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음력 새해 떠오르는 첫 토성입니다.
임도에서 윤석호선생님, 김덕우선생님과 아드님, 저 이렇게 4명이 새해를 맞이하였습니다.
날씨는... 예상대로 매우 좋았습니다.
바람한점없고 시상도 좋고, 투명도도 뛰어났습니다.
대략 1시까지 이것저것 촬영해보다, 중천에 떠오른 새해첫 토성을 다시 잡아보았습니다.
9.25SCT의 광축을 다시 열심히 잡아보려했는데, 한 10여분 고생하다 대략 340배정도 배율에서 광축맞추고 토성촬영을 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윤석호선생님께서 빌려주신 Televue 2.5배 바로우를 사용, 좀더 크게 촬영해봅니다.
그런데, 이 저가 SCT의 문제점인 주경이동부에서 바로우사용후 초점을 다시 잡기위해
주경이 이동하면 광축이 다시 약간 어긋나는군요... 알고는있었는데.. 맘에 안듭니다.
(그냥 대강대강 가격생각하여 만족하여야 겠지요)
바로우영향도 있겠지만 색감이 약간 다르게 셋팅되었습니다.

2008.2.7 1시-2시
SCT9.25 + 2.5x + ToUCam
2100frames중 1050frames selected
>>
(2100+1800+1250+850)frames 4장 평균조합한 사진으로 다시 올립니다.(큰 차이는 없고
표면무늬의 해상도가 약간 향상된것 같네요)
  • 김덕우 2008.02.07 21:24
    보통 토성은 콩알 크기인데 사진의 토성은 호두알크기입니다
    강선생님이 가져오신 과자와 녹차, 윤선생님의 컵라면, 오레요쿠기 잘먹었습니다.

    SM3가 올라갔다 하여 쉽게 생각했는데 굴욕입니다

    아주 좋은 날씨였는데...
  • 한호진 2008.02.07 23:02
    햐..지금 아주 좋은 밤하늘을 보며 뉴허투보다가 막간에 베란다에서 안시로 본 토성이 이렇게 생긴거였군요...멋지고 깔끔합니다.
  • 유종선 2008.02.08 17:50
    우~~화~~~~ 진짜 멋져요~~~~~ !!!
  • 강문기 2008.02.08 18:09
    김덕우 선생님 고생많이 하셨죠?
    함께 온 아드님 건실하고 똑똑한 전도유망한 젊은이인것이 분명히 보이더군요. 자랑스러우시겠습니다. 특히 전자공학을 선택한것은 아주 잘한 판단이라고 봅니다...
  • 오영열 2008.02.10 02:00
    이건 지구에서 보이는 풍경이 아니고, 토성 근처에서 찍으신거 같습니다...^^
  • 조용현 2008.02.10 15:31
    토성고리로 면도해도 되겠네요..
    sharp~~
    행성 사진의 압박이...
  • 이수진 2008.02.12 07:51
    너무 선명하게 나왔습니다.
    찍고싶은 충동.....
  • 이상헌 2008.02.13 10:52
    정말 멋지네요. 엔케, C테 도 보이는 것 같네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Gamma Cygni 주변부 흑백

    정말 오랜만에 펼친 망원경과 카메라였죠... 촛점을 맞출때까지만 해도 투명도 시상 모두 좋아 기대가 컸는데 Ha의 20분 노출을 시작하고 10분이 지나서 구름이 몰려들고... 두번째 20분 노출에도 마지막 5분에 구름이 별을 가려버리더군요. 덕분에 수다떨며 ...
    Date2007.10.06 By강문기 Views1924
    Read More
  2. 구름과 별과 사람 (2)

    역시 구름과 별과 사람입니다. 5D + 24mm(f1.4) : ISO400 30초x2장 첫번째 사진 : 몰려오는 구름과 Vega 그리고 한씨커피한잔 (강pq) 두번째 사진 : 추억속의 임도번개(별하나나하나: 70년대버젼: 이ab님 + 한zw님)
    Date2007.06.27 By강문기 Views2065
    Read More
  3. 구름과 별과 사람 (1)

