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9년 가을 다가하시 적도의 TEMMA2M 계열의 오토가이드 단자는 호시덴(소켓회사)의 제품입니다.

적도의나 기타 천문장비에서는 처음 쓰는 8핀의 단자입니다.  호시덴 TCS7764 계열 8핀 소켓이며,

상대물인 플러그는 호시덴의 TCP8964  8핀 입니다.

전선이 달린 프러그나 납땜해서 사용하는 TCP8964가 없어서, TCP8964 프러그를 사용하는 니콘카메라용

USB 케이블인 UC-E1을 개조했습니다. UC-E1은 선이 4줄(실드선 포함 5줄)이며 TEMMA2M은 최소

5줄(하이스피드의 경우에는 6줄)이 필요합니다.

UC-E1의 4줄과 실드선 1선을 모두 이용해서 개조하였습니다.

전선쪽(오토가이더쪽)은 표준화가 다 되어있고, 공개가 다들 되어잇구요 라라라.. 3000원의 보람(+약 20시간???).

-

5월13일 추가

플러그쪽은 사진처럼 선을 추가로 뽑을수 있습니다. 실드선이 납땜이 안되서 약간 고생하고,

오랜 사용을 위한 신뢰성을 위해서 신중히 배선해야하지만,,,,

중요한 것은 +,- 극성을 쉽게(장치에 설치하지 않고 도면만 보고) 알수 없다는 겁니다.

다까하시의 그림에도 극성(RA/DEC/공통단자의 구분이 아니라 RA 2개중에 어느것이 +,-(동,서) 인지)

이 없습니다.

또 각종 망원경과 CCD 쪽에도 +,- 의 구분이 천차만별이네요. PC나 오토가이더 본체에서 +,- 를

수동 전환하거나, 자체 TEST모드에서 변경하는것 같군요.

반대방향으로 도망가면, +,- 단자가 서로 반대가 되는 거네요.

-->

1시간쯤 후 추가

생각해보니, ccd에서의 +,- 의 기호는 의미가 없는 것 같네요. ccd가 가이드망원경에 장착될때에

가이드망원경 사양에 맞게 동서남북이 제각각 바뀔것이 니까요. 정립가이드망원경을 쓰는 바보는

없지요.

그러나 망원경(특히 적도의)에서는 필요하고요.

서로 다른 극성의 망원경 2대를 하나의 ccd로 번갈아 가며

시용할때도 ccd셋팅할때에 test할때 극성이나 방향을 바꾸는 것이 겠네요. 

 

-

 

2010년 7월5일 추가

 

uc-e1 과 같은 호시텐 플러그를 쓰는 다른 케이블을 오늘 다시 알았습니다.(2005년 12월 프린트 해논것이 있었네요. sc-ew3 케이블(니콘 시리얼 케이블)

 

그때 프린트해논 자료를 첨부합니다.

 

 http://aristarco.dnsalias.org/dualcable 

  • 오영열 2010.05.06 14:21
    흐흠 국내 최초 시제품이네요. 성공하여야 될텐데 ^^
    3,000언도 대단하지만, 20시간이라... 에고.
  • 한호진 2010.05.06 15:42
    이거이 11000엥짜리군요...딸랑딸랑~
  • 오광환 2010.05.06 22:34
    우와~~~~~~ 정품은 11000엔 11000*12.222(오늘 환율) = 134,442원 정도입니다. 다음정관이 기다려 집니다.
    정관을 15일로 해주시길 하늘에 빌어봅니다. 14일엔 구름을 15일엔 쨍한 하늘을 주시옵소서~~~ ^.^
  • 권기식 2010.05.17 13:50
    RA이든 DEC이든 +, -는 바뀌어도 상관이 없습니다.
    캘리브레이션할 때 이 신호를 내면 어느쪽으로 도는지 미리 돌려보기 때문입니다...
    2M 오토가이드에서 마지막 HS라는 신호선은 아마 가이드 케이블을 꽂았을 때 NS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달아둔 것 같습니다.
    이전 템마 모델들은 핸드 컨트롤러의 스위치가 HS로 되어있으면 가이드 단자로 신호를 보내도 NS가 아닌 HS로 움직여서 애써 맞춰둔 구도가 틀어지는 실수를 가끔씩 하기 때문에 이 접점을 만들어둔 것 같네요...
  • 홍두희 2010.07.05 05:14

