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이 찬란하니까 여기는 잠잠하네요. 그래서 홍회장님식의 고문 글 하나.

by 윤석호 posted Apr 21,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전에 내가 한국천문학회에 시비를 걸어 티격태격했던 것을 버전을 바꾸어 재탕해 봅니다.

어제 우연히 지돌스타라는 이의 글을 읽게 되었는데 (작년 7월의 글 http://blog.jidolstar.com/145 ) 한국천문학회의 용어심의위원장으로부터 직접 공식 한글 별자리 이름 목록을 받아서 올려 놓았더군요. 지돌스타는 활잡이자리 등에 대해서 좀 이상하지 않느냐고 하였고.

그런데 그 용어집을 보다가 보니 "케페우스, 켄타우루스"라고 표기가 되어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내 기억으로는 한국천문학회가 제법 오래전에 (10년 가까이?) "세페우스, 센타우루스"라고 용어를 바꾸었는데 난데없이 왜 다시 'ㅅ"이 아닌 "ㅋ" 이 등장했는지 알 수가 없네요.(세페우스라고 해야한다는 얘기는 아님.)

하여간 3~4년 전에 한국천문학회 사람들과 굳이 케페우스를 세페우스로 바꿀 이유가 없지않느냐는 요지의 논쟁(?)을 잠깐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 천문학회 주장의 핵심은 국제천문학 학회에 가면 거기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세페우스, 센타우루스라는 얘기였고 그래서 우리도 그렇게 바꾸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전화로도 얘기를 나누었는데 방금 얘기한 것 말고는 특별한 근거가 없었다고 기억합니다.

마치 얼마 전에 누군가가 (이명박 정부의 정권 인수위원장?) '오렌지'가 아니라 "아린지"라고 해야 한다는 것과 일맥 상통하는 주장이었지요. 나도 그 때 어중간하게 '세페우스, 센타우루스'라고 하지 말고 차라리 "시피어스/시퓨스, 센토러스"라고 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했었지요.^^

하여간, 내가 그 때 주장한 것을 다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제천문연맹(IAU)의 별자리 이름은 라틴어를 기본으로 하고 있음. (다른 학술용어와 마찬가지로)

2. 라틴어의 발음은 고대 라틴어/북부유럽(대륙의 북부)/교회 라틴어/영어식 등 크게 4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여기서 "c"는 각각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고 한다.

   1) 고대 라틴어는 <ㅋ>, 북부유럽은 <ㅅ, 또는 ㅊ>, 교회 라틴어는 <ㅊ>, 영어식은 <ㅅ>
   2) Caesar를 각각에 따라 발음하면; 카이사르(켸사르), 세이사르(체이사르), 체이사르, 시이저
       * 여기서 보면 영어식 라틴어 발음이다른 것들과 매우 다른데 그 이유는 영어가 중세를 지나면서 영어 자체의 발음이 크게 변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영어의 라틴어 발음도 크게 달라졌다고 하네요.

3. 따라서 2. 를 기준으로 두개의 별자리 이름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순서는 고대 라틴어, 북부유럽 라틴어, 영어식 라틴어 입니다.

   1) Cepheus  : 케페우(유)스/세페우(유)스/시피어스(시퓨스)
   2) Centaurus: 켄타우루스   /센타우루스  /센토러스
       (교회식 라틴어 발음은 찾을 수가 없어서 제외 했습니다.)

이상을 보면 한국천문학회의 3차 심의본은 북부유럽(대륙 북부)라틴어를 따른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랬다면 그것 나름대로 근거가 있는 것이겠지요. 왜냐하면 코페르니쿠스나 케플러 등 근대 천문학의 거장들이 이 발음을 썼다고 하니까요. 그런데 한국천문학회와의 논의에서는 그런 얘기가 없었고 단지 국제 천문학회에 가면 그렇게 쓴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또 하나, 짐작하건데 국제천문학회에서는 영어를 공용어로 하니까 영어식 발음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글쎄요....

이상이 몇년전에 천문학회 용어심의위원회 사람들과 나눈 얘기의 요지인데 지돌스타의 글에 따르면 다시 케페우스로 돌아 갔는 지도 모르겠군요.

이상으로 고문 마칩니다.

Articles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