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관측정보
2005.02.21 17:52

천체스케치의 기본방법(장비관련)

조회 수 3358 추천 수 5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천체를 스케치하거나 그린다는것 한마디로 어렵지요.
왜냐면 아이;피스속과 화판의 종이를 번갈아 보고 그린다는건
거의 노동 입니다.

1.일단 추적이 가는한 망원경(가대)은 기본(적경모터면 충분함)

2.고배율에서 저배율까지의 다양한 아이피스

(첨에는 저배율로 천체 형을잡고 서서히 고배율로 올리면서 스케치하면 그림의 심도가 깊어진다)
그리고 다시 저배율로 계속해서 고배율로 이렇게 하면 완성도,깊은 느낌을 화폭에 담는 폭이 커진다)
관측적인 측면과 유사하지만 스케치를 하면서 적정한 배율로 바꾼다는건 안시와는 조금다릅니다.왜냐면 고배율에서 너무 오래 그리면 화면의 구도나 표현의 지나침으로 균형이깨지고 저배율을 잘활용하고 고배율의 특성을 이해한며 그린다는건 많은 노하우가 필요합니다.

3.든든한 이젤

(망원경과 화면을 동시에 보기때문에 망원경 처럼 가대가 부실하면 상이 흔들리는 것처럼 이젤이 약하면 연필터치가 제대로 안됨)
갑자기 바람이 불어서 이젤이 넘어질수도 있고,때에 따라서 이젤의 위치를 수정해가면서 스케치를 할때도 잇기때문에 튼튼하면 좋치만 전 그,냥 야외용 이젤을 씁니다. 바람이 부는 날엔 쇠말뚝과 마스킹 테잎 또는 철사도 필요 합니다. 하지만 종이의 크기가 조금만 커지면 튼튼한 이젤이 필요 합니다.(간단하게라면 야외용//한번 그려보겠다면
튼튼한 이젤이 필수 입니다)

4,붉은 조명

(가장 중요한 부분 입니다.너무 어두우면 스케치가 어렵고 밝으면
암시야 적응이 안되서 대상의 세밀한 스케치에 지장을 줍니다.
그리고 조명의 각도가 무지 중요 합니다.
종이에 비추이는 빛이 화면만을 비추일때 스케치의 완성도는 매우 높아 집니다
힌아크릴판에 붉은 다이오드로 그리는 방법도 있는데 이건 밑의 판의 얇음도 있지만 다양한 종이의 선택이 불가는해서 별로인것 같습니다.
*저는 빈 맥주프라스틱 뚜껑과 불은 꼬마전구 가늘한 나무와 검은 테입을 부쳐서 야간 조명장치로 쓰고 있습니다.(아주 이상적임)
직접보시면 너무나 간단합니다(재료비 1000원^ ^)
암튼 천체스케치할려면 자기자신에게 맏는 조명을 만들어야 합니다.

5.스케치 도구의 선택

*검은종이에 흰 연필
밤하늘은 어둡고 별은 상대적으로 밝기때문에 검은 종이에 힌 연필로 그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흰종이에 검은 연필
착시가 일어난다고 해야 하나요.
행성이나 야간풍경에 추천합니다.
은하나 성운,성단의 스케치시 불필요한 선과 노력이 들어 갑니다.
왜냐면 밤하늘은 희게 별은 검게 현하다보면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듭니다.

*기타 수채화와 콘테,파스텔 등등

간단하게나마 별을 스케치하기위한 기본 방법 입니다.
그전에 그림에 대한 기초는 집에서 스스로 연습하고 필드로 나오시는게 절실히 필요합니다.
그냥 별그리고 싶은 의욕에 필드에서 그리면 벗스럽기는 하겠지만
(별첨보는 사람이 망원경부터 사서 별을 못찿는것과 같은 이치랄까
일단 스케치를 할려면 의외로 장비를 잘갗추어야 합니다 천체사진처럼 돈이 드는건아니지만 자기만의 장비를 반드시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
혹 앞으로 천체 스케치를 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워낙 적을 글이 많아 이정도로 짧게 줄입니다.  


천문정보

천체관측 관련 정보모음 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0 관측정보 회원 교육 방법 변경 1 정한섭 2002.11.05 4011
299 골드박스 황금이든 뭐든 암튼 박스-100722 22 file 한호진 2010.07.22 3022
298 자작정보 황금박스? 난 플라스틱 박스~ 3 file 박기현 2014.03.02 2413
297 골드박스 황금박스2, 며칠후~~ 3 홍두희 2010.08.18 3221
296 골드박스 황금박스2, 글씨 작업. 1 file 홍두희 2010.07.29 2829
295 골드박스 확정된 넘?-100709 9 file 한호진 2010.07.09 3207
294 자작정보 호진이표 피어의 몸통과 다리를 꽉 조였습니다. 10년만에 손보네요. 1 file 홍두희 2021.08.22 395
293 천체사진 혜성사진을 처리하는데 도움이 될 프로그램 : Straton 2 file 김광욱 2016.03.03 464
292 관측정보 행성들이 모인답니다. file 유종선 2005.06.22 3026
291 장비정보 프라스틱 큰 물통으로 적도의 케이스 만들기 4 file 홍두희 2016.04.20 803
290 천체사진 포토샵 레이어 마스크를 이용한 오리온 중심부 살리기 4 file 하원훈 2010.12.21 4862
289 관측정보 포물면(선)의 촛점 - 경로와 거리. file 홍두희 2005.07.19 6217
288 장비정보 편리한 극축맞추기 for EM200 유저 3 file 김광욱 2015.06.26 724
287 장비정보 펜탁스67렌즈 비교표 1 전영준 2010.08.17 2802
286 장비정보 투유캠가 LPI 비교기가 있군요... 1 유종선 2006.06.15 7532
285 자작정보 코스트코 흰색 랜턴에 빨간불 편하기 넣기 1 file 홍두희 2015.09.11 1221
284 장비정보 케논 60D 외부전원 어댑터의 전압은 8.2V. 9 file 홍두희 2013.07.08 4949
283 장비정보 케논 5D 마크2 의 벌브때의 소모전류는 250~300mA 정도 (60D 도 이정도로 추정) file 홍두희 2013.07.12 4310
282 장비정보 케논 550D 의 벌브때의 소모전류는 220mA 정도. file 홍두희 2012.09.04 3717
281 자작정보 캐논 350D Low Pass필터 빼기~~ 사진과 설명을 올립니다. 6 이수진 2006.03.29 38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5 Next
/ 15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