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4192 추천 수 2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어제는 호빔천문대에서 황인준 주인장님과 함께 두분의 역대 천망동 회장님, 그리고 KAIST 휴보 로봇개발자이신 오교수님을 모시고 흥미로운 모임을 가졌습니다.

우선 하모닉 드라이브를 이용한 5000배속 GoTo의 엄청난 동작을 직접 보았구요...

그리곤 TEC-140, Takahashi TOA-130F, TMB-152의 성상 및 롱키 테스트를 실시했습니다.

TEC-140은 1매 ED lens를 Triplet APO입니다.  촛점면에서의 sharp한 성상을 최적화한 Oil spaced 디자인으로 냉각이 빠르고 안시에서 촛점면에서 최적의 성상과 컨트라스트를 보여주지만, ED lens2매의 TOA-130에 비해서는 out-focus로 빠져나가면서 색의 shift가 느껴집니다. 이점은TEC-140의 렌즈 디자인상의 특성으로 안시나 사진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는군요.  다행입니다. ^^
http://www.telescopengineering.com/pdfs/APO140Manual_2008.pdf

그리곤 TOA-130.  한가지 놀란것은 이 망원경은 3시간이 되도록 cooling을 하면 할 수록 상이 더욱 좋아진다는 겁니다. 간격이 많이 떨어진 air-spaced triplet 디자인 때문인데...  나쁘게 말하면 cooling이 더디다는 이야기지요. ㅎㅎ.  하여간, 촛점 전후에서의 교과서적인 규칙적이고 대칭적인 동심원과 무채색의 링들이 역시 TOA임을 알려줍니다. 단 한가지 문제점은 약간 collimation의 틀어짐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역시 우리나라 망원경 제작의 전문가분들을 모신 덕분에 바로 TOA 렌즈셀의 collimation 실습 및 특강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TOA는 렌즈셀 전체의 collimation을 위한 3조 9개의 나사와, 전면 렌즈와 후면 렌즈의 상대위치를 조절하는 3조 9개의 조절 나사가 있습니다. (이 후자는 함부로 건드리면 큰일 납니다. ^^)

렌즈셀 전체의 collimation은 생각보다는 어렵지 않더군요. 주 나사들로 정렬후에 Mirror cell에 stress가 가지 않도록 적당한 텐션만 주어 고정 나사를 조이는 것이 비결입니다.

롱키 테스트 결과는 1/16람다 이상의 정밀도를 보여주어 과연 TOA라는 평들을 들었습니다.

이젠 사진만 열심히 잘 찍으면 되겠지요. ^^


  • 윤석호 2010.03.30 18:23
    두개를 한꺼번에 장만하셨나 보네요. 우와 부럽다.............!!!!!
  • 한장규 2010.03.31 10:00
    장터에 나온 고성능 대형망원경은 전부 호빔으로 가네요^^
    오일과 에어3매의 차이에 대하여 최근에 들었는데 오일이 냉각과 컨트라스트에서 유리하다고 들었는데 비슷한 의견이신듯~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736
4446 바뻐도 할건 합니닷! 오영열 2016.09.14 316
4445 하이텔 별사랑 25년 전(1991)과 2005년/2012년/2016년 file 홍두희 2016.09.13 706
4444 그린레이져를 안전하게 쓰려고 2번째 방법 생각중 - 실험중->실험끝 성공 출구쪽 빛다발 직경 18mm, 전체길이 10cm 늘어남->길이 줄이려고 실헝중->끝 완료 전체길이 5cm연장, 추가 그리고 별도로 총길이 70mm 안전한 레이저 완성 file 홍두희 2016.09.07 1126
4443 올해 스타파티는 언제하시나요? 9 안용주 2016.08.29 506
4442 8월27일 정모는 ,, 7 홍두희 2016.08.25 368
4441 피어용 원형트레이 2 file 이인현 2016.08.24 353
4440 오랜만에... 한병학 2016.08.24 308
4439 별똥별... 2 file 김용대 2016.08.13 296
4438 정말 오랜만에 유성우 관측하러 갑니다. 공대연 2016.08.12 257
4437 나눠드립니다~ 5 file 이인현 2016.08.07 302
4436 내일(8/4) 방내리 갑니다. 8 최종운 2016.08.03 280
4435 감사인사 드립니다. 11 김광욱 2016.08.01 368
4434 반사경에는 람다로 가공정말도를 표기하는데 굴절은 왜 표기가 없지요? 1 홍두희 2016.07.22 309
4433 보시구 報時球 - 시각을 알리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공 홍두희 2016.07.20 287
4432 부고 - 김광욱 회원 부친상 ( 발인 : 7월 19일 07시 ), 일산 명지병원장례식장 7호실 3 오영열 2016.07.18 823
4431 각도(angle) 2 file 홍두희 2016.07.14 468
4430 또 다른 생각 거리. 140억년 멀리 떨어진 별이 보일까? 1 홍두희 2016.07.12 364
4429 또 +++++아직 타원 안 끝났습니다, 원추곡선- 원뿔곡선에서의 특정한 타원의 경우 중심선과 타원이 만나는 곳이 촛점이 아닐까? ㅡㅡ>진짜끝 촛점아님^^ 4 file 홍두희 2016.07.10 1085
4428 7월 날씨로는 좋은 것 아닌가요? 오늘(9일) 정관합시다. 1 오광환 2016.07.09 344
4427 7월3일 14시 개통된 강남순환고속도로(양재(선암ic)-금천(소하)ic) 금천출구부근 상습정체 예상... 1 file 홍두희 2016.07.03 807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