희 Views4404
    Read More
  10. 반자동 이슬제거기 제작 설명서

    2004년 1월24일 만능기판으로 만들어서 회로도등과 이곳에 올렸고, 04년 16회 스타파티때에 보여드린것인데 05년 4월에 기판을 몇개 떠놨습니다. 05년 10월 17회 스타파티를 맞이하여 손쉽게 제작할수 있도록 사진과 제작 설명을 하였습니다. 회로도는 04년 1...
    Date2005.10.29 Category태양계 By홍두희 Views4389
    Read More
  11. 별자리 산책 - 9장 모자이크

    별자리 사진을 찍다가 보니 모자이크하는 편이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까지는 한개의 대상별로 찍어서 모자이크시 들쭉날쭉입니다. 일단 PTGUI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9장 붙여보았습니다. 처음에는 두장씩 연습하여 나중에는 9장까지. 한 일주일 걸렸네...
    Date2014.01.07 Category별/별자리/일주 By하원훈 Views4361
    Read More
  12. 하늘공원에서 본 서울의 야경(2월 보름달)

    정모에 불참하고 아는 사람들과 하늘공원에 갔다왔습니다.. 보름달이 훤해서 서울야경을 담아보려고 갔다왔습니다.. 추웠지만 나름대로 재미있었습니다. [2013. 01.26. 하늘공원] Canon 5D, Sigma 50mm ISO 400, f/5.6, 2sec, 4ea panorama combined
    Date2013.01.28 Category기타 By조용현 Views43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 187 Next
/ 187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