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또 달입니다.
어제 찍은 것인데 투명도는 좋았지만 시상이 별로더군요. 5/10 정도? 서울에서 그 정도면 만족해야 하는 걸까요?
크기는 지난 번에 올린 것보다 조금 작지만 거의 비슷합니다.
이것을 찍은 다음 크레이터 디테일을 찍으려고 하는데 구름이 갑자기 확 덮여버리더군요. 다음으로...

한동안 안찍다 찍어서 좀 헤매긴 했지만 나름대로 체계가 잡혀가고 있습니다. 무엇을 해야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 조금씩 알아가고 있으니 시간이 지나면 멋진 작품도 나올 것으로 기대합니다. 제가 보기에는 실력이 조금씩 나아지는 것 같은데 와이프는 그게 그거라고 합니다.

그런데 웹에 올리기 위해 파일 사이즈를 줄였더니 퀄러티가 거의 개판이 되어 버렸습니다. (원본은 이거보단 많이 좋습니다.)

---------------------------------------------------------

올해는 세계 천문의 해
영국에서는 달에 대해 좀 한다하는 친구들이 모여서 재미난 일을 했습니다.
지구에서(위성이나 직접 가서가 아니고) 망원경으로 찍은 가장 큰 달을 만들자는 계획을 세우고 하루 동안에 여러 사람이 나누어 찍어 모자이크를 만들었습니다. 기네스 협회로부터 공인도 받았구요. 참 신났겠더라구요. 그 사람들은 평생 그 날 밤을 잊지 못할 거 같습니다. 그리고는 다음 도전자들을 위해 “기록을 갱신하려면 이렇게 하세요”도 적어 놨습니다. 이런게 축제 아니겠습니까. 우리도 언제 한번 해봤으면 합니다.’

한번씩 들러서 정말 큰 달을 보세요.
www.lunarworldrecord.com

그래서 저는 작다면 작고 크다면 큰 것인데 목표를 세웠습니다.
"1억픽셀짜리 달을 만들자"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요. 여러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촬영데이터

2009.9.9 23:30
CN-212 카세그레인모드 + 파워메이트2배 (합성 F수 : 24.8)
ST4000XCM 카메라
서울 아파트 옥상

  • 홍두희 2009.09.10 19:46
    아 아 아 멋있다^^,
    1억픽셀은 뭐,,, 25장만 잘 맞춰서 합성하시면 ㅋㅋㅋ, 100억으로 목표수정하세요~~
  • 안정철 2009.09.10 21:42
    와~~~ 입이 딱 벌어집니다...
    선예도와 계조가 듁음입니다...
  • 강문기 2009.09.10 21:49
    정말 멋진 달입니다.
    노란색 달 좋습니다...
  • 조용현 2009.09.11 08:04
    작업을 하셨군요..전 그날 포기했었습니다..
    파워메이트를 끼고도 한 컷에 나오나요??
    아니면 모자이크를 하셨나요??
    정말 디테일이 끝내줍니다.. 저도 큰 카메라 장만하고 싶어지네요..
  • 오봉환 2009.09.11 09:34
    희님/철님/기님/현님 감사합니다.
    허걱 100억 픽셀?
    그건 팔로마산 망원경으로도 안될 것 같은데요. 지구 대기 때문에... 그리고 슈퍼컴퓨터도 여러대 필요할 것 같고...
    그러고 보니 어느 정도까지가 지구에서 찍을 수 있는 한계인지가 급 궁금해지네요. 전에 ccd 어레이로 억이 넘는 픽셀을 구성한 천문대 사진을 본 적은 있는데요.. 그러려면 사출동공 크기가...
    조용현님 이구 한 컷에 나오기는요. 4000xcm ccd 사이즈 그렇게 안커요. 그래서 16000급 카메라에 뽐뿌받아 있는데요... 뭘
    이것은 16매 모자이크입니다.
  • 오봉환 2009.09.11 14:23
    이론 사출동공이래.. 이미지써클인데
  • 박창목 2009.09.11 22:04
    와~ 이렇게 멋진 달사진은 처음봅니다.
  • 유종선 2009.09.14 11:15
    오.. 이리 좋으니 원본은 어떨까... 상상이 안갑니다.
  • 이상헌 2009.09.14 18:57
    와~~ 입이 떡 벌어지네요..... 인화해서 벽에 걸어두면 끝내주겠습니다.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수피령칠공주

    - 촬영일시 : 2009년 9월 16일 20시부터 익일5시까지 - 촬영장소 : 수피령 - 마 운 트 : Takahashi em200 temma2 - 망 원 경 : Takahashi e-160, lps-p2, Digital coma-corrector - 카 메 라 : Astro40D temp.-7.9 - 가 이 드 : Pentax 75 SDHF, PHD,DSI,gp-u...
    Date2009.09.17 Category딥스카이 By안정철 Views1901
    Read More
  2. 용두리에서 찍은 사진들..

