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1101 추천 수 6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이번  정관에서 회장님과 주방일을 하다가,
과연 무얼 먼저 넣어야 빨리 익을까 말씀을 나눈적이 있지요...
오늘 인터넷 디사가 있길래 올립니다...^^
참.. 다음 정관때는 라뽁이를 더 많이 해야 겠더군요..^^
고추장도 따로 준비하고...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이 말만큼 우리 생활에 무엇보다 신중하게 선택해야 할 때가 있다. 그것은 바로 라면을 끓일 때 라면을 먼저 넣느냐, 스프를 먼저 넣느냐 하는 문제. 우리는 라면과 스프의 두 갈래 길에서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까. 이 두 가지를 넣는 순서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데, 여기에는 과학적인 근거가 존재한다.


우선 맛있게 끓인 라면이 무엇인지부터 정의하자. 면이 불지 않고 적절히 익었으며, 스프의 맛이 적당히 면에 배고, 국물이 너무 짜거나 싱겁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맛있는 라면일 것이다. 이 중에서 면의 익은 정도는 온도 및 조리 시간과 연관이 있다. 면은 끓는 물에 익히는데 모든 물질이 끓는 온도, 즉 끓는점은 물질에 따라 고유하다. 순수한 물은 외부압력이 1기압일 경우 섭씨 1백 도에서 끓어 기화한다. 끓는점은 여러 요소에 따라 변하는데 예를 들어, 기압이 1기압 이하일 경우 물의 끓는점은 1백 도보다 낮아진다. 끓는점이란 열에너지를 받은 물질이 기화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이 주변의 대기압을 넘어서는 순간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고산지대에서 밥을 지으면 설익는 것도 이런 이유다. 같은 대기압하에서는 일반적으로 불순물이 용해되어 있을 경우 물의 끓는점이 상승한다.

따라서 물에 무언가 다른 물질이 많이 녹아 있을수록 더 높은 온도에서 끓고, 이때 면을 넣으면 빨리 익는다는 결론이다. 그러므로 스프를 먼저 넣으면 녹은 양에 비례해 끓는점을 올릴 수 있고, 이때 면을 넣으면 불기 전에 조금이라도 먼저 익힐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이처럼 용액의 농도에 따라 끓는점이 상승하는 끓는점 오름 현상은 다른 곳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먹는 갖가지 국물 역시 조미료 등이 녹아있는 물이다. 그렇다면 끓는 국물은 끓는 물보다 높은 온도일 것이다. 따라서 끓는 국에 화상을 입었을 때는 물에 데는 것보다 더 큰 피해를 보게 된다.

출처:
http://media.daum.net/digital/view.html?cateid=1050&newsid=20090213183003951&p=hani
  • 오영열 2009.02.14 00:01
    흠흠... 맛있는 라면 한그릇 추가요 ^^
  • 한호진 2009.02.14 12:22
    라면 끓일때 계속 뒤적거리면 쫄깃하게 맛난 면발을 맛볼수 있습니다.
    그것 라면보다는 쇠고기비빔밥.....강력추천합니다.
  • 한장규 2009.02.14 20:39
    라면이 먼저에 한표입니다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31
3306 겨울철 안전 운행... 4 조용현 2011.01.31 1230
3305 [re] 선두 경쟁 탈락 !!!! 변성식 2003.01.24 1229
3304 그냥 어제 영월,단양,정선. 3 file 홍두희 2010.12.21 1229
3303 어찌하지요?(또 행복한 고민 해봅니다) 16 김덕우 2006.10.30 1228
3302 행복한 고민~~ 8 홍두희 2008.11.17 1227
3301 회장님 사진올립니다. 확인 부탁드릴께요^^ 6 file 이상호 2006.08.20 1225
3300 로그인이 안되면? 4 홍두희a 2010.05.20 1224
3299 끝날것 같지 않은 캐논 배터리팩... 2 file 홍두희 2009.04.20 1224
3298 이율배반. 4 한호진 2007.08.23 1224
3297 2006년 새해 첫 정기관측 참석 리플 달아주세요. 여유자리도요. ^.^ 24 공대연 2006.01.03 1223
3296 18회 공모전 시상식... 7 file 안정철 2010.04.29 1222
3295 1달간의 여행 잘 다녀왔습니다~~ 7 윤종성 2007.01.28 1222
3294 어릴때 까만종이 태우며 놀던 돗보기에 대한 2번째 의문해결 7 file 홍두희 2005.08.16 1222
3293 토요일(8월7일 오후1시) 공제 모임안내. 4 한호진 2010.08.04 1222
3292 폐박스 완성되었습니다.우하하하하~ 11 한호진 2007.03.20 1221
3291 때지난 에셈7의 구룍-080709? 7 한호진 2008.07.23 1220
3290 망원경 구입기 홍정림 2003.02.17 1220
3289 관측회 참석 홍정림 2003.01.29 1220
3288 두 눈의 즐거움 3 file 한장규 2010.03.22 1219
3287 스타파티 가고싶어요!!(사는곳 적음) file 안용주 2010.10.21 1218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