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서울천문동호회

조회 수 4590 추천 수 19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반사경(주경과 사경)을 재 코팅한 결과는 "망원경코팅중"에 있고요,
재코팅한 바로 직후의 상태는 코팅후 챔버에서 꺼내면서 약간의 지문이 몇군데 있는 정도 이었습니다.  
16인치를 코팅하기전의 상태는 몇몇 사람의 기억에 의존할수밖에 없지만 아주 잔 회색 얼룩과 작은 점들이 골고루 퍼져있었습니다. 5년 정도는 알루미늄막이 산화되지 않을 줄 알았지만 8월7일 오전에 증상을
발견해서 이와 같이 관찰결과를 씁니다. 주경 커버를 스티로폴로 만들생각을 먼저부터 했는데 직경 45cm,
깊이 5cm 의 원형 스티로폴을 못 구했고요, 그속에 방습제를 넣고, 천으로 싸면 되는데.
8월6일 관측회때에 저는 주경의 상태를 확인 안 했었습니다. 혹시 그날 지문말고 회색 점을 보신 분이
계신가요. 아래의 회색점(부식)이 비를 맞고 방치해서 증상이 더 커진건지 알고 싶네요.
--
변화관찰 05년 8월8일.
16인치 주경에서 최대 4mm,  최소(셀수 있는 정도) 1mm 의 금속부식증상을 발견
4mm - 2개, 3mm - 2개, 2mm-14개, 1mm-27개.
사경은 금속부식 없음.

(  변화에 영향을 줄만한 과거 조건 -
  7월 말에 손가락과 휴지, 미세천으로 주경에 묻은 얼룰과 먼지를 제거함.
  8월초에 땅콩크기의 프라스틱 조각이 40cm 정도에서 주경에 떨어짐 - 즉시 확인후 이상증세 없음.
  8월 6일 관측지에서 주경에 비 맞음. 손가락으로 코팅면을 5-6cm 문지름. 우산의 빗물방울도 주경에
  빗방울이 떨어짐. 사경은 바닥을  향하고 있어서 비를 맞지는 않은것 같음 - 주경의 빗물을 즉시 제거하지
  않고 12시간 방치-자연건조 )

첨부그림file:16_50808.jpg
  • 유종선 2005.08.08 11:34
    지문은 제가 확실히 기억하고요... 지문 말고도 약간의 더러움을 느꼈었습니다만 정확히 기억이 나진 않습니다. 확실한건 지문 말고도 뭔가 주경면이 아주개끗하진 않았다는 기억입니다만... 위 사진 형태의 회색 점인지는 잘 기억나지 않습니다. 별로 도움 안되는줄 알지만... ^^;;;
    근데 유리 코팅이 있는데 어찌하여 금속부식현상이 생길수 있는 건지... 이상하네요...
  • 홍두희 2005.08.08 12:43
    금속부식을 추측하면,
    1)유리코팅이 깨질경우 그 밑의 알루미늄이 부식될거고,
    2)유리코팅이 멀쩡할 경우 그 밑의 알루미늄은 자체 불순물로 부식되던지,
    그 바로 밑의 크롬과 이상결합으로 부식될수 가 있겠지요.
    우리 반사경은 200~300옹스트롱 두께의 크롬에 900옹스트롱의 알루미늄이 올라와 있고, 그 위에 2000옹스트롱의 SiO2가 보호유리로 씌여져 있습니다. 보호유리는 재질이 유리라서 경도에는 문제가 없으나 워낙 얇게도포되어서 약간의 충격에도 크랙이 갈수가 있다고 지금 생각이 되네요. 이 크랙으로 빗물이 들어가서 장시간 방치되면서 알루미늄이 부식이 된것 같고요. 이 부식의 모양과 색깔은 코팅하기 전의 원래 반사면의 상태와 색과 크기가 비슷합니다(워낙 나쁜 상태가 많이 퍼져서 다시 코팅을 하게 되었지요). 코팅한후에 2000옹스트롱의 두께를 제가 너무 과신한 것 같은 생각도 듭니다. 경도는 되는데 두께가 아주 얇아서 약간의 충격(손가락으로 쓱쓱)에도 표면이 상처난것 같기도 하고..
    유리의 크랙은 현미경으로 보면 안 보일까? 유리에 크랙이 없다면 원인은 2)가 되겠지요.
    아무튼 이정도는 관측에 아무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걱정은 안 하셔도 되고요.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결과를 적어놓겟습니다.

자유게시판

서천동 회원들이 풀어가는 자유로운 이야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볼트 너트가 필요하죠? -- ** 25년9월19일 도메인,웹호스팅 만기일 '오선'** 3 file 홍두희 2014.10.02 25699
4566 한가위 인사 드립니다. 3 오영열 2015.09.28 275
4565 잡설 홍두희 2015.11.16 275
4564 7월8일 대구과학관 구경 1000미리 망원경보러 갈까요? 홍두희 2016.06.14 275
4563 또 원뿔, 이번에는 튼튼하고 큰 원뿔면을 쉽게 만둘수 있는 방법을 생각함. -> 이것은 사고실험결과 성립안됨 실패 홍두희 2017.05.09 277
4562 내일(8/4) 방내리 갑니다. 8 최종운 2016.08.03 278
4561 짐정리 중~ file 오영열 2016.12.06 278
4560 5월 정관 ... 토요일에야 예보가 좋네요 홍두희 2016.05.05 279
4559 교무실에 산타를 좌악 깔았네요. 1 file 오광환 2016.12.20 279
4558 나는 이것에 대한 정보를 조금 알았었고, 이제 조금 내용을 접했는데, 사전 정보없이 이것을 입수했다면??? file 홍두희 2017.01.21 279
4557 상상후 조사결과, 내등뒤에 누가 누워있을까? 둥근 지구 뒤편 내등의 대척점에 누가 있을까? 1 file 홍두희 2018.02.05 281
4556 잡담 지구 4 홍두희 2017.06.22 282
4555 우리나라에서 달이 가장 높이 뜨는 장소와 시간은? file 홍두희 2017.05.11 283
4554 계산 , 이론이 안되면 실험으로. 홍두희 2019.03.10 283
4553 7월11일 새벽 4시쯤 1~2등급 neowise 혜성 쌍안경 관측. file 홍두희 2020.07.15 283
4552 초대합니다 3 서범석 2015.10.16 284
4551 전시안내 드립니다 9 file 이인현 2016.05.13 284
4550 보시구 報時球 - 시각을 알리는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공 홍두희 2016.07.20 284
4549 올여름 호주 원정 관측을 고민해 봅니다. 1 김광욱 2018.01.29 285
4548 지구의 새차운동은 원일까 타원일까? 홍두희 2018.03.11 287
4547 글루바인 레시피 file 이인현 2017.10.29 28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0 Next
/ 230

Seoul Astronomy Club © Since 1989,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3.1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