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2893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자동도입에 대하여
■ Temma2M으로 자동도입을 하는 데는
1. Temma2M에 대응하는 자동도입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한 PC를 사용합니다.
2. 적도의는 정확히 극축을 맞추어 주세요. 극축의 설치 정밀도가 자동도입의 도입 정밀도에 영향을 주므로, 높은 도입 정밀도를 필요로 할 때에는 가능한 한 정확히 맞추어 주세요.
3. 적도의의 RS-232C 단자와, PC를 사용하는 경우는 PC의 RS-232C 단자와 전용 케이블로 접속해 주세요.
4. 다음에는 사용하는 각 자동도입 대응 소프트웨어의 지시에 따라서, 설정, 도입을 실시해 주세요.

■ 좌표의 동기
• 콘트롤박스의 Shift 버턴을 누르면서 적경 또는 적위 구동 버턴을 누르면, 그 방향의 엔코더 신호를 캔슬하여 망원경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이 기능을 사용하면, 자동도입한 천체가 시야의 중앙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PC에 지시되어 있는 좌표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목표천체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적경방향은, 방향 버턴을 뗀 후 백래시에 의해 좌표정보가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자동도입 기기의 취급설명서에 따라서, 좌표정보의 동기를 실시해 주세요.

※ PC에 RS-232C 단자가 없는 경우는, USB나 PC 카드에서 RS-232C의 변환 어댑터를 사용해 주세요.

! 주의
• 천정 부근의 천체를 도입하는 경우는, 경통이나 관측장치가 삼각대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긴 경통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 등은, 도입 개시전에 반드시 접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해 주세요.
• 자동도입을 수행하는 경우는, 주위의 안전을 확인해 주세요. 기계에 끼여서 상처를 입든지, 기재를 파손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긴급시에 대비하여 신속히 전원 스위치를 끄든지, 소프트웨어의 정지 스위치를 누를 수 있는 장소에서 대기하여 주세요.
• 기계의 성질상 전자파 노이즈가 외부로 방사되고 있으므로, 의료기기 기타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습니다.

---------------------------------------------------------------------------------------------

중앙을 약간 지난 곳에서 증속한다.
중앙 부근에서는 노말 모드로 위치를 수정한다.

고속구동은, 모터의 특성에 적합한 S자형 곡선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가속의 경우와 감속의 경으의 경사를 각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고속 모드만에서도 상당한 정밀도로 목표를 도입할 수 있습니다.

기어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슬로우 업, 슬로우 다운 합니다.

B. 노말(정상) 모드에서 가이드 보정을 하는 경우
적경방향은 문제가 없으나, 적위방향에서 다음과 같은경우에 문제가 됩니다. 가이드성의 적위방향의 어긋남을 수정중에, 가이드성이 중앙을 지나쳐 오버런해버리는 경우, 당황하여 역방향의 버턴을 눌러도 기어의 유격만큼 반응이 늦어지기 때문에, 쉽게 중앙으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버런을 시키지 않도록 버턴을 째깍째깍식으로조금씩 수차례로 나누어 눌러서 조금씩 수정해 주세요. 오버런의 양이 가이드의 허용범위내라면, 무리하게 역전시켜 중앙으로 되돌리려고 하지 말고, 그대로 손대지 말고 가이드를 계속하는 쪽이 좋을 것입니다.

조금씩 움직여서 오버런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 오토가이드 접속단자에 대하여
콘트롤 패널에는, 오토가이드 장치(α-SGR 등)의 접속단자가 있습니다. 오토가이드 장치는 가이드경의 접안부에 CCD를 장착하여, 인간의 눈 대신에 가이드성을 감시하는 장치로, 가이드성이 벗어난 경우는 자동적으로 보정하도록 모터를 콘트롤하는 편리한 장치입니다.
오토가이드 장치를 접속하는 경우는 별매의 Temma2M 전용 오토가이드 접속 케이블을 사용해 주세요. 현재(2009년 7월), 옵션으로 α-SGR용, SBIG사의 ST-4, ST-7, STV용의 4종류의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격은 11,550엔(세금포함)입니다.
아래에 단자의 사양을 기재하였으므로 참고하여 주세요.

