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맞긴한데.. 내용이 조금 더 있더라구요.

by 유종선 posted Dec 30, 20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정중혁님 맞아요.. 발견자 이름..
이께야-짱 혜성이라든가 헤일-밥혜성이라든가 뭐 그런것들...

그런데!
이상하게도 앞에 LINEAR, NEAT 등이 붙은 것은 아주 많죠?
올 봄에만 해도 리니어, 니트혜성이 다 지나갔습니다. 한두사람이 그리 많이 발견했을리는 없구...
그래서 전 사실...
리니어 혜성은 일렬로 주~욱 서서, 니트는 니트하게 이뻐서 그런가 했습니다...  ^^;;;

알고보니... 내용은
이렇더군요..

1990년대말 지구근접 천체 즉 소행성(NEA;Near Earth Astroid)이나 혜성(NEC;Near Earth Comet)
탐색 붐으로 전세계적으로 많은 큰 망원경들이 조직적으로 하늘을 수색하지 시작했대요.
그 결과 수없이 많은 소행성과 혜성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프로젝트에는
LINEAR(Lincoln Near Earth Astroid Research)
NEAT (Near Earth Astroid Trackin) 등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각각 발견한 혜성에 그 프로젝트 이름을 붙인 것이라는... ^^

뭐... 이건 제가 똑똑해서 아는 것이 아니고요
심심해서 오래전 천문잡지를 읽다보니 거기 나온 조상호 회원님이 기고한 글에 있더군요. ^^

그러나 역시 그래도 감시망을  피해나가는 넘들이 있어서
어떤 유럽 할아버지 에게 발견되고  현재 밤하늘을 밝히고 있는
C/2004 Q2 Machholz(막홀쯔라고 읽어야 하나? 발음은 몰라유~~)혜성이 있군요.

comet.jpg


여기서 쪼~~~꼼만 더
자세히 보면

C/2004 Q2 Machholz...

앞의 C는 장주기 혜성(단주기는 P)이라는 뜻이고,
그뒤 숫자야 뭐... 2004년,
그리고 그 바로 뒤 스펠링는 발견된 좀 더 자세한 시기인데...
한달을 상순과 하순으로 나눠 1월부터 12월까지 A 부터 Y까지 25개중 영어 I 는 숫자 1과 혼동되서
빼고 24개로 나누어 표시하고
그 뒤의 마지막에 붙는 숫자는 그 기간동안에 몇번째 발견된 것이라는 군요.
그러니까 Q2는 8월 하순에 두번째로 발견되어 등록됐다는 뜻이겠죠...
그리고는 발견자 이름이군요.



아... 잘난척 ^^;;;  
죄송합니다.



정중혁님... 좀이 쑤시시죠? 흠... 저도 그래요.
날 좋으면 담주에 월령도 좋고... 함 나갑시닷!!
그리고 이번에는 꼭 가실때 삼각김밥 먹고 갑세다...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