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본 사진은 Full Frame을 모두 살려 초광각모드로 찍어보았습니다. 1D Mark3로 찍었을때보다 실제 수치보다도 느낌으로는 상당히 넓게 나오는것처럼 인식이 되는군요.

Flat Field보정을 해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Flatten 작업을 Maxim에서 진행해야 했습니다.  문제는 21M Pixel을 컴바인하다보니 Quad-Core PC도 소용없군요. 계속 Crash하고 메모리부족 메시지가 떠서 바로  추가 메모리 주문해놓았습니다. 덕분에 수동 align만 10번 이상하면서 10시간 넘겨 Stacking 및 Dark 그리고 Flat Field 보정을 마쳤습니다.  

그나마, 지난주엔가 5D Mark2를 지원하는 Maxim Upgrade가 나온것을 감사히 생각하며 지난 2월 초 찍어놓고 손도 못대고 있던 사진들을 이렇게 처리하고나니 마음이 다 상쾌합니다. ^.~


이로서 5D Mark2 Test Shot 완료합니다. ^.~

이젠 새로운 대상들을 잘 찍어야 할텐데...  여름 전에는 장촛점이 필요할듯! ㅡ.ㅡ;;

[Canon 5D Mark2 / Takahashi E-160 on EM200 Temma2 / ISO 1600 / 300 secs X 10 Frames / Dark and Flat subtracted and combined on MaximDL5 / 횡성 온누리펜션]
  • 홍두희 2009.03.07 23:44
    와 우 *************************
    6박자 만세, 공준+망원+사진기+장소+열정+이미지
  • 한장규 2009.03.08 12:35
    2천만 화소의 시원함이 돋보입니다
  • 안정철 2009.03.08 13:28
    화각도 시원하고.. 작은 은하의 디테일도 좋아요...역시
  • 한장규 2009.03.08 19:02
    c9.25에 리듀서를 사용해서 은하를 찍으면 안되는지요?
  • 공준호 2009.03.08 19:24
    물론 가능하지요. 강교수가 얼마전까지 C9.25로 은하 많이 찍었어요. 단, C9.25는 냉각까지 시간이 오래걸려 한참전에 도착해 세팅을 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 조용현 2009.03.09 10:39
    용량 때문에 고생하셨군요.. 그리고 플랫처리..
    저도 플랫처리가 최고 어려운 것 같습니다..
    냉각 CCD 필요 없겠습니다..
  • 강문기 2009.03.10 20:02
    넓직한 화각이 좋습니다...
    영상이 너무 클때는 한번에 처리하는것이 부담스럽죠...
    몇개씩 나누어 처리하고 처리된것으로 다시 처리해주되, 각각의 가중치를 적절히 조절해주면 한번에 처리한결과를 맞출수있죠...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