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오토가이드
2010.05.06 12:22

autoguide port_#2 (TAKAHASHI TELESCOPE),(VIXEN DD-3)

조회 수 7903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 받는쪽 - TAKAHASHI TELESCOPE  EM10부터 2009년 TEMMA2M 까지

히로세와 PS2는 암놈의 소켓이고, 호시덴은 숫놈의 소켓입니다.


히로세 단자의 초기 모델은 오토가이더 포트가 없습니다. 핸드콘트롤러의 전후좌우 누름스위치나 오토가이드 단자나

기능적으로 100% 같습니다(지금까지도~~). 그래서  핸드콘트롤러 소켓에서 선을 병렬로 연결(전화기 뿌러치

하는 것과 같이)해서 핸드콘트롤러와 오토가이더를 함께 씁니다.

히로세 규격 HR12와 HR212는 같습니다(도금 차이등)


PS2 는 표준화 된 규격입니다. (MINI DIN 규격)  표준화가 되었기에 메이커가 특정되지 않습니다.

PS2단자 모델은 PS2 6핀을 오토가이용으로 쓰고, PS2 8핀을 헨드콘트롤러로 씁니다.(예전 버전과

헨드콘트롤러 연결 소켓다름)


TEMMA2M 에서는 오토가이드용으로 8핀인 호시덴의 TCS7764(8PIN) 숫놈 소켓을 사용했습니다.

직전 PS2 8핀 헨드콘트로러와는 호환되는지는 확인 못했습니다(키의 모양과 기능은 다름)

-
10년 5월13일 추가.

temma2m 의 오토가이드 도면(사용설명서 영문,일어)에는 RA 와 DEC모두 +,-의 표기가 없습니다.

+,-를 다르게 연결하면, 오토가이드가 안되고 반대방향으로 계속 달아나겠지요.

실물을 작동시켜야 확인이 되겠네요


다까하시의 초기버전인 히로세 콘넥터가 있는 경우에도 DEC 의경우에는 +,- 구분이 없고,

RA에만 +,-구분이 있었습니다.  히로세의 경우는 1번핀과 2번핀 같은 DEC 표기에서 1번핀을 +(UP)

설정해서 TEST를 한 기억이 납니다.


-

2014년 4월 5일 추가

VIXEN 핸드콘트롤러 DD-3 에는 오토가이드 포트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DD-3의 오토가이드 포트는 GPUSB 와 같은 모양이며, 순서도 GPUSB 와 같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6핀중에서 2번째 핀의 기능은 GND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나머지핀은 미확인))

  • 한호진 2010.05.06 15:22
    2m안쓰니깐 패스~~
  • 오영열 2010.05.06 16:58
    언젠가 쓰실날 오실지도 몰잖아요 ^^ (EM200TM2 넘기세욧)

천문정보

천체관측 관련 정보모음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 장비정보 [EQMOD] EQ6 EQMOD용 Direct Control Interface만들기 4 김준호 2008.02.28 4971
79 장비정보 [본문] 극축정렬 - 표류이탈법 설명 [플레시링크수정] 4 김준호 2008.01.18 4929
78 장비정보 [본문] 점상 촬영시 초점 거리에 따른 노출시간 계산 1 김준호 2008.01.16 4569
77 장비정보 레이저콜리메이터 광축맞추기. 7 file 한호진 2007.12.15 6027
76 관측정보 Test Report 1 file 이상헌 2007.12.07 5438
75 관측정보 카메라별 촛점거리별 화각 1 file 이상헌 2007.12.07 4002
74 자작정보 AstroDSLR을 만들자 - LPF 제거 (1) 7 김준호 2007.09.28 7093
73 장비정보 EM200 가이드 중간에 끼어들기 4 유종선 2007.03.19 8065
72 장비정보 심심할때 연습하세요. 표류이탈법... 5 김준호 2007.01.17 4315
71 장비정보 쉽고 빠르며 꽤 정밀한 극축 정렬법 5 김준호 2006.12.12 5209
70 장비정보 [re] 400D의노이즈 7 file 한호진 2006.12.07 3697
69 장비정보 400D의노이즈 7 유종선 2006.11.05 3890
68 관측정보 스타파티 강의자료 - 천체사진을 찍어봅시다. 3 file 이상헌 2006.10.30 3686
67 관측정보 천체사진 촬영이 적성에 맞는가 연습해 보세요(data 2개) 4 홍두희 2006.10.10 7763
66 관측정보 에어리 디스크(Airy DISK). 촛점면에 맺치는 별의 크기 + 분해능계산 7 file 홍두희 2006.10.02 11688
65 관측정보 생초보의 DSLR로 천체사진 찍을 때 고려사항(3) 18 file 이상헌 2006.09.30 4602
64 자작정보 별자리판 5 file 정중혁 2006.09.26 4522
63 관측정보 생초보의 DSLR로 천체사진 찍을 때 고려사항(2) 8 file 이상헌 2006.09.10 4472
62 관측정보 생초보의 DSLR로 천체사진 찍을 때 고려사항 21 file 이상헌 2006.08.25 4273
61 관측정보 모기와의 전쟁... 3 김준호 2006.06.22 3578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