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2006.09.24 21:05

Elephant Nebula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역시 추천받은 아주 아주 어두운 대상입니다.
Green과 Blue 촬영시 자동차가 진입하여 정보가 많이 bias되어
있었는데 그럭저럭 복원을 하여 구성해보았읍니다. 이것역시 오븟하게 다시 시도해보고싶은 대상입니다.

2006. 9. 26 양평폐가
FSQ106+STL11000
Halpha + RGB
  • 이수진 2006.09.24 22:26
    암흑성운 정말 멋있습니다.
    사진에 입체감이 느켜집니다.
    근데 첨보는 대상입니다. 우주에는 참으로 많은 대상이 있네요 언제나 노려 볼란지....
  • 홍두희 2006.09.24 23:08
    꿈틀데는 벌레들 같아서 무섭습니다. 하늘속엔 별별모양 다있네요!!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thank you.
  • 홍정림 2006.09.25 09:43
    사진 정말 근사하네요. 사진 찍으시는 모습 뵈러 잠시 들렀을 때 이미 접으신 후라 쪼끔 아쉬웠는데, 그래도 이런 왕거니를 건지셨네요. ^^ 그렇잖아도 자동차 한 대 들어올 적마다 저희 안시파들이 교수님 사진 어떡하지... 하면서 걱정들 했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멋진 사진 찍으신 걸 보면 "역시 고수는 다르구나"싶습니당~ *^^*
  • 강문기 2006.09.25 10:39
    홍정림님 오랜만에 뵈어서 반가왔습니다. 사진을 보면 배경이 고르지를 않고 오른쪽으로 갈수로 녹색기운이 돌죠.. 촬영도중 한쪽에서 빛이 들어와서이죠... 잘된 사진은 아닙니다. 사진은 그냥 걸어놓은것이고 망쳣어도 사람들이 많이온것이 더 반갑죠...
  • 윤종성 2006.09.25 11:34
    ㅡㅡ..전 아무리봐도 코끼리 모양이 안나오는데..ㅜㅜ

    어떻게 상상을 해야할지.....
  • 한호진 2006.09.25 11:54
    멋지네요...다음기회엔 길입구에서 한번 노려보심이...
  • 강문기 2006.09.25 12:47
    그러게요... 유선생님 왜 코끼리일까요? 다음에 길입구번개 한번 노려보죠.
  • 유종선 2006.09.25 13:00
    이거 정말 .. 제가 본중에서 가장 멋진 1396 입니다.
    강렬한 인상을 주는 정말 멋진 샷입니다.
    진한 암흑성운 부분들이 압권입니다.
  • 유종선 2006.09.25 13:02
    좋쵸... 길입구 번개... 이번주 날 좋으면 다시 달리시죠 ^^
    그리고 이중 12시 부근에 있는 것을 elephant trunk라 부르더군요. 코끼리 콧구멍을 닮아서 그런것 같아요.. ^^;
  • 염강옥 2006.09.25 13:29
    너무 귀여워요.^^ 보고 있으면 기분이 너무 좋아져요.
    새로운 대상을 보니까 처음 별을 봤을때처럼 설레입니다.
  • 김종길 2006.09.25 13:55
    그냥 예술이 따로없습니다.아름다움 자체이군요.
    새로운것을 보는것도 즐거움입니다.정말 압권입니다.
  • 이상헌 2006.09.25 16:46
    1396 이 이렇게 생겼군요. 구석구석 다양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장으로 많은 것을 볼 수 있어 기쁨 두배입니다.

    화각이 살짝 모자르네요. ^^ 유선생님 300mm 사진이 기다려집니다. ^___^
  • 강문기 2006.09.26 07:51
    사실 화각이 모자라지는 않았구요, 너끈이 들어왔는데 차량불빛에 의한 색상 바이어스가 가장자리에서 심하게 나타나, 도저히 보정이 안되는 부분을 잘라버렸습니다. 다음에 한번 다시 깨끗하게 시도해봐야겠어요.
  • 김덕우 2006.09.26 10:10
    멋진사진입니다 진홍의 바다에 암흑대가 꾼틀거리네요.
  • 김덕우 2006.09.26 10:12
    코끼리보다는 장미형 Rosetta 모양이네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GPS 신호내의 시간을 수신하여 그리니치 표준시와 한국시 모두 표시되는 시계를 만들었습니다.

    아 기쁩니다^^ 제목처럼 잘~ , 오랬동안(잘맞는 시계를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을 한후 15년)~ 생각한것을 만들었습니다. 10여년 전에 만든것은 1년동안에 오차가 20여초 났었는데 이번것은 오차누적 방식이 아니라서 언제나 1초이내 이내입니다. 몇년전에는 저...
    Date2014.10.15 Category자작품 By홍두희 Views2531
    Read More
  2. Gamma Cygni와 주변부 (컬러)

    백조자리 감마성 주변의 색깔이 궁금하시다는 분들이 많아 이번에 색깔을 촬영하여 올립니다. 하늘은 너무 좋은데 다음날 출근해야한다는 압박감에 충분한 노출은 못주었네요. 중앙부분의 디테일과 파장의 변화를 보여드리기위해 crop하였습니다. Ha : 1500 s...
    Date2007.10.17 By강문기 Views1363
    Read More
  3. gamma cygni..주변성운...