    제가 주로 가는 관측지는 두군데입니다. 먼저 주로 가는곳은 양평쪽.. 회사에서 출발해서 철수후 집으로 가면 총거리가 240km 쯤 됩니다. 왕복 2시간30분정도. 그리고 요즘은 궁평리란곳으로 갑니다. 물론 날이 어중간하고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 테스트할 요...
    Date2009.09.14 Category성운 By한호진 Views1415
    Read More
  3. 또또또 달 (또 큰 달 - 큰 것에 짜증나시는 분은 클릭 주의)

    또 달입니다. 어제 찍은 것인데 투명도는 좋았지만 시상이 별로더군요. 5/10 정도? 서울에서 그 정도면 만족해야 하는 걸까요? 크기는 지난 번에 올린 것보다 조금 작지만 거의 비슷합니다. 이것을 찍은 다음 크레이터 디테일을 찍으려고 하는데 구름이 갑자...
    Date2009.09.10 Category태양계 By오봉환 Views1512
    Read More
  4. 9월 만월

    아파트 옥상에서 찍은 보름달.... 기축년 만월을 찍은 뒤 두번째 찍는 만월이 되는군요.. 이제 9번의 만월이 왔다 가는군요.. 모기와 함께한 고된작업이었습니다... 구멍이 있을가봐...거의 100장은 찍었으니깐... 50여장 합성입니다... [2009.09.05. 세검정 ...
    Date2009.09.06 Category태양계 By조용현 Views2187
    Read More
  5. 깜짝놀랐어요~~

    목성의 변신에 깜짝놀랐어요~~ 아래에 올린 목성을 보고 양천별사랑의 김정호님께서 이미지처리를 해서 보내주셨습니다.. 고맙다는 말을 전했고 비교해보시라고 다시 올려봅니다. 이미지 처리법 좀 배워야 하겠습니다..
    Date2009.09.04 Category태양계 By조용현 Views1649
    Read More
  6. 파워메이트 뺀 ~~목성 ~~

    아래 목성이 배율이 너무 높아서 뿌연한데.. 파워메이트를 빼고 찍은 이미지가 더 좋은 것 같기도하고.... Io, Ganymede, Europa가 나란히 보이는 것이 장관이었습니다.. 목성과 위성의 움직임은 역시 동영상을 지원하는 안시가 제격이었습니다.. 다음에는 공...
    Date2009.09.02 Category태양계 By조용현 Views1986
    Read More
  7. 어렴풋 목성~~~

    요즘 목성 씨즌입니다... 그래서 멀리 안가고 아파트 옥상에서 한 컷 했습니다.. 때에 걸맞게 하나해보려 했는데.. 배율이 너무 높았는지.. 뽀샤시하게 나와서 정교한 맛이 없습니다.. [2009.08.30. 서울 세검정 아파트 옥상] C8 XLT(f/10, 2032mm) x 5배 파...
    Date2009.09.01 Category태양계 By조용현 Views1772
    Read More
  8. Bellingham, USA에서 본 deneb 주변하늘..

    안녕하세요... 간만에 인사드리네요.. 1학기에 개인적인 일로 바쁘고.. 방학엔 미국에 연수를 1개월 다녀오느라... 간간히 홈피에 들렀었지만 마음의 여유가 없었습니다.. 연수갈 때 가져간 70-200mm 캐논렌즈와 ㅎ기획에서 구입한 빅센 가이드팩을 이용해서 ...
    Date2009.08.24 CategoryWide Field By조용현 Views1909
    Read More
  9. 이중성단(ngc884/869)(ngc457)-090823

    월요일을 앞두고도 대낮부터 쾌청한 하늘을 밤에 안본다는것은 죄악(?)이라고 생각하기에 무리하여 귀신놀이를 했습니다. 초저녁때 밤이 이슥해질무렵 군무를 추던 반닷불이의 모습이 장관이더군요. 한번나가면 한두넘정도는 사진을 찍긴하는데 영 삐리리한것...
    Date2009.08.24 Category딥스카이 By한호진 Views2091
    Read More
  10. 카시오페이아

    니콘 D80 18-200mm iso 800 F6
    Date2009.08.19 Category딥스카이 By하원훈 Views1952
    Read More
  11. NGC6888 Crescent Nebula in Ha

    Camera: SBIG ST-10XE (at -5C) Telescope: Takahashi FCT76 at 345mm F4.5 Mount: Takahashi EM-200 Temma2 Exposure:1000 sec x 3 frames 양평 오랜만에 찍은 사진이라 감이 많이 죽은것 같습니다. ^.~
    Date2009.08.18 Category성운 By공준호 Views1602
    Read More
  12. Network 성운

    <촬영스펙> ***장소 : 경기도 임도 ***날짜 :2009년 8월 14일 ***촬영장비 : EM200 TEMMA2 jr+ 펜탁스 SDUF 100(F=4) + LPS-P2 ***카메라 : 냉각 400D ***노출 : 360초 ***합성 : 25장 ***ISO : 1600 ***특징: 노터치 가이드 거의 4개월만의 출사였습니다..ㅡ...
    Date2009.08.17 Category성운 By윤종성 Views16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 187 Next
/ 187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