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1152 추천 수 6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2일 밤에 만든겁니다. 가오리처럼 생겼네요, 전선이 꼭 꼬리처럼 보이고요.
모두 4종류 6개를 이수진님과 공대연님과 함께 만들었습니다. 공대연씨는 지난번과 같은 상호의 컵라면으로 저녁을 때웠고, 이수진씨와 저는 순대국밥을 먹었지요. 공대연씨 미안허이...
10인치 용은 max 25w용으로, 22.6오옴/1미터 의 열선을 9번 꼬고 길이를 2미터로 해서 5오옴을 만들었어
요. 수동 콘트롤러에서 12v 납전지를 사용할때에 최대 25watt 가 되고 최소 0.2watt 되겠지요. 폭 35mm x 1미터의 실리콘+거즈천을 사용했구요(아래모두 동일 재료사용, 12v용 납축전지(보통 13v 나옴), 수동콘트롤러 사용-전압은 입력이 12v 일때 출력은 1v ~ 11v 조절됩니다)
50-60미리 화인더용은 max 5watt 용으로 50cm x 15mm 의 크기에 22.6오옴/1미터의 열선을 1미터 사용해서 22.6오옴이고, 화인더의 대물랜즈위를  2-3번 감아 사용합니다.
60mm 가이드용은 금속후드가 100mm 조금 안되서 30cm x 15mm 의 크기에 같은 열선을 0.6m 써서 저항값이 13.5이 되며 설계의 최대출력은 9watt 입니다.
그리고 요 'Seoul Astro Finder'의 사경용은 8watt 용으로 15ohm입니다.
위의 히터 열선은 수동이슬제거콘트롤러를 사용할때(이거는 전압조절이 되니까 히터를 큰거를 사용해도 되지요)를 기준으로 한거니까 콘트롤러를 안쓰고 직접 12v를 연결할때는 위의 출력에서 1/2~1/6 을 사용 하셔야 할겁니다.  
  • 성해석 2005.10.13 21:03
    모양은 가오리 같지만 성능은 홍어 같을 겁니다...
  • 유종선 2005.10.13 22:16
    우엑! 저 홍어 먹으면... 음... "마이아파"요...
    언제나 만들러 가나...
    이번 일요일에 별일 없으시면 저도 개인교습 좀 받아볼까하는데 홍회장님 시간 어떠신가요?
    보그 5" 와 미드 10"용 각각 하나씩 만들려합니다. 여유되면 가이드 스코프꺼도... ^^;;;
  • 홍두희 2005.10.14 08:08
    일요일 늦은 오후 ok.
  • 유종선 2005.10.14 09:02
    ^_____________________^ 그럼 토요일쯤 전화 드릴께요...
    성가시게 해서 죄송합니다.

    혹시 강지현씨 같이 가실래요?
  • 이상헌 2005.10.14 10:49
    사경을 감싼 것이 저 가오리인가요? 정관 때 이슬 때문에 고생하셨는데 이제 걱정 없겠습니다.
    유선생님 너무 좋아하시네요. 입이 아~~~주 크게 벌어지셨습니다.^^ 저도 나중에 신세 좀 지겠습니다.
  • 정한섭 2005.10.14 11:48
    경통의 측면 개방 부위를 모두 감싼 상태에서 사경에 이슬이 낄 정도로 습기가 많은 경우에는
    망원경의 건강을 위해
    관측을 중단하고 망원경을 분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유종선 2005.10.14 11:54
    이상헌님 지금 출장중 아니신가요?
    ㅎㅎㅎ 아시다시피 우리들의 오랜 숙원 사업이죠?
    제가 먼저 길 닦아 놓겠습니다. 이크.. 이미 공대연님과 이수진님 길 닦아 놓았죠? ^^;;;
  • 홍두희 2005.10.14 19:46
    실명이 아닌 윗글은 24시간만 이곳에 있습니다. 양해하여주십시요.
  • 유종선 2005.10.14 23:37
    신입회원 김상윤님~~~ 언능 실명으로 바꾸세요... ^^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12
3186 긴 연휴 중 그냥 몇가지 생각, 1 홍두희 2010.05.24 1159
3185 두달간의 기이한 동거...! 7 오영열 2010.07.05 1158
3184 징그럽네요... 2 한호진 2007.08.07 1157
3183 4월1일 덕초현 중앙천문대 다녀왔습니다. 5 홍두희 2006.04.03 1157
3182 중미산 관측기. 최병일 2003.02.11 1157
3181 *장수 천문대에서 번개 변성식 2003.09.19 1156
3180 퇴원.... 7 이수진 2005.09.08 1155
3179 정말 잊지 못할 추억이 되셨겠어요...^^ 권기정 2003.09.30 1155
3178 [re] 망원경 구입기 최병일 2003.02.17 1155
3177 [re] 나사가 뽀사지면 ~, 내 방법 3 file 홍두희 2010.03.01 1154
3176 음...미쳤나봅니다. 어제 구름까지 낀 하늘에 호빔천문대를 홀로 지키다가.. 6 file 공준호 2008.03.10 1154
3175 [re] 이상한 강원도의 산에서의 관측기. (사진 압축) 최병일 2003.04.02 1153
3174 star크래프트,star 워즈, star 파티 아니죠,, 스타쉽과 고문^^ 5 file 홍두희 2009.03.17 1152
3173 RE- 열선 밴드의 더 좋은 아이디어를 기대하며.... file 홍두희 2008.09.12 1152
» 가오리처럼 생긴 '이상'한 모양의 이슬제거 열선 9 file 홍두희 2005.10.13 1152
3171 11월3일(토) 진천 정관겸 별잔치, 뚜벅이와 초행자에게 조그만 배려부탁해요. 5 홍두희 2007.11.02 1151
3170 케이블 제작 완료했습니다... 5 file 이수진 2007.03.16 1151
3169 회원님들중에 염강옥씨랑 함께오실분? 변성식 2003.09.27 1151
3168 astroEQ 를 시작합니다. -> 하드웨어 제작을 제외한 프로그램 구동및 셋팅 , 검토시간은 총 32시간, 일단 완성 종료(12월19일) 4 file 홍두희 2018.12.12 1150
3167 서천동 문패는 어떤걸로...? 12 공대연 2007.03.08 1150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