    - 촬영일시 : 2009년 5월 24일 22시부터 익일4시까지 - 촬영장소 : 횡성 온누리펜션 앞마당 - 마 운 트 : Takahashi em200 temma2 - 망 원 경 : Takahashi e-160, lps-p2 - 카 메 라 : Astro40D temp.-7.8 - 가 이 드 : Pentax 75sdhf, PHD,QHY5,GPusb - 노출...
    Date2009.05.25 By안정철 Views931
    Read More
  4. Gamma Cygni 주변부 흑백

    정말 오랜만에 펼친 망원경과 카메라였죠... 촛점을 맞출때까지만 해도 투명도 시상 모두 좋아 기대가 컸는데 Ha의 20분 노출을 시작하고 10분이 지나서 구름이 몰려들고... 두번째 20분 노출에도 마지막 5분에 구름이 별을 가려버리더군요. 덕분에 수다떨며 ...
    Date2007.10.06 By강문기 Views1926
    Read More
  5. Gamma Cygni

    정말 오랜만에 촬영한 영상입니다. 올해 1월 초 사진을 올리고 처음이니 5개월만이군요. 어제 양수리장소는 광해가 약간 있기는 했으나 집에서 딱 30분거리에 이런곳이 있다는것이 놀라울정도였습니다. 새벽 2시 반경 장비 접고 출발하자마자 집에 도착하니 ...
    Date2007.06.10 By강문기 Views1344
    Read More
  6. Gamma Cygni

    - 촬영일시 : 2016년 8월 6일 22:00시부터 4:00시까지  - 촬영장소 : 홍천  - 마 운 트 : Takahashi em200 temma2 - 망 원 경 : FS60c + Reducer*0.72  - 가 이 드 : Longperng62, PHD,DSI,gp-usb - 카 메 라 : Astro40d  - 노출정보 : ISO1600 300 seconds 2...
    Date2016.09.28 Category딥스카이 By안정철 Views146
    Read More
  7. Gamma Cas Nebula

    - 촬영일시 : 2010년 10월 5일 21:00시부터 익일6:00시까지 - 촬영장소 : 인제 상남면 - 마 운 트 : Takahashi em200 temma2 - 망 원 경 : Pentax 105 SDHF - 가 이 드 : Pentax 75 SDHF, PHD,DSI,gp-usb - 카 메 라 : Astro40d - 노출정보 : ISO800 600초16...
    Date2010.10.08 Category성운 By안정철 Views991
    Read More
  8. Full Moon ~~ 은하수를 방해하는 달을 두드렸습니다..

    은하수 찍어보려는 맘을 간단히 물리치는 달을 내동댕이칩니다.. 김종길님께서 알려준 연천 경순왕릉에 다녀왔는데.. 시야가 뻥 뚫린 것이 달이 없을 때 다시 한번 가서 실체를 느껴봐야겠습니다. 달만 찍기 뭐해서 안드로메다를 잡아봤는데... 강력한 full m...
    Date2008.08.17 By조용현 Views1343
    Read More
  9. Eye in the sky~~~NGC7293(Helix nebula)_이미지 수정

    80년대 알란파슨스 프로젝트(Alan Parsons Project)라는 밴드의 eye in the sky 를 떠오르게 하는 대상입니다.. 이건 정말 노리던 대상였는데 어제 강교수님이 적절한 코치가 있어서 그나마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 4일 밤하늘 정말 좋았습니다. 별과 은하수...
    Date2008.11.05 By조용현 Views1311
    Read More
  10. Eta Carina nebular(ngc 3372)

    에타 카리나성운 - 남반구에서 볼수 있는 성운으로 오리온성운의 8배 정도의 크기라고 합니다.. 서호주 탐사에 가져간 SKY90망원경(리듀서 사용으로 409mm)으로 화각이 부족함을 느꼈습니다. 200mm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성운을 모두 담는데 효과적이라는 생...
    Date2013.08.14 Category딥스카이 By조용현 Views6201
    Read More
  11. Elephant Nebula

    역시 추천받은 아주 아주 어두운 대상입니다. Green과 Blue 촬영시 자동차가 진입하여 정보가 많이 bias되어 있었는데 그럭저럭 복원을 하여 구성해보았읍니다. 이것역시 오븟하게 다시 시도해보고싶은 대상입니다. 2006. 9. 26 양평폐가 FSQ106+STL11000 Hal...
    Date2006.09.24 By강문기 Views1425
    Read More
  12. E-180과 ST-2000 에서의 화각테스트 샷!!

    망원경의 500MM 와 CCD ST-2000 에서의 화각이 어느정도나 되나 테스트로 LRGB를 300초 하나씩 찍어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DSLR에서의 화각에 비해 넘 크게 찍히내요....
    Date2008.09.07 By조인제 Views79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3 164 165 166 167 ... 188 Next
/ 188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