    장마중 잠깐 날이 좋을것 같아 구름촬영하러 임도에 갔었습니다. 5D + 24mm(f1.4) : ISO400 40초 첫번째 사진 : 구름, 북극성, 비행기와 이xy님 두번째 사진 : 구름속 목성관측중 한zw님
    Date2007.06.27 By강문기 Views1589
    Read More
  4. IC1396

    이번 월령에는 장마전 좋은 날씨가 이어지는것 같습니다. 장마시작하면 당분간 출사가 힘들것 같아 무리하다보니 몸이 골골하네요. 작년에 이어 두번째 촬영한 IC1396입니다. 촬영조건(환경)이 작년에 비해 좀 좋아 바이어스와 노이즈를 후처리로 제거할필요...
    Date2007.06.18 By강문기 Views1470
    Read More
  5. M8-M20과 그부근

    날씨 참 좋았죠!! 학교갔다 오자마자 출발했는데 다들 빨리도 퇴근해서 일찍들 오셨더군요. 희뿌연 봄 하늘중 간만에 주어진 맑은 밤하늘을 즐기러 부지런히 오신것같았습니다. 처음에 안타레스와 그부근을 촬영하려다 마음을 바꾸어 이것저것 ... 결국 12시 ...
    Date2007.06.13 By강문기 Views1338
    Read More
  6. Gamma Cygni

    정말 오랜만에 촬영한 영상입니다. 올해 1월 초 사진을 올리고 처음이니 5개월만이군요. 어제 양수리장소는 광해가 약간 있기는 했으나 집에서 딱 30분거리에 이런곳이 있다는것이 놀라울정도였습니다. 새벽 2시 반경 장비 접고 출발하자마자 집에 도착하니 ...
    Date2007.06.10 By강문기 Views1342
    Read More
  7. 12월 24일 번개때 해파리

    작년 크리스마스 번개때 양평폐가에서 일찌감치 찍은 해파리성운입니다. 이제야 처리해서 올리네요. 너무 일찍 찍기시작해서 고도가 낮아 광해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습니다. 따라서 주변부 바이어스가 심하고 또한 일찍 접고 출발하느라 다크프레임을 촬...
    Date2007.01.06 By강문기 Views1785
    Read More
  8. M45 Pleiades

    11월 17일 양평 폐가 FSQ106+STL11000+가짜고무줄스파이더 L: 800sec x 5장 RGB : 400sec x 3장 each 총 L을 10장 찍었는데 초기 5장은 이러저러한 이유로 bias가 심해 버리고 나중에 찍은 5장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첫영상:성운closeup, 두번째:성단&주변)
    Date2006.11.18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3550
    Read More
  9. NGC7822 + Ced214

    송편들 많이 드셨지요? 지난 2일 번개때 피어 테스트용으로 한장 촬영한 대상입니다. 아주 어두우면서 넓게 퍼져있어 제대로 촬영하려면 오랜 노출이 필요할 대상이지만 그날 간단히 잡아보았습니다. 2006. 10. 2 양평 폐가 L(Ha) 1200x1sec RGB 500x1sec eac...
    Date2006.10.06 By강문기 Views1490
    Read More
  10. Elephant Nebula

    역시 추천받은 아주 아주 어두운 대상입니다. Green과 Blue 촬영시 자동차가 진입하여 정보가 많이 bias되어 있었는데 그럭저럭 복원을 하여 구성해보았읍니다. 이것역시 오븟하게 다시 시도해보고싶은 대상입니다. 2006. 9. 26 양평폐가 FSQ106+STL11000 Hal...
    Date2006.09.24 By강문기 Views1423
    Read More
  11. Heart Nebula

