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김광욱 2014.12.01
공지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김광욱 2010.05.17
  1. M63 Sunflower Galaxy

    OTA: Takahashi e-250 Camera: SBIG ST-10XME Mount: Paramount PME Exposures: L=600s X 6 (1:1) , R/G/B=300s X 4 (2:2), Total 120 mins M63 Sunflower Galaxy는 사냥개 자리 (Canes Venaciti)에 위치한 우리 은하계와 비슷한 크기의 지름 10만 광년에 달...
    Date2012.04.18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13598
    Read More
  2. Pelican Nebula /Ha (FCT-76 Test Shot)

    [촬영정보] 촬영시간 : 2009년 5월 4일 새벽 촬영장소 : 양평 벗고개 망원경 : Takahashi FCT-76 Triple Apochromat /w F4.5 Reducer (345mm) 적도의 : Takahashi EM-200 Temma2 카메라 : SBIG ST-10XE (-20C) 가이드 : Self-Guide Ha : 1200s x 3 frames (1x...
    Date2009.05.05 By공준호 Views8252
    Read More
  3. NGC7635 Bubble Nebula

    거의 매년 한 번 정도는 찍고 지나가게 되는 Bubble Nenula 입니다. 이 사진은 사실 10월 정관 Star Party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옅은 구름이 왔다갔다 하는 사이로 찍어 그리 상태가 좋지 않은지라 미루어 두었다가 QSI683 성능 테스트 의미로 찍은 것이라 ...
    Date2012.12.26 Category성운 By공준호 Views6784
    Read More
  4. M1 Crab Nebula

    Center Crop 1:1 Medium field Full field view, Resized Ha만 Luminance로 잡고 합성한 HRGB 이미지 OTA: Planewave CDK431mm (F4.5) Camera: FLI-PL6303E @-45C Mount: Planewave Ascension 200HR Exposure: H=5 x 900s (bin1), L=21 x 300s (bin1), R/G/B=...
    Date2013.02.10 Category성운 By공준호 Views6269
    Read More
  5. M81 & M82, Bode's Galaxies

    매 년 한 번 쯤은 찍어보게 되는 M81 & M82 Bode's Galaxy 한 쌍입니다. 소행성이 예견되었던 날 새벽에 이를 기다리며 찍어 보았습니다. 이 앞으로는 목성도 찍고 또 뒤로는 소행성을 관측하느라 Ha를 찍을 시간이 없었던 것이 아쉽습니다만, 이를 감안...
    Date2013.02.24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6131
    Read More
  6. M45 Pleiades 성단/성운

    M45 Pleiades Star Cluster OTA: Takahashi TOA-130 /w 35 reducer (F.L.=780mm) Mount: AstroDreamTech MC-300 Equatorial Mount Camera: QSI-683 Cooled CCD Camera @ -30C Guide: Off-axis guide with LodeStar guide CCD camera. Exposures: Luminace=600...
    Date2012.10.16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5893
    Read More
  7. NGC3372 Eta Carina 대성운

    R.O.로 첫 촬영한 남반구 하늘의 대상이자 남쪽 하늘의 대표적 성운인 Eta Carina입니다. 그런데, 호주 천문대 현지에 바람이 많이 불고 Internal 가이드 세팅에도 문제가 있어 Luminance 10분씩 11장을 찍었음에도 모두 문제가 있어 촬영에 애를 먹었습니다....
    Date2013.02.23 Category성운 By공준호 Views4726
    Read More
  8. NGC3372, The Great Eta Carina Nebula

    지난 2월달 시도에 이어 Luminance와 Ha를 추가로 찍고 두번째 시도입니다. 지난번 보다는 좀 더 배경이나 성운기가 자연스럽게 표현이 되어진 듯 합니다만. 광각 망원경에 Full Frame CCD로 성상이 예쁘게 나오게 하기는 참 힘이 드는군요. ^.~ - 촬영시간: ...
    Date2013.05.10 Category성운 By공준호 Views4709
    Read More
  9. The Super Moon

    여러분 Super Moon의 에너지를 받아 남은 결실의 계절에 더욱 활기차고 많이 이루는 역사를 이루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Super Moon 현상은 달이 근월점일 때인 9/9일 11pm 무렵에 발생하였으며 이때 지구와 달사이의 거리는 약 358,387 Km. 달이 가장 멀 때는...
    Date2014.09.11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571
    Read More
  10. NGC7331인근 은하단과 Stephan's Quintet

    TEC-160 First lighting 시리즈 마지막은 NGC7331인근 은하단과 Stephan's Quintet입니다. 아래 실제 FoV사진에서 보시듯 이 대상들은 대구경 반사에 적합한 대상들로 1000mm F6 광학계로 찍기에는 너무 작은 대상입니다만, 어차피 경통의 여러 가능성을 테스...
    Date2013.10.09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4427
    Read More
  11. 소행성 2012 DA14, NGC3718영역 통과!

