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스카이
2015.12.26 01:13
오리온 대성운 + 런닝맨~
조회 수 262 댓글 5
별사진 찍는 사람으로서 매년 한번은 찍어줘야지 하고 생각하는 대상 입니다.
크고 화려한 색상과 밝은 모습은 대충 찍어도 멋지게 잡을 수 있는 녀석이긴 합니다만....
더 잘찍어보고자 하면 정말 어려운 대상 입니다. 매번 찍고 이미지 처리를 해봐도 모자름을 느끼게 하는 대상.
- 3색 성운의 조화로운 처리 (푸른 성운기와 붉은 성운, 그리고 배경 성운까지)
- 인공위성의 공습!
- 명부와 암부의 계조차이 극복
- 복잡한 성운 구조의 표현
뭐....올해도 찍어봤습니다만, 10인치 반사망원경 스파이더 개조건의 문제로 인해....매우 아쉽네요.
0.5T 카본 더블vane 으로 장착하고 처음 찍어본건데, 강성이 좀 약하네요. 텐션을 넣는 추가개조가 필요할 듯.
명부/암부 계조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HDR Composite 프로세스를 적용했는데, (2분, 10초)
트라페지움을 살리기 위해서는 10초도 과다노출이라 다음에 할때는 2초 짜리 샷도 넣어줄까 생각중 입니다.
원샷으로 찍으니 너무 편하네요....아 이거 귀차니즘에 빠지면 안되는데...
# Date : 2015/12/19
# Location : 강원도 홍천군
# Equipment
- Mount : Mesu-200
- Telescope : 10inch Astrograph F3.6 (Zambuto main mirror with ADT 3inch coma corrector)
- Camera : Fuji X-E1 mirrorless
# Processing : Pixinsight(Stack, 노이즈처리, HDR Composite 등)
# Exposure : 120 Sec X 32, 10 Sec X 32 (ISO1600)

-
Mono CCD 일때는 다크를 Pix 에서 SW 처리하고 Stack 하곤 했는데....
Flat 은 모든 경우에 처리해야 하고요 (Flat 촬영 or SW Flatten) Bias 는 찍으면 좋긴 할텐데 귀차니즘에.
Dark 는 처리하는게 좋지만 가이딩 할때 Dithering 옵션을 이용하고 촬영장수를 많게 하면 Stack 할때 없앨수 있습니다. -
어마어마하네요...
-
CCD 나 DSLR 이나 비슷비슷한데요. ㅎㅎ
-
미러리스 카메라로 어떻게 이런 사진을...
고수의 손길이 확실히 다르네요^^
회원 작품전
서천동 회원분들이 찍으신 천체사진 및 자작품 사진 입니다.
공지 |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 김광욱 | 2014.12.01 |
공지 |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 김광욱 | 2010.05.17 |
-
얼마전 홀로 간 임도 번개에서 찍은 비장의(!?^^) M31 7
-
이슬 낀 안드로메다(m31) 3
-
플레이아데스 M45 3
-
호진님 M45 필터링 작업 들어가봅니다. ^.~ 8
-
M45-080803 8
-
m31-080708 3
-
[습작]M31 4
-
m45그리고 m42 5
-
M45 7공주... 4
-
M31로 비교한 아크로와 아포 3
-
임도에서 도전한 M31 7
-
M45 8
-
M31 안드로메다 8
-
M45 9
-
M31과 NGC896(Double Cluster) 입니다 9
-
구기동 하늘에 뜬 풍선(M27)과 계란 후라이(M31)..(1) 9
-
구기동 하늘에 뜬 풍선(M27)과 계란 후라이(M31)..(2) 2
-
m45 그리고 m42 11
-
M31 안드로메다성운. 7
-
M45 플레이아데스성단 6
장단으로 찍으실 때 다크 노출시간은 장에 맞추나요?
아님 다크 없이 픽스에서 다 처리한다 그러셨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