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성 보기와 경위대 구하기

by 한장규 posted Jan 13,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월2일에 집앞 운동장에서 잠시 오리온 자리를 보았습니다


오리온자리의 삼태성중 Zeta인 Alnitak은 180배에서 땅콩처럼 보였고(완전 분해不) Delta별인 Mintaka는 멀리 떨어져 멋지게 보였습니다.

Beta인 Rigel은 90배에서 오히려 더 잘 보이더군요(180-250배 보다도 날카로움이 좋아 훨 좋더군요)

Lamda별인 Meissa,  이 별이 좀 수상한데 3인치로 3개가 보이는듯 안보이는듯, 성도에 다중성으로 나오는데 250배에서 3개로 보이는 듯 한데...(착시인지 아닌지) 눈도 헷깔립니다ㅜㅜ...다른 분들은 안 믿으실듯~

큰개자리는 고도가 낮은 관계로 별 기억에 남는 이중성은 안보이고, 외뿔소자리의 Beta별은 멋진 3중성(아름답게 보이더군요-초강추) Epsilon의 이중성도 보기가 좋았습니다.

xx운동에서 "힘빼는데 3년 걸린다고" 들었을 때 첨엔 안 믿겼지만 그것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듯이 "고배율이 능사가 아니다"라는 말을 이해하는데도 비슷한 시일이 걸린 듯 합니다. 달이 밝고 추운 겨울날 이중성분해는 홀로 조용히 즐길 수 있는 별보기가 아닌가 합니다.

----------------------------------------------------------------------------------------------------------------------------------

매번 관측에서 적도의에 고투를 사용하다 보니 별 찾는 맛과 별자리 지식 등을 다 까먹었습니다 그런저런 이유에서 경위대를 하나 구할려고 하는데 FEEL이 가는 경위대가 안 보이네요ㅜㅜ

포르타가 좋을 듯 한데 예전에 함 사용해 본 적이 있어 그렇고 좀 작고 가벼웠으면 좋겠는데 무엇이 적당할지요?
프리스탑 방식의 이지터치나 자이로미니가 좋을 듯 한데 이지터치는 좀 오버스펙인듯하고...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