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2821 추천 수 6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정철님이 쓰시면서 전선이 너무 뜨겁다고 하셔서,

출력을 약하게 조절했습니다.  그러면서 기록 차원의 test report도 만들어 놓고요.

12v 용 드라이어 이며, 바람을 만드는 장치는 직류 모터입니다. 열을 만들어 내는 장치는

고온과 절연이 우수한 운모(그렇다고 오리지널은 안니것 같습니다. 합성해서 만든것 같아요)판에

열선을 2겹으로 감았습니다. 다행히 2겹 으로 감은 부분이 서로 간격을 두고 있어서 1개의 선을

쉽게 절단(단선)할수 있었습니다. 1겹의 열선의 저항값은 대략 1.5오옴(이렇게 낮은 수치는

특별한 계측기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오차가 30% 정도 됩니다^^)입니다.

2겹으로 했을때에는 전류가 10A 가 넘게 나왔었고, 1줄만 사용했을때(개조)는 전류계의

눈금이 7A 정도 였습니다. 머리나 물 묻은 손을 말릴정도는 아니고 훈훈한 바람이 부는 정도입니다.

직류모터이기 때문에 +,- 극성을 다르게 꼽아도 돕니다. 극성이 바뀌면 바람이 들어갈줄 알았는데,

그래도 바람이 나옵니다(정량적으로 측정하면 어느쪽에서 더 많이 나오는지 알겠지요^^)

12V에 7A 정도이니 80W~90W를 소비하네요. 손을 안 봤으면, 150W 정도였겠네요.

PS. 망원경에 이슬 찼다고, 드라이기는 빌려가도 배터리는 자기것 씁니다 .ㅋㅋㅋ(누가 뭐라는 소리를 제가 들어서 .ㅎㅎㅎ)

PS2. 왜 이런"것"을 쓰는지 저는 이해가 잘 안됩니다.ㅋㅋㅋ
    
  • 한호진 2008.11.05 17:03
    맨마지막글귀...제가한 이야기입니다.^^
    전기먹는 구신이더군요.드라이란넘.그냥 220볼트로 사용하는 드라이를 마음껏 쓸래면 발전기??
  • 한호진 2008.11.05 17:25
    그냥 안시만할땐 90암페어짜리 밧데리로 뭔짓은 못하겠습니까?
    아마 법만 저촉 안된다면 한강의 물고기도 다 잡을수있을겁니다.그런데 카메라와 노트북,열선등 주렁저렁 전선줄을 늘어트리면 야그가 틀려지더군요.^^
  • 이상헌 2008.11.05 17:38
    드라이기는 절대 임시방편입니다. 말려도 곧 다시 끼게되지요.
    "회장님표 이슬 제거 장치"가 답이지만 "핫팩"이나 "후드" 등으로 사전 조치를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드라이기는 절대 임시방편용입니다.
  • 안정철 2008.11.05 18:27
    감사합니다.. 회장님...이 은혜를 어찌 갚아야 할지 꾸뻑..
    저 드라이기는 사경이슬 제거용입니다.. 후드를 달아쓰므로 한번 말리면 2-3시간은 까딱 없습니다..
    제 열선이 맛이 가서 가이드경용 열선 다시 만들어야할듯합니다..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04
146 피어용 원형트레이 2 file 이인현 2016.08.24 347
145 8월27일 정모는 ,, 7 홍두희 2016.08.25 366
144 올해 스타파티는 언제하시나요? 9 안용주 2016.08.29 502
143 그린레이져를 안전하게 쓰려고 2번째 방법 생각중 - 실험중->실험끝 성공 출구쪽 빛다발 직경 18mm, 전체길이 10cm 늘어남->길이 줄이려고 실헝중->끝 완료 전체길이 5cm연장, 추가 그리고 별도로 총길이 70mm 안전한 레이저 완성 file 홍두희 2016.09.07 1124
142 하이텔 별사랑 25년 전(1991)과 2005년/2012년/2016년 file 홍두희 2016.09.13 702
141 바뻐도 할건 합니닷! 오영열 2016.09.14 315
140 회장님 이런거 하나 만들어 주세요.(필요한 분이 많을 것 같습니다.) 6 오광환 2016.10.04 436
139 진짜 올해 스타파티 안하시나요? 3 안용주 2016.10.05 367
138 올해 스타파티는 전라도 완주 고산무궁화천문대 11월5일. 3 홍두희 2016.10.07 846
137 별 볼 수 있는 시간은 점점 줄어들고........ 경통을 새로 구하려고 합니다. 5 오광환 2016.10.09 332
136 천문과 캠핑의 만남 3 file 이인현 2016.10.10 357
135 웜 전기구동 망원경의 주기오차값을 실내에서 측정하는 법을 생각중. 홍두희 2016.10.13 517
134 천문과 캠핑의 만남 (2) 1 file 이인현 2016.10.13 319
133 '16 제28회 한국 아마추어 천문인의밤 별잔치(STAR PARTY KOREA)안내, 완주스타파티 11월5일 1 홍두희 2016.10.14 658
132 이인현 교수님 보세요; 집에 있는 것들 모아서 만든 L 플레이트 1 file 윤석호 2016.10.16 404
131 유선 전화가 왔다. 2 홍두희 2016.10.17 317
130 완주스타파티 준비 7 홍두희 2016.10.17 640
129 숙원사업 9 file 이인현 2016.10.17 475
128 레이저포이터에 건전지를 넣으면 어떨까(비상용) 생각+1차시도 했습니다.->2차(외부전원) 시도 4 file 홍두희 2016.10.18 1088
127 감사 1300 (추가 = 7 x 50 + 7 x 50 + 12 x 50 ) 1 file 홍두희 2016.10.27 365
Board Pagination Prev 1 ...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