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가이드 방법의 순례를 하고있는 것 같네요..
탐색경에 바로우렌즈를 끼고 가이드한 결과입니다..
주경과 초점거리 차이가 나서 노출을 오래 줄수가 없었습니다..10분 짜리 두개도 어렵게 건졌습니다..
별걸 다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제 남은 건 비축가이드...
초점 조정을 위해서 어제 깍아온 어댑더를 이용하는 방법만.. 남은 듯....

2008.05.17. 구기동 아파트 옥상
별통 10 inch newtonian, QHY8, 402guide, EM200 t2
600sec x 2 , 300sec x 6
  • 한호진 2008.05.20 09:16
    이것저것 눈물겨운 노력....^^ 그래도 그열정은 정말이지 대단하시네요.
  • 강문기 2008.05.20 14:49
    다른 사이트에 올려놓으신큰사진을 보니 이제 드디어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하신듯합니다.
  • 유종선 2008.05.20 15:57
    오!! 사진 좋아요~~ 멋진데요~~
  • 조용현 2008.05.21 09:55
    와 ~~힘들어요~~
    날도 좋지 않은데 좀 쉬어야겠네요..
    가이드 스트레스로 점철된 몇일간 생활의 가이드를 실패해서 밤낮이 뒤바뀌는 등 폐인 모드였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한가지 비축(OAG)이 약간 미해결 상태입니다..
    어댑터만 세번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가이드 성공하면 이력을 게시판에 올려야겠어요~~
  • 유종선 2008.05.21 18:48
    비축가이더 쓰면 비넷팅은 어떤가요? 많이 생기나요?
    42mm 구멍으로 찍을때는 비넷팅이 많았는데 구멍을 약간크게 어댑터를 만들었더니 비넷팅이 조금 줄더군요.
    혹시나 어떨까 걱정도 되네요...
  • 조용현 2008.05.22 08:11
    아직 비축으로는 사진을 찍어보지 못했습니다.
    처음엔 가이드로 별이 안잡혀서 사경을 크게 개조했습니다.
    최근 테스트 결과 가이드와 카메라에 별상은 들어오는데 가이드 별상이 심하게 왜곡되는데 이것은 포물면의 비축을 사용하니깐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심하게 찌그러지더라구요
    이상태로 가이드별로 사용하면 가이드에 오차가 생길 수 도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어요..
    이 과정까지 가장 어려웠던건 가이드와 주경의 초점을 맞추는 일이었어요
    어댑터만 세차례 가공할 정도로..
    그러나 아직도 2% 부족합니다.. 정말 초점 맞추기 힘들더라구요..
    이미지의 비네팅정도는 맑은 하늘에서 테스트를 못해봐서 지금은 알수 가 없구요..종선님의 10인치 사경의 크기가 어느 정돈지 모르겠는데 사경이 작으면 가이드에 상이 안들어오거나 들어오는 면적이 작아져서 가이드성을 찾기가 어려울 것입니다.
    지금 제 문제는 가이드 경과 주경의 초점을 일치시키면 접안부가 안쪽으로 깊게 들어가기 때문에
    접안부에 의한 차폐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가이드 별상의 왜곡을 잡으려면 가이드 앞쪽에 코마코렉터를 설치해야하는데..
    그러면 초점 거리가 달라질 텐데 .. 걱정이네요..
    현재 MPCC를 사려고 계획중입니다.
    아 ~~ 비축의 길은 멀고도 험하네요..
    그러나 성공하면 가이드가 쉽고 OTA의 무게를 경감시키고 주경 쉬프트의 오차도 잡고 ... 장점은 많아보이는데..
    지금 너무 피곤합니다.. 그러나 시작한 일 끝을 보렵니다..
    종선님 도움이 되셨나요??
  • 이상헌 2008.05.22 15:10
    대구경 장촛점 정말 힘든 작업이네요~~
    듀얼 이미지 센서를 가진 CCD를 사용하면 좀 간편해 지지 않을까요?
  • 유종선 2008.05.22 19:10
    이상헌님의 뽐뿌~~ ㅋㅋ
    조용현님.. 저도 비축가이드를 해볼라하는데... 전 코렉토가 가이드보다 앞에 있으니 문제는 없을 것 같은데.. ^^
    근데 어댑터가 또 필요한가보네요 ㅠ.ㅠ 이구 어댑터가 벌써 몇개인지.. ㅠ.ㅠ
    부경은 제것도 별로 크지 않습니다. 이구 걱정이네요...
  • 공준호 2008.05.27 11:19
    ㅎㅎ 저 역시 아직 가이드 촬영에 풀어야 할 숙제가... 잘 놔왔습니다. ^.~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온누리정관... NGC6992.. 6 file

  2. 탐색경가이드 한 M57 9 file

  3. 흐르는 M51~~ 9 file

  4. 은하수 아래에서의 정관 결과물 ~~ 터진 풍선(M27) 7 file

  5. M13... 7 file

  6. M101.... 3 file

  7. 봄철 땡볓을 가려주는 Sombrero Galaxy(M104) 3 file

  8. 혹시 이 철 지난 장미 기억하실런지.... 6 file

  9. 2장자리 솜브레로 M104~~ 5 file

  10. 아크투르스의 가까운 친구 M3 구상성단... 4 file

  11. M101... 요즘 사진 찍기 힘드네요.. 6 file

  12. 이제 그동안 정들었던 이 두분과 헤어집니다.. 잘가요 6 file

  13. 올빼미(M97),군만두하나(M108) 그리고 장미(NGC2237) ~~ 7 file

  14. 장미의 실수~~재처리 이미지로 교체.. 5 file

  15. Skywatcher 10인치 무채색 장미 7 file

  16. skywatcher 10인치 뉴튼의 말머리 7 file

  17. 장미성운 중심 4 file

  18. 파주 미타사에서 분 핑키오리온 6 file

  19. 베이징 물건으로 본 ... Rosette Nebula 6 file

  20. 이런 말머리라도 보여드립니다.. 4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Next
/ 14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