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2006.05.03 19:12

미스테리 혜성

조회 수 1007 추천 수 8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회장님께서 이번 관측에 혜성을 보셨다는 말씀에 눈가 번쩍하여 조금 찾아봤는데

시간이 얼마없네요.ㅠ.ㅠ

예전 맥홀츠 혜성때처럼 가까운 공원에 가서 봐야겠어요.

그때도 동생과 보면서 솔직히 나도 자신은 없지만 어차피 동생도 모르니까

"저게 맥홀츠 혜성이야!" 했던 기억이 나요. 나를 믿어야죠.ㅋㅋ

행복한 저녁시간 되세요. ^^





기사내용------------

‘미스테리 혜성’ 5월12일 지구에 접근

[경향신문 2006-04-23 13:30]    

  

‘미스테리 혜성' 으로 불리던 혜성이 오는 5월12일 지구에 치단거리로 접근한다.


22일 일본 ‘지지(時事)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과거 반세기 동안 행방불명됐었고 지금도 분열을 거듭하고 있는 SW3 혜성이 최근 다시 관측됐다.


과거 반세기 동안 행방불명됐던 이 혜성은 1930년 발견이래 1979년 재발견될 때까지 49년동안이나 행방불명돼 ‘미스테리 혜성'이란 별명으로 불리게 됐다.


SW3 헤성은 1930년 독일의 슈바스만과 바하만에 의해 최초로 발견된 자그마한 혜성으로 약 5.4년마다 태양을 한바퀴 돈다. 1930년 발견 당시에는 지구에 0.06천문단위까지 근접했었다.


1천문단위란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거리로 1억5천만km를 가리킨다.


이 혜성은 1995년 회귀 때에는 급격히 밝기가 높아지다가 그후 혜성 본체의 핵이 3개로 분열되는 장면이 관측되기도 했다. 또한 이달 6일에는 수십개의 파편이 확인되기도 했다. 따라서 이번에도 핵이 분열된다면 밝기가 급속히 높아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보고 있다.


SW3 혜성은 4월말부터는 캄캄한 밤에 교외 등에서는 쌍안경으로 관찰할 수 있으며 지구에 최근접하는 5월12일에는 날이 맑을 경우 육안으로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혜성의 위치는 오후 8시에는 동북 하늘, 새벽 3시에는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미디어칸 손봉석기자〉


  • 유종선 2006.05.03 21:20
    저도 아직 이녀석들을 보지 못했지요.
    내일 시골 갈 예정인데 장비 들고 가기 할 겁니다만, 하늘이 영 거시기 할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 이주영 2006.05.04 00:57
    일주일 남았네여
    그 때까지 내내 맑았으면 좋겠어여
    언니 꼭 관측 잘하세여~^^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41
2026 다들 잘 지내시죠...?? 5 김경준 2006.02.06 879
2025 다들 잘 들어가셨는지요. 3 남명도 2006.09.28 857
2024 다들 잘 계신지...(7월 번개 소감) 김형석 2003.07.21 962
2023 다녀왔습니다...만! 8 유종선 2005.10.03 1035
2022 다녀왔습니다. 7 file 김준호 2006.10.24 980
2021 다까하시(em200..) 초기 셋팅때 왜 무게추는 약간 돌아 섰을까? = 적경 뭉치는 왜 약간 돌았을까? 4 file 홍두희 2015.05.19 694
2020 다...필요없닷! 9 한호진 2010.05.19 971
2019 다 하나씩은 즐겨찾기를 하셨겠지만...날씨사이트~~~ 4 공대연 2006.02.03 1114
2018 니콘용 UC-E1 USB 케이블은 내부에 전선이 4줄 입니다 ㅈㅈㅈ. file 홍두희 2010.05.06 1457
2017 니콘 카메라 외부전원 장치 개조 아이디어 구함. 10 file 박기현 2011.10.31 4132
2016 니콘 D70 구입했습니다. 공대연 2004.06.23 1003
2015 늦은밤 이것저것 홍두희 2004.06.05 2011
2014 늦은밤 2시쯤엔 꼭 이생각 합니다. 태양동기위성의 작동 원리 3 file 홍두희 2015.10.20 446
2013 늦은 천체만학도의 꿈 6 이성일 2008.02.27 898
2012 늦었지만... 3 오영열 2010.09.25 1394
2011 뉴턴이 반사망원경을 어떻게 만들(고안)었는지 그림이 그려집니다., 그리고 책을 보다 잠들면 좋은 이유, 이큐플랫폼의 로울러도 원뿔?? 2 file 홍두희 2016.11.03 856
2010 뉴멕시코 천문인마을에서 여름은하수 2 file david 2017.03.13 312
2009 눌리면 죽는다?? 등등등 2 홍두희 2010.11.24 1361
2008 눈이온답니다... 2 한호진 2009.12.17 1056
2007 눈이밝아진것같아요 3 조아영 2013.09.27 3954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