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2010.05.03 15:52

[질문이어염]

조회 수 1615 추천 수 1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안녕하세요. 요즘 마음이 들뜬 오서방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굴절 망원경 선전물을 보면, 위와 같은 그래프들을 제공하는 제품들이 일부 있는데,

렌즈 지식이 전무하여서, 도통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초보자의 무식함을 용서하시고, 가르침을 주심을 기대합니다.


각각의 그래프 좌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어떻게 해석을 해야하는지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__)

참고로 위 그래프들은 WO FLT110 이고, 아래 그래프들은 TMB130입니다
  • 한호진 2010.05.03 19:03
    꼬불꼬불선이 한곳에서 곂치면 좋은거로 압니다만....^^
    그냥 비싼넘사서 쓰는게 장땡~~~짜장면 시킬때는 몇백번 심사숙고후 결정해도 후회할 가능성 있습니다.
  • 홍두희 2010.05.04 00:22
    A)한번에 하나씩?
    1 그림들의 제일 밑줄 "AIRY DISKS : 3.506 - 4.703"
    2 그림들의 제일 밑에서 첫번째줄 "파장단위=u"
    3 그림들의 제일 밑에서 세번째줄 "제품명: *** ****/F6"
    4 그림들의 제일 밑에서 9번째줄 "0.479990 0.486130 0.54670 0.587560 0.64385"
    5 그 윗줄의 "파장영역 0.480 0.486 0.546 0.588 0.645"

    AIRY DISK는 공식 "D = 2.43932 x λ x Focal Ratio" 가 있음. D는 "AIRY DISK라는 고유명사의 지름,
    2.43932 는 수학적으로 풀은 상수, λ는 파동을 갖는 매질의 파장, Focal Ratio 는 광학계의 구경대촛점거리의 비

    AIRY DISK는 평행광이 광학계를 통하여 빛이 모아질때 촛점면에서 가장 작아지는 크기를 말함. 광학계를
    경유해서 모아지는 빛이 촛점에서 모두 모이고 크기는 0 이 될것 같은데, 이 공식에 의해서 되지 않음.

    이정도 설명이면, 1-5는 이해?,

    3번째 줄과 9번째 줄의 10개의 생깔이 있는 원과 점의 크기와 분포는??? - 내일~~저도 책좀 보고^^ (힌트 단위)
  • 한장규 2010.05.04 12:06
    그렇군요~ 좋은 정보입니다
  • 오영열 2010.05.04 13:10
    흠... 회장님 설명에 얼추 알겠습니다만, 몇가지 더...
    TMB130꺼로만 말씀드리죠.
    첫번쨰 그래프(TMB130의)에서 가로축과 세로축이 의미하는 바가 무언가요? 각 색깔이 0.480 0.486 0.546 0.588 0.645의 파장을 가진 빛을 나타내는 건 알겠습니다만, 그래프 축이 무언지 모르겠네요.
    둘째그래프도 각 파장별로 나타낸것 같은데, 0 도, 0.5도의 의미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 김준오 2010.05.18 18:07

    쉽게.... 설명드리면,

     

    첫번째 그래프에서 가로는 촛점면상의 크기입니다. 세로는 촛점 거리구요. 따라서 각각의 파장이 렌즈면에서 시작되어 제조사가 말하는 렌즈의 촛점거리에서 얼마나 각 파장들이 잘 모이느냐, 그리고 촛점 않맞으면 산란되는 파장(일명 할로우)이 어느정도냐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좋은 렌즈는 시작부터 범상치 않게 입사한 파장들이 벗어나지 않고 일정 범위내에서 수렴되어 촛점면에서는 거의 한곳에 모이게 되는데, 그럼 촛점면상만 보이면 될텐데 뱀처럼 그려놨냐고 물어보니 플레트너나 바로우 등등 조합렌즈를 사용할 경우 예상되는 수차를 알 수 있답니다. 도리어 수차가 교정되기도 하구요. 따라서 예전에는 중심선과 겨의 평행하게 가는 렌즈들을 선호했었는데, 요즘에는 다양한 조합으로 촬영 경통을 갖추기 때문에 도리어 좋은 조합은 제조사의 기본 구성보다 결과가 좋기도 한답니다. (결국 뚫어지게 쳐다봐도 플레트너 하나 잘만나면 클리어....)

     

    두번째에 있는 촛점면상 근처(?)에서의 성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즉, 보유한 CCD소자의 크기에 비해 얼만큼 작은/큰 별상이 맺혀지고 퍼지는지 알려 준다고 합니다. 따라서 고가의 CCD인 경우 별상을 예측할 수 있답니다. 또한 렌즈 중심으로 부터 일정 거리가 떨어진(촛점면에서)곳에서의 별상을 나타내는데.. 이건 확실하지 않네요. ^^;

     

    TOA나 TSA를 보면 일직선이긴 한데, 주의해야 하는게 X축 입니다. 제조사마다 이넘의 X축 범위를 각양 각색으로 범위를 지정하기 때문에.... 전에 TMB를 보니 다까하시의 1/5로 기록해 놨더군요. TMB 130 그래프가 진짜(?)라면 엄청나야 정상인데.... 이거이 일반 사람이 측정하기에는 느므 많은 변수(시상, 투명도, 테스트성, 노출, 촛점, 렌즈 스트레스, 광축, 적도의 상태..... 아휴 머리야)가 있기에 깊게 알기엔...

  • 오영열 2010.05.22 14:10

    음.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서천동 지식인

모르는것 궁금한것 다물어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서천동 지식인 게시판 이용안내 홍두희a 2010.05.17 7482
공지 초보자를 위한 교육용 추천 홈페이지 싸이트. 4 홍두희 2008.10.16 7906
298 싼타페 타이어 가격이 얼마 정도? 7 김광욱 2011.01.19 6584
297 카오디오 엠프 관련 질문입니다.. 5 박기현 2013.11.21 4403
296 타임랩스 제작을 위한 부품관련 질문입니다.~ 20 file 박기현 2013.02.03 4122
295 또 질문입니다. ㅜㅜ(D-Focus 제어) 4 file 김완기 2006.11.22 4032
294 RS-485 케이블 연결문의 2 file 이인현 2014.01.25 3820
293 4p mini din과 usb 연결? 8 file 김정호2 2013.12.13 3734
292 생애 첫 천체 망원경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5 국일호 2013.06.24 3698
291 질문 yo~ 8 신초희 2011.11.07 3553
290 시그마에서 예판하고 있는 SD15 천체사진에는 ... 7 오광환 2010.07.02 3473
289 갑자기 노트북이 그냥 팍 나가서 As 받은 후의 문제입니다._추가정보 21 오광환 2011.06.21 3372
288 홍회장님~~ 분광사진기 관련 사이트입니다.. 1 file 조용현 2012.05.01 3359
287 자동차용 인버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오광환 2011.10.06 3354
286 전원 공급장치 블랙박스 완성단계. 문의좀 드릴꼐요. 8 file 최성민 2013.01.30 3297
285 아답타/충전기 관련 질문입니다.~ 6 file 박기현 2013.01.22 3255
284 [re] 우리아이가 천체에 관심이 많은데.... 김형석 2003.08.29 3246
283 제2의 황금박스? 8 윤석호 2011.12.26 3232
282 금성 태양면통과 궤적에 관하여.....포물선 또는 직선.. 2 file 조용현 2012.06.10 3229
281 전원 스위치 관련 문의좀 드리겠습니다. 4 file 최성민 2013.01.23 32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