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gc1499 + m45 캘리포니아성운과 플레이아데스성단
ngc1499 + m45 캘리포니아성운과 플레이아데스성단
1. 반도체 둥근 웨이퍼 한장으로 작은 반도체 조각을 잘라낼때 최대로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잘라내는 방법이 사각형이다
2. 정사각형이 아니고 직사각형인 경우는 사람이 아래 위 보다 좌우의 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
뭐 이런 이유지 아닐까 생각합니다. ^^
전에는 천문 전용 카메라로 동그랗게 사진을 찍어 주던 카메라도 있었어요. 요즘도 천체 사진용 CCD 로 정사각형도 많이 나오죠 ^^
공지 | 회원작품전 (정회원) 갤러리 분류 변경 안내 | 김광욱 | 2014.12.01 |
공지 | 천체사진 갤러리 이용 규칙 입니다. | 김광욱 | 2010.05.17 |
소행성 2012 DA14와 Leo Triplet
7
달랑한장 M45
3
안드로메다 은하~
4
페르세우스 이중성단(NGC884,869)
7
페르세우스 이중성단(NGC884, 869)
3
M45 Pleiades 성단/성운
8
M103 - 카시오페이아
5
안드로메다 (M-31)
3
M13
1
m33
3
내몽골 초원은하수 합성 : 백조에서 전갈까지
1
내몽골 초원에도 광해가 심하게 있었습니다. 우선 한장만....
5
M81~~
3
12년 5월 20일 메시에 성단모음(M23, 24, 25, 39)
2
성단 모음 - 메시에
8
M52
3
M63 Sunflower Galaxy
2
ngc 5139 (오메가센타우리)
2
M63 Sunflower Galaxy
4
Leo Trio
4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