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2100 추천 수 5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공준호님이 가지고있고 서천동엔 즐비한 암씨롱160..
사진용으로 분명히 훌륭한 장비입니다.
1.암씨롱130은 130mm구경에 촛점거리가 430mm이니 f수가 3.3입니다.
2.암씨롱160은 160mm구경에 촛점거리가 530mm이니 f수가 3.3입니다.
3.이상헌님과 조인제님이 가지고 계신 암씨롱180은 180mm구경에 촛점거리가 500mm이니 f가2.8입니다

빠른f수와 적당한 촛점거리를 가졌기에 인기가 있지만 화각의 아쉬움은 늘 존재하죠.
전에 공준호님이 캐논에서 나온 익스텐더 1.4x/2x를 사용하면 보다 많은 화각을 만들수있다고 하신것을 어제 테스트했습니다.
암씨롱은 아니지만 슥하이90에다 적용.
전용리듀서플래트너를 사용시 구경이 90mm에 촛점거리가 408mm에 f는 4.5가 됩니다.
가지고있는 1.4x를 적용하면 이론상으론 570mm의 촛점거리에 6.3(?)정도가 된다고하고서 테스트.
일단 촛점이 맺는면은 거의 비슷합니다.
그런데 주변부 별들이 꼬랑지를 내리더군요.
일반사진에서는 1.4x익스텐더 사용시 별다른 상저하는 없고 2x에선 좀더 생긴다..그리 알고있었는데
1.4x에서 꼬랑지내린 별을 보니....쩝....

공준호님 그냥 암씨롱210이나 암씨롱350으로 가셔야겠네요.^^

그리고 카메라나 익스텐더의 센서및 구동용 접점들은 전부 마스킹하여 작동안하게 해야 됩니다.
안그러면 카메라가 먹통됩니다.
참고로 slr에 사용하던 구형망원렌즈(식으마ed 300mm 2.8등)도 그냥 ef마운트에 낑궈진다고 끼워서 사진찍으면 1장만 찍히고 에러가 뜨더군요.아마도 사용하는 밧데리의 용량문제인듯합니다.
저도 겪고 한선욱님도 겪었습니다.
이상 테스트 결과였습니당~~~


이상헌님의 압력을 받아들여 참고용사진2장 올립니다.
처음이 그냥이고 두번째가 1.4배 익스텐더 적용한것이며 5분정도의 노출에 좌상부만 100%크롭한겁니다.
  • 이상헌 2008.11.05 17:39
    테스트 감사합니다.
    이왕이면 사진으로 찍어 오셨으면~~ ^^
  • 이상헌 2008.11.05 17:42
    암씨롱 130은 2대. 한,이
    암씨롱 180도 2대. 조,이
    근데 암씨롱 160은 도대체 몇대? 유,한,공,안,김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39
4146 천체스케치의 기본방법(실전1) 이광규 2005.02.21 784
4145 천체사진전 입상을 모두 축하드립니다.. 15 전영준 2010.03.19 910
4144 천체사진전 결과가 나왔네요.. 김완기 2003.03.11 1061
4143 천체사진을 담기위한 저의 생각입니다.. 10 장석민 2007.12.29 1001
4142 천체사진은 흑백? 임채완 2002.11.27 2529
4141 천체사진만 사진이냐? 8 file 한호진 2012.10.15 4559
4140 천체사진공모전을 개최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 2003.02.17 1114
4139 천체사진(유리액자 포함)은 제가 보관하고 있습니다. 홍두희 2004.10.19 1381
4138 천체사진 공모전이 있다고 하네요. 기대됩니다. 공대연 2007.02.14 892
4137 천체망원경과 어울리는 디카추천 부탁이요.. 권오성 2004.05.27 1231
4136 천체망원경 새거 중고로 내어 놓습니다. 2 이명철 2015.03.17 2454
4135 천체망원경 사용법점 가르켜 주세요 황두영 2003.02.23 1732
4134 천체망원경 구입은?? 전용식 2004.04.17 976
4133 천체관측의 열정과 발악의 차이 4 김종길 2007.06.18 1088
4132 천체관측 추천도서, Stargazing for Dummies 국일호 2014.11.04 2093
4131 천체 사진장비엔 노트북이다... 아니다. 넷컴(?)이 잇다.... !!! 4 오영열 2009.05.04 1261
4130 천체 사진이 조금 부족합니다. 회원님들 사진줘. 홍두희 2005.10.27 1128
4129 천지기술 5 file 이인현 2014.12.29 1135
4128 천문퀴즈는 서천동 회원님들이 모두다 만듭시다. 3 홍두희 2005.10.27 906
4127 천문잡지 1년치와 6개월치 를 경품으로 걸었던 결과가 집계되었습니다. file 홍두희 2004.01.15 822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