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때 노닥거린 이야기 그후. +a,b,c,d(equatorial platform)

by 홍두희 posted Apr 22,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 빨간 성도판을 처음 보고 반응을 보여준 분이 윤석호님였습니다(지금 들고 다니는 버전은 6번째 버전).

14.5인치 돕소니언으로 고배율을 보자니 별이 빨리 도망가신다네요~~, 북쪽은 그나마 괜찮은 데,,, ㅋㅋ.

김광욱님과 윤석호님, 제가 돕소니언의 초간단 추적장치를 아야기 했었습니다.

돕소니언 가대 밑에 '경첩'식의 도구를 달아서 비슷하게 추적하시라고. 이미 나와있는 것이 있다고

김광욱님이 그러셨죠.  돕 드라이브는 이미 알고 있고요... 보다 가볍고 심플하게(잠시만 시야에서

사라지지 않게 만 하면 되니까- 안시용)

며칠 생각해 보니까 쉬운 작업이 아닙니다. 제가 2004년 12월 20일 이곳에  '아이디어가 물씬 물씬

풍기는 카메라 촬영용 적도의'를 한번 보세요.  "E" 가 있어서 추적이 훨씬 편리한데 큰 장비에선

이것을 쓸수 없지요.

어쩔수 없이 수학을 잠시 써야 큰 수고(노가다, 시행착오)를 덜겠네요.

끄적인 그림처럼, 여러 TRAIL에서 잠시라도 따라가려면, 바닥에서 2점으로 높이를 조절해서

기울여야 되겠네요. 한호진님의 3각다리 피어의 높이 조절 볼트에 2개의 모터를 달아서, 두개의 모터

속도를 서로 달리하면 될것 같은 데,,,, 두개가 안되면 3개로(3개중에서 2개만 달는 속도로 연동).

라라라.

-

+a

3시 반에  추가.

모터(아무래도 스텝모터)를 3개(감속 기어 포함) 바닥의 3점 지지위치에 달고,

스위치 버튼는 총 9개(모터 1개당 2개 x 3 , 추적 조정용 2개 , 작동 on/off 1개 )를 쓰고,

콘트롤러는 스위치와 모터와 전원에 연결시키고,,,,

그럼 어떻게 추적 할거냐면,,

대상을 중앙에 놓고 추적 조정용 버튼 start 를 누름.

대상이 중앙에서 벗어나고 있음.

3개의 모터 스위치 6개를 눌러서 중앙에서 벗어나지 않게함( 잠시 10 여초, 길면 더욱 유리)

추적 조정용 버튼 stop을 누름(작동 스위치는 자동으로 on).

start 와 stop 을 누른 사이의 시간동안 각각의 3개의 모타가 돈 거리(펄스 수 측정)를 콘트로러가 계산.

계산된 결과를 3개의 모타에 계속 넣어줌.  

-

+b

4월23일 오후 5시쯤추가

(1)3점 지지위치(바닥면)에서 1점을 올리던가 내리면 그 위에 고정된 망원경은 하늘의 방향을 거의 직선으로

이동할겁니다. (2)하늘에서 가장 빠른 속도(각속도 포함)로 항성이 이동하는 곳은 적위0도 근방일겁니다.

(적경과는 관계가 없을 거구요), (3)그리고 가장 느린 속도는 북위90도 일겁니다.

(4)가장 빠른 속도 위치에서의 속도값(각속도 포함)을 계산해 놓고, (5)3점 지지면(3점 지지점간 거리 미리 설정)

중의 한점의 높이를 얼마의 속도로 이동하면  4)의 값과 같아질것인가를 계산해 봐야 겠습니다.

5)의 속도가 최고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 요인은 다른 지지점의 동시 이동 속도 감안).

(A)그리고 이 5)의 최고속도를 가지는 감속기 모터의 토르크값(모터의 힘)을 역산해서 모터와 감속기

의 규모도 정할수 있고요.

-

+c

4월24일 1시쯤 추가

계산은 좀 나중에 하고, 지금은 생각~~

이 방식(땅[바닥]의 3점 지지점 높이 이동 방식)의 좋은 점이 생각났습니다. 물론 안시용으로 국한합니다만,

큰 규모의 장비에서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비용대비 효용면에서.  10kg->100kg 의 장비의 경우

적도의나 돕 드라이브의 경우 추가되는 추적장치의 비용과

이 경우에서의 추가되는 비용의 비례가 같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계산하지는 않았지만 그럴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큰 장비일수록 효과적이 되겠지요. 탑차나 소형트럭에 고정된 장비(망원경)를 바퀴쪽에 높이조절

기어모터를 탈부착한다면요.

또 다른 효과적인 경우는 직선으로 이동하는 인공위성, 비행기를 쉽게 따라갈수 있을 겁니다.

-

+d

4월24일 2시쯤 추가

1시간 동안 'equatorial platform" 를 검색해서(telescope making 싸이트 검색에서 찾아감, 오늘 처음 봄)

쭉 봤습니다. 아주 흥미있는 장치입니다. 저의 머리 암산 산수실력으로는 확실한 이해(증명)가 안갑니다만,

주 관측장소의 위도[정정]위치에 맞추어 만들면(가공 각도)  훌륭하게 가이드 할것 같습니다. 이 장치의 이해는

다음으로 미루고,,,  저는 제 방식대로.. 라라라.

3시쯤 추가

EQUATORIAL PLATFORM 의 설명이 잘 되어있는 곳을 찾아서 이해 했습니다.

Equatorial Platform 사진출처

http://acodea.org/galeria/d/3937-1/Corrected_20Warren_20Peter_20Manual_20151107-part_20I_20of_20II.pdf

Cylindrical Bearing Equatorial Platform
by Warren Peters

-

-e

4월28일 오전 추가

EQUATORIAL PLATFORM 계산용 엑셀계산 화일 첨부.  

www.tomhole.com/images/WPerers%20Platfor%20A&B.pdf  ( Cylindrical Bearing Equatorial Platform by Warren Peters 의 초기 글로 추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