    예습을 잘 해오시는 유선생님의 추천에 따라 촬영한 Heart Nebula입니다. 정말 어두운 대상이더군요. 다시 한번 오붓하게 촬영을 할 대상인것 같습니다. 2006. 9. 23 양평폐가 FSQ106+STL11000 Halpha + RGB (각 1장씩만)
    Date2006.09.24 By강문기 Views1378
    Read More
  12. North American Nebula (다른 컬러합성)

    Ha가 컬러성분중 하나로 쓰이는이상 사람의 눈이 느끼는 True color는 이미 아닙니다. 따라서 약간 다른 컬러 합성을 해보았읍니다. 무엇이 정답이다 아니다의 문제는 아니므로 그냥 즐기면 될듯...
    Date2006.09.22 By강문기 Views1255
    Read More
  13. North American Nebula

    어제밤 폐가에서 번개한 사진입니다. 날씨 정말 좋았읍니다. 2006년 9월 21일 양평 폐가 FSQ106+STL11000 L(Ha) 1200sec (1x1) R(Ha+R) 500+500 (2x2) GB 500 each (2x2) 북아메리카와 펠리칸을 한화각에 넣을계획이었는데... 한화각에 너끈이 들어가기는했는...
    Date2006.09.22 By강문기 Views1638
    Read More
  14. California

    역시 폐가에서 찍은 California입니다. H-alpha대역으로 찍었는데 가시대역과는 정보가 많이 다른것을 알수있읍니다. 시간관계상 1장씩만 찍어 거친면이 많이 남아있읍니다. FSQ106+STL11000 L(Ha): 1200x1 R(R+Ha): 500x1, G B : 500x1 each
    Date2006.09.05 By강문기 Views1723
    Read More
  15. M31

    2일 폐가에서 촬영한 M31입니다. 새로 오븐에 구운 CCD건조제 테스트용입니다. 결론은 잘 구워졌다이고 flat은 이전것을 썼으나 역시 새로 찍어야 한다였읍니다. FSQ106+STL11000 L: 600x3 RGB: 300x1 each crop & resize
    Date2006.09.05 Category딥스카이 By강문기 Views1856
    Read More
  16. M27 아령성운

    함께 참석하셨던 분들 잘 아시다시피 서쪽하늘의 구상성단을 촬영하다 구름때문에 포기하고 증거라도 남기려 머리위 M27을 짧은 시간 찍어보았읍니다. 이역시 간간이 오는 구름때문에 몇장 안남았지만 출사증거로 변변치 못한 사진을 올려놓읍니다. 2006. 8.2...
    Date2006.08.03 By강문기 Views1340
    Read More
  17. Crescent Nebula (전체 화각 영상)

    Crescent의 전체사진을 crop하지않고 resize하여 올려봅니다. 주변의 은하수가 보입니다. 유선생님 이사진에서 보면 FSQ+11000 화각이 어느정도 될까요?
    Date2006.06.02 By강문기 Views1969
    Read More
  18. Crescent Nebula

    어두운 대상에 안개는 어쩔수없는 장벽인것 같읍니다. 초반에 그럭저럭 좋았던 하늘이 중반들어서면서 엷은 안개가 덮혀 L의 반정도, RGB모두가 정보가 거의 없군요. 그나마 먼저촬영한 Crescent는 약간이라도 보이는데, 후반에 찍은 Veil은 밝은 별들만 남아...
    Date2006.06.01 By강문기 Views1690
    Read More
  19. 사자자리 하나더

    아래 사자자리 사진중 crop된 왼편부분에 아주 작고 귀여운 은하가 하나 있어 실어봅니다. 너무 작아 해상도는 부족합니다. 뭘까요?
    Date2006.02.28 By강문기 Views1748
    Read More
  20. Leo Trio

    학기가 시작되니 지난 주 촬영한 영상을 처리할 시간이 없네요. 방학이 다 지나면 아쉬움이 많이 남는것이 학생때나 지금이나 똑같읍니다. 2006년 2월 22일 일당산 12시 L: 600x5 RGB: 300x3 each 중앙부 crop & 80% resize 너무 지체되어 막간을 이용, 급하...
    Date2006.02.27 By강문기 Views15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