    오늘 화일을 뒤적이다가, 낮익은 그림이 눈에 들어옵니다. 오 마이갓. 5년전에 프린트해논 것이었는데, 템마2m 숫놈의 플러그입니다.

    몇달전에 이것을 찾으려고 많은 시간을(약 10시간) 찾았었는데,,,,

     http://aristarco.dnsalias.org/dualcable

    아마 천망동 유준규회장이 물어본것 같습니다.  인터벌 일주 촬영을 한다고 그랬던거로 기억하고요. butimer2를 일주에 맞게 프로그램해준것 같고요.

    uc-e1이나 mc-eu1 말고도 sc-ew3 도 있네요.


천문정보

천체관측 관련 정보모음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0 천문이론 12장 붉은 화성: 12-1. 지구의 이웃 화성 장유 2021.05.24 112
299 천문이론 10장 태양에 그을린 수성: 10-1. 수성의 겉모습은 왜 다르게 보일까? 장유 2021.05.11 113
298 천문이론 9장 황량힌 달: 9-1. 달표면은 공기가 없고 몹시 건조하며 평지와 분화구로 덮여있다 장유 2021.05.03 123
297 천문이론 유니버스(Universe) 서문 1 장유 2021.02.22 132
296 천문이론 3장 일식과 달의 운동: 3-1. 달(the Moon)의 월령(月齡) 2 장유 2021.03.08 141
295 천문이론 4장 중력과 행성의 운동: 4-1. 고대의 천문학자들은 행성의 운동을 어떻게 설명했는가? 장유 2021.03.16 144
294 천문이론 8장 살아있는 지구: 8-1. 바위는 지구 표면의 역사를 알려줄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 장유 2021.04.23 145
293 천문이론 2장 하늘의 이해: 2-1. 위치천문학과 고대문명 2 장유 2021.03.01 149
292 천문이론 13장 행성의 왕, 목성: 13-1. 목성에서도 달이나 지구처럼 서있을 수 있을까? 장유 2021.06.01 151
291 천문이론 11장 구름에 가려진 금성: 11-1. 두터운 구름에 감춰진 금성 3 장유 2021.05.17 158
290 천문이론 1장 천문학과 우주. 1-1. 천문학자들은 물리 법칙과 이론적 모델을 실험해서 우주를 이해하려 합니다. 1 장유 2021.02.23 168
289 천문이론 16장 바깥 세계: 16-9. 명왕성과 위성 카론은 태양계 바깥을 돌고있는 수많은 얼음덩이들의 전형 장유 2021.07.05 178
288 천문이론 16장 바깥 세계: 16-1. 천왕성과 해왕성은 어떻게 발견되었을까? 장유 2021.06.23 181
287 천문이론 6장 광학과 망원경: 6-1. 굴절망원경과 반사망원경: 망원경은 크야 할까? 장유 2021.04.07 184
286 천문이론 5장 빛과 물질의 성질: 5-1. 빛의 속도와 측정 2 장유 2021.03.25 186
285 장비정보 그날 이후 궁금증 이인현 2017.01.11 212
284 천문이론 15장 토성: 15-1. 매혹적인 토성의 띠 장유 2021.06.09 215
283 장비정보 CN 플레이트홀더 4 file 이인현 2017.02.07 227
282 천문이론 7장 태양계 (Solar system): 7-1. 다른 행성들은 지구와 비슷한 환경일까?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 장유 2021.04.12 228
281 천체사진 pc 라이브뷰를 찾은 이유 1 file 이인현 2016.10.20 23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