    사실, 별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광각으로도 잡기 힘든 빠른 속도로 스쳐지나가는 소행성을 1000mm F7급 망원경으로 DSO와 한 화각에 담을수는 없을까?" 라는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기로 한 건 하선생님이 이 소행성을 찍으려고 고민하시는 모습을 ...
    Date2013.02.16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4305
    Read More
  12. NGC253, Sculptor Galaxy

    중심부 Crop 실제 FoV (클릭하면 커집니다) TEC-160 First lighting 시리즈 두번째로는 은하계를 찍어보았습니다. NGC253, Sculptor Galaxy는 사이즈는 작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남쪽에 낮은 고도로 떠 있고 상대적으로 빨리 지평선으로 떨어져 한번에 충분한 ...
    Date2013.10.08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3584
    Read More
  13. M1 Crab Nebula. TEC-140/SBIG STL-11000 테스트샷

    중앙부 1:1 crop 중앙부 1200 x 800 영역 선거 전날밤 연구소 회식도 마치고 늦은 시각이었으나 정말 얼마만에 찾아온 투명한 하늘인가? 강원도 횡성 산중에 도착한 것은 거의 자정이 다가올 무렵. 지인 두 분은 일찌감치 도착해 자리를 잡고 계셨고 나는 새...
    Date2012.12.20 Category성운 By공준호 Views3544
    Read More
  14. M45 Pleiades, 성운의 디테일중심 처리버전!

    제목 그대로 성운의 디테일을 조금 더 강조해 처리해보았습니다. Blooming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고보니 스파이더 상도 훨씬 예뻐졌군요. ^^ 아래의 이전 처리버전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입니다. 촬영정보는 얼마전 올린 벗고개 M45와 동일 ^.~
    Date2008.10.09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2616
    Read More
  15. 금성의 태양면 통과

    OTA: Takahashi FCT-76 Fluorite Triplet APO Mount: Takahashi EM-11 Camera: DBK21AU618 @60 frames/sec,Total 3500 Frames Best Frames (70%) Stacked on Registax V6, Wavelet fitted.
    Date2012.06.06 Category태양계 By공준호 Views2587
    Read More
  16. M63 Sunflower Galaxy

    디테일을 목적으로 대구경으로 찍어본 M63입니다. OTA: Planewave 17" CDK (1940mm, F4.9 /w reducer) CCD: FLI-PL6303E @-35C Mount: Planewave Ascension 200HR Exposures: L= 11 x 600s (1:1), R/G/B= 8 x 300s (2:2) R.O. @New Mexico site 처음 사용하는...
    Date2012.05.07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2507
    Read More
  17. NGC3628 : 홍회장님 관측지에서 First Lighting 입니다!~~

    지난번 M51 테스트샷에 이어 찍어 본 NGC3628 은하계입니다. 홍회장님 홍천 관측지 부지에서의 First Lighting 이기도 합니다! 일단 하늘은 환상적인 하늘로 오선생님과 둘이서만 즐기기 미안할 정도로 밤 새 은하수가 하늘을 가로질러 걸려있던 멋진 밤이었...
    Date2013.05.05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2485
    Read More
  18. 소마젤란운 (Small Magellanic Cloud)

    소마젤란 은하(NGC 292)는 우리 은하 주위를 도는 왜소 은하이다. 우리 은하와 함께 국부은하군에 속하며, 대마젤란 은하와 가까이 있다. 1억 개의 별이 있다. 약자로 SMC(Small Magellanic Cloud)라 부르기도 한다. 남천인 큰부리새자리에 있으며, 겉보기 밝...
    Date2014.08.10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2420
    Read More
  19. NGC4631 Whale Galaxy

    오래간만에 잡아본 고래입니다. ^.~ OTA: Takahashi E-250, F3.4 (F.L.=850mm) Camera: SBIG ST-10XME Luminance = 5 X 600s, R/G/B= 3X300s each
    Date2012.03.03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2380
    Read More
  20. M104 Sombrero Galaxy

    날씨가 흐리고 비까지 오길래 New Mexico쪽 RO좀 돌려 보았습니다. 시간상 Luminance만 5장 Stacking한 후에 DDP처리. 똑같이 FITS 파일을 받아 Maxim DL5에서 처리하지만, 어쩐지 허한 마음이 드는 건, 단지 빌린 망원경이라서 일까요? 아니면 별빛을 머리에...
    Date2012.03.02 Category딥스카이 By공준호 Views236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