■ 오토가이드 접속단자의 사양
※ 반드시 삽입해 주세요.
무전압 접점
동작시에 ON되는 접점

! 주의
이 단자를 사용한 개조나 자작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고장이나 사고에 대해서는, 당사는 책임을지지 않습니다.
또 이 단자는 오토가이드에서의 신호에 반응하여 모터를 동작시키는 사양이어서, 가이드 정밀도를 보상하는 것은 아닙니다.
  • 홍두희 2010.04.30 17:42
    마지막의 앞 줄이 무섭군요(개조후 고장 책임 안짐)~~. ㅈㅈㅈ, 하긴 민감한 전자 기기를 마구 마구 다루니까, 탈이 날만도 하죠.

    사족- 마지막에서 위로 4번째 줄 "무 전압 접점"이란, 전압을 가하지 말고, 오직 바깥에서 선만 연장해서 붙였다 띠었디 하라는 이야기( 스빅의 기기들에서는 전압이 안 나오고 이 연결 연장선만 서로 붙였다 띠었다 합니다)
    트란지스터 4개를 pc의 프린터 포트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많은 방식(제 optic 방식 말고~~)을 자제 하라는 거겠지요. 얼마나 많이 망가졌으면, 설명서의 도면에도 보호용 부품(1k 오옴 저항)을 넣었겠어요.

천문정보

천체관측 관련 정보모음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0 천문이론 12장 붉은 화성: 12-1. 지구의 이웃 화성 장유 2021.05.24 112
299 천문이론 10장 태양에 그을린 수성: 10-1. 수성의 겉모습은 왜 다르게 보일까? 장유 2021.05.11 113
298 천문이론 9장 황량힌 달: 9-1. 달표면은 공기가 없고 몹시 건조하며 평지와 분화구로 덮여있다 장유 2021.05.03 123
297 천문이론 유니버스(Universe) 서문 1 장유 2021.02.22 132
296 천문이론 3장 일식과 달의 운동: 3-1. 달(the Moon)의 월령(月齡) 2 장유 2021.03.08 141
295 천문이론 4장 중력과 행성의 운동: 4-1. 고대의 천문학자들은 행성의 운동을 어떻게 설명했는가? 장유 2021.03.16 144
294 천문이론 8장 살아있는 지구: 8-1. 바위는 지구 표면의 역사를 알려줄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 장유 2021.04.23 145
293 천문이론 2장 하늘의 이해: 2-1. 위치천문학과 고대문명 2 장유 2021.03.01 149
292 천문이론 13장 행성의 왕, 목성: 13-1. 목성에서도 달이나 지구처럼 서있을 수 있을까? 장유 2021.06.01 151
291 천문이론 11장 구름에 가려진 금성: 11-1. 두터운 구름에 감춰진 금성 3 장유 2021.05.17 158
290 천문이론 1장 천문학과 우주. 1-1. 천문학자들은 물리 법칙과 이론적 모델을 실험해서 우주를 이해하려 합니다. 1 장유 2021.02.23 168
289 천문이론 16장 바깥 세계: 16-9. 명왕성과 위성 카론은 태양계 바깥을 돌고있는 수많은 얼음덩이들의 전형 장유 2021.07.05 178
288 천문이론 16장 바깥 세계: 16-1. 천왕성과 해왕성은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장유 2021.06.23 181
287 천문이론 6장 광학과 망원경: 6-1. 굴절망원경과 반사망원경: 망원경은 크야 할까? 장유 2021.04.07 184
286 천문이론 5장 빛과 물질의 성질: 5-1. 빛의 속도와 측정 2 장유 2021.03.25 186
285 장비정보 그날 이후 궁금증 이인현 2017.01.11 212
284 천문이론 15장 토성: 15-1. 매혹적인 토성의 띠 장유 2021.06.09 215
283 장비정보 CN 플레이트홀더 4 file 이인현 2017.02.07 227
282 천문이론 7장 태양계 (Solar system): 7-1. 다른 행성들은 지구와 비슷한 환경일까?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장유 2021.04.12 228
281 천체사진 pc 라이브뷰를 찾은 이유 1 file 이인현 2016.